한국어교원을 위한 한국어강사1과정 요약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교원을 위한 한국어강사1과정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언어의 이해 ……………………………… 1
제2장 한국어의 특징 …………………………… 2
제3장 음성의 이해 ………………………………7
제4장 음운의 이해 ………………………………10
제5장 형태소와 단어 ……………………………14
제6장 품사 분류 …………………………………16
제7장 조사의 이해 ………………………………17
제8장 용언의 활용과 어미 ……………………17
제9장 문장의 성분 ………………………………19
제10장 문장의 구조 ………………………………20
제11장 문법 요소 …………………………………21
제12장 어휘와 의미 ………………………………25
제13장 국어사 시대 구분 ………………………27
제14장 언어 예절 …………………………………28
제15장 응용언어학 ………………………………29

본문내용

양에 따라
평순
원순
평순
원순
6.음절
- 한 번에 소리 낼 수 있는 소리마디, 말소리의 실현 단위, 모음 수 결정(맑은 물이 흐른다[말근 무리 흐른다]
- 개구도(가장 많이 쓰임 - 소쉬르의 분류)와 가청도
제4장 음운의 이해
1.음운의 성격
①최소의 짝 어떤 한 가지 음의 다름만으로 뜻이 달라진 두 짝을 최소의 짝(최소쌍), 최소의 짝을 만든 두 음을 각각 음운이라 함
(달/발 - /ㄷ/, /ㅂ/이 별개의 음운)
②변별과 대립: 불/뿔/풀 → /ㅂ/, /ㅃ/, /ㅍ/ 변별적(삼지적 상관속: 평-경-격) 국어에서 [l], [r]은 비대립적, 비변별적(영어에서는 변별적)
③이음(변이음): 한 음운에 속하는 두(또는 그 이상) 음이 나타나는 환경은 서로 뒤바뀌지 않는 성질(상보적 분포, 배타적 분포)
- 한 음을 이루면서 서로 상보적인 분포를 가지는 음들을 그 음운의 이음 또는 변이음이라 함([g], [d], [b] - [k], [t], [p]
음운
음소
말의 뜻을 구별(변별)해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분절 음소)
음운표시 / /,
음성표시 [ ]
운소
음소에 얹혀서 의미 구별, 비분리성(비분절 음소, 초분절 음소) 장단, 억양, 세기, 고저
2.자음체계 3.모음체계
4.운소체계(자음이나 모음처럼 쉽게 쪼개지지 않는 요소 있음)
①고저악센트(함경도나 경상도 방언에만 남아 있음) 강약악센트(국어에는 없음) 억양(문장의 끝)
②음장(음소의 소리 길이) - 2음절 이하에선 ㄴ구분 없음(눈/눈:, 싸락눈, 거짓말...장음을 잃어버림)
③고저(국어에 없음-성조) ④억양 - 낱말 안에 국한되지 않고 글월이나 글월의 일부분에 얹혀서 나타남
⑤연접(이음새) - 숨을 쉴 정도의 휴지는 아니고 약간의 간격을 두고 이어붙이는 간격(강원도+산나물, 강원도산+나물)
5.음운규칙
1
분포의 제약
①어두 및 음절초에서의 제약([],ㄹ,ㄴ이 어두에 오기 힘들다. 어두자음군×)
②음절말에서의 제약(=음절 끝소리규칙=중화: 음절 끝에서 하나로 합쳐진다)
ㄱ,ㄴ,ㄷ,ㄹ,ㅁ,ㅂ,ㅇ만 받침자리에 온다.(겹받침은 자모순 앞의 것을 땀. ㄻ, ㄿ는 예외)
③비음 및 ‘ㄹ’앞에서의 제약(=자음동화)
음절 말 일곱 개의 자음 다음에 비음이 오면 그 일곱 개의 자음의 수는 다시 줄어들어야 한다.(비음 ‘ㄴ’, ‘ㅁ’ 앞에 파열음 ‘ㄱ,ㄷ,ㅂ’가 올 수 없음. 자음+자음→소리가 같게 변해 ‘ㅁ,ㄴ,ㄹ,ㅇ’로만 변함
④이중모음 앞에서의 제약 - 이중모음 ‘ㅒ, ㅖ, ㅢ’ 앞에는 자음이 잘 분포되지 않는다.
