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실험2. 식품의 일반 성분 분석 - 수분과 총 고형분의 측정, 회분 함량의 측정, 속스렛 방법에 의한 지방의 측정, 식품의 알칼리도, 조단백질 정량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식품의 일반 성분 분석 - 수분과 총 고형분의 측정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이론적 배경
4. 실험 재료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고찰 및 결론
8. 참고문헌



식품의 일반 성분 분석 - 회분 함량의 측정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이론적 배경
4. 실험 재료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고찰 및 결론
8. 참고문헌



식품의 일반 성분 분석 - 속스렛 방법에 의한 지방의 측정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이론적 배경
4. 실험 재료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고찰 및 결론
8. 참고문헌



식품의 일반 성분 분석 - 식품의 알칼리도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이론적 배경
4. 실험 재료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고찰 및 결론
8. 참고문헌



식품의 일반 성분 분석 - 조단백질 정량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이론적 배경
4. 실험 재료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고찰 및 결론
8. 참고문헌

본문내용

알칼리도
2. 실험 목적
식품의 알칼리도를 알아본다.
3. 이론적 배경
식품의 알칼리도는 식품성분 중에서 알칼리를 형성할 수 있는 K, Ca, Na, Mg 등의 금속 원소와 산을 형성할 수 있는 P, S, Cl과 같은 원소의 상대적인 양을 나타내는 하나의 척도로서 식품의 산-알칼리평형을 측정하는 기초가 된다. 일반적으로 채소, 과실의 회분에는 알칼리 생성원소가 많고 곡류나 육류에는 산 생성원소가 많다.
식품의 알칼리도는 식품 100g을 회화하여 얻는 회분을 중화하는 데 소비되는 N-HCl의 ml수를 그 식품의 알칼리도라고 한다, 또는 1g의 식품에서 얻은 회분을 중화하는 데 필요한0.1N-HCl의 ml수로 나타내기도 한다.
4. 실험 재료
회화에 필요한 기구 및 기재, 삼각플라스크, 거름종이, 지시약: 0.1% 메틸오렌지,
0.1N-HCl용액, 0.1N-NaOH용액
5. 실험 방법
① 2~3g의 시료를 정확히 달아서 회화시킨다.
② 회분을 유리막대로 조심스럽게 가루로 만든 후 증류수 25ml를 가하여
삼각플라스크에 옮긴다.
③ 약하게 가열하여 약 3분간 끓인 후, 정량용 거름종이로 거른다.
④ 메틸오렌지 한 방울을 가한 후, 0.1N-HCl로 적정한다.
6. 실험 결과

성분
1조
2조
3조
4조
5조
6조
평균
콩가루
24.00
21.02
25.04
-
-
-
23.35
다시마
-
-
-
107.00
99.90
107.84
104.91
소비된 0.1N-HCl x 100/S x 1/10 = 12 x 100/4.79 x 1/10
= 25.04ml
7. 고찰 및 결론
이 실험은 식품의 알칼리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중화적정의 원리를 응용한 실험이다. 콩가루와 다시마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는데, 콩가루는 21.04~25.044의 측정치가 나왔고, 다시마는 99.9~107.844의 측정치가 나왔다. 조마다 조금씩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건 콩가루의 알칼리도에서 살펴보면, 적정을 할 때 약간의 분홍빛을 띠게 되는데 사람마다 보는 시각이 다르고 색깔을 보는데 차이가 있어 적정함에 있어 조금 많이 넣었다거나 적게 넣으므로 오차가 발생한 것 같다. 그래서 각 조마다 결과가 차이나는 것 같다.
8. 참고문헌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식품의 일반 성분 분석
1. 실험 제목
조단백질 정량
2. 실험 목적
단백질 중의 질소의 함량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대체로 일정하므로 질소를 정량하여 여기에 단백질량으로 환산하면 식품 중의 단백질량을 알 수 있다.
3. 이론적 배경
단백질은 다른 식품성분과 비교하면 구성성분으로서 질소를 평균 16% 정도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식품 중의 단백질량을 구할 때는 질소량을 측정한 다음 그 질소량에 6.25를 계수로서 곱하여 산출한다. 이 계수를 질소계수라고 한다. 단백질에는 모두 질소가 포함되어 있으나 질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해서 반드시 단백질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식품 중에는 아미드 화합물, 암모니아 화합물, purine 염기, creatine 등의 질소 등은 질소화합물이나 단백질이 아니다. 따라서 전 질소를 정량하고 여기에 질소계수를 곱한 단백질을 조단백질이라 한다. 단백질 중의 질소함량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대체로 일정하므로 kjeldahl법을 이용하여 질소를 정량한 후 단백질량으로 환산하면 식품중의 단백 질량을 알 수 있다.
* kjeldahl법의 원리
시료를 진한 황산 및 촉매로 강하게 가열하여 시료중의 유기물을 분해하고 질소를 황산 암모니아로 바꾼 다음 과잉의 알칼리를 가하여 증류하고 유출되는 암모니아를 일정량의 산에 흡수시킨 후 이의 양을 적정한다. 이 방법은 단백질의 질소뿐만 아니라 핵산, purine 및 pyrimidine염기의 유도체, amide화합물, 요소(urea), creatin 등도 포함되므로 조단백질이라 한다.
4. 실험 재료
콩가루, 분해플라스크, 삼각플라스크, 혼합지시약, 냉각관, 끓임 쪽
황산칼륨, 황산구리, 황산, 4% 붕산용액, 30% NaOH, 0.1N HCl
5. 실험 방법
[분해]
① 시료 1~2g을 취하여 건조된 Kjeldahl 분해플라스크에 넣는다.
② 황산칼륨 10g을 가하고 분해촉매로써 황산구리 1g을 가한다.
③ 황산 20ml를 취하여 분해플라스크에 가하여 흔든다.
④ 플라스크를 분해대 위에 비스듬히 놓고 가열한다.
⑤ 청색~황록색의 투명한 액이 되면 플라스크를 방냉하고 물 약 150ml를 가하여
석출된 염류를 녹인다.
[증류]
① 200ml의 삼각플라스크에 4%붕산용액 50ml를 취한다.
② 혼합지시약 4~5방울을 가해 냉각관의 끝이 잠기도록 한다.
③ 분해플라스크의 기벽을 통해 중화용 30%NaOH용액 약 80ml를 가하고 혼합한다.
④ 끓임 쪽을 넣고 증류장치에 잘 연결한다.
[적정]
① 증류가 끝난 삼각플라스크 중의 붕산암모늄을 0.1N염산 표준액으로 적정한다.
6. 실험 결과

성분
1조
2조
3조
4조
5조
6조
평균
콩가루
10.75
20.07
39.43
-
-
-
23.42
다시마
-
-
-
8.02
9.44
6.77
8.08
총질소, TN(%) = 0.001401 x (b-a) x f x 100/w
= 0.001401 x 45 x 1 x 100/1
= 6.3045
≒ 6.31%
조단백질(%) = 총질소(TN) x 