(‘ㅖ, ㅢ’는 ‘ㅔ’와 ‘ㅣ’로 발음 됨)
2
중화
음절의 끝소리 규칙
3
동화
-성질이 먼 두 음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서 아주 같아지거나 비슷해짐
-a+b→a+a(또는 a\'): 순행, a+b→b(또는 b\')+b: 역행
완전히 같아지면 완전동화, 비슷해지면 불완전동화
①구개음화: ㄷ, ㅌ(치조)+ㅣ(전설)→ㅈ, ㅊ(구개음)-잔디, 느티, 티끌은 예외(잔듸, 느틔, 틔끌 어원이 살아 있어서) (지역 방언에 의한 구개음화도 있음: 김치→짐치, 길→질)
②움라우트: ‘ㅣ’나 ‘y’의 영향으로 ‘ㅏ, ㅓ, ㅗ, ㅜ’등이 ‘ㅐ. ㅔ, ㅚ, ㅟ’로 바뀌는 현상(‘ㅣ’모음 역행동화) 규칙으로는 있으나 표준발음× ex) 구경(귀경), 학교(핵교), 손잡이(손잽이)
③비음화(ㅁ, ㄴ, ㅇ):파열음이 후행하는 비음에 동화되어 비음으로 바뀜
ex) 믿는다→민는다, 부엌문→부억문→부엉문 (역행, 인접, 절대, 완전 또는 부분)
④유음화(=설측음화, ㄹ): ‘ㄹ’과 ‘ㄴ’이 만났을 때 ‘ㄹ’의 영향으로 ‘ㄴ’이 ‘ㄹ’로 바뀌는 현상
(절대, 인접, 역행 또는 순행) ex)신라→실라, 난로→날로
⑤모음조화: ‘ㅗ, ㅏ’양성, ‘ㅜ, ㅓ’음성 ex)서걱서걱, 사각사각, 찰랑찰랑, 철렁철렁...)
양성+아, 음성+어: 용언어간(양성+아, 음성+어), 음성상징어(의성어, 의태어)
자음동화
-국물 [궁물] 역행, 불완전
ㄱ+ㅁ ㅇ+ㅁ
-신라 [실라] 역행, 완전
ㄴ+ㄹ ㄹ+ㄹ
-백로 [뱅노] 상호, 불완전
ㄱ+ㄹ ㅇ+ㄴ
-칼날 [칼랄] 순행, 완전, 유음화
ㄹ+ㄴ ㄹ+ㄹ
4
탈락과 첨가
-형태소 중 어떤 음이 다른 형태소를 만나서 또는 스스로 그 형태소에서 떨어져 나가는 현상→탈락, 생략
①탈락: 자음탈락(솔+나무→소나무, 파랗+ㄴ→파란, 하늘ㅎ, ㅅ다ㅎ, 나라ㅎ→ㅎ탈락
모음탈락(날(다)+니→나니, 뜨아+떠 ‘ㅡ’탈락(규칙), ‘ㅜ’탈락(불규칙)
②생략(어두, 끝, 중간에서 일어남)
-어두음 생략: 좁쌀(ㅄㆍㄹ ), 볍씨(ㅄㅣ)
-어말음 생략: 거우루>거울, 고마>곰, 하늘ㅎ>하늘, 나라ㅎ>나라
-어중음 생략: 알ㅍㆍ다>아프다, 기ㄹㆍ마>길마, 쓰어라→써라, 푸었다→펐다
(동음생략): 생략 중 같거나 비슷한 음이나 음절 하나를 탈락시키는 현상
‘이르러, 이르니, 이르면..’은 중세에 ‘니를-’이 어간이었음. ‘니르러, 니르르니, 니르르면’의 ‘르르’를 ‘르’로(르탈락)
동양, 평양→도양, 펴양
③첨가: 없던 음을 덧붙임 엄+이>어미, 굼벙+이>굼벙이, 순이, 철이.. 고치다→곤치다(방언)
5
축약
-두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 (☆축약과 탈락 구분 잘하기)
①‘ㅎ’의 앞이나 뒤에 ‘ㅂ,ㄷ,ㄱ,ㅈ’이 올 경우→ㅍ, ㅌ, ㅊ, ㅋ로 바뀜
(단, ‘ㅎ’과 ‘ㅅ’이 만나면 축약되어 ‘ㅆ’으로 바뀜 - 자음축약)
②모음축약: 가히>가이>개, 보이다>뵈다, 누이다>뉘다, 보-아라>봐라, 주-어라>줘라, 피-어서>펴서
6
음운
도치
-한 단어 안의 두 음운이나 두 음절이 서로 자리를 바꾸는 현상 거품>버쿰, 배꼽(ㅂ.복>ㅂ.곱>배꼽)
*음절도치: 음절을 뒤집어 말하는 현상 시혹>혹시, ㅎ.더시니>하시더니
7
이화
-서로 같거나 비슷한 소리 하나를 다른 소리로 바꾸는 현상(↔동화), 발음의 단조로움을 깨려는 심리가 작용
붚, 거붑→북, 거북(‘ㅂ’하나를 ‘ㄱ’으로 바꿔 두 ‘ㅂ’의 단조로움을 깸
8
경음화
-된소리되기, ‘ㅂ,ㄷ,ㅅ,ㅈ,ㄱ’등의 자음이 일정 환경에서
‘ㅃ,ㄸ,ㅆ,ㅉ,ㄲ’로 바뀜(반드시 일어남. 필수적)
①종성‘ㅂ,ㄷ,ㄱ’뒤에서 평음‘ㅂ,ㄷ,ㅅ,ㄱ,ㅈ’이 [ㅃ,ㄸ,ㅆ,ㅉ,ㄲ]로 바뀜
ex)국밥[국빱],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1.12.01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5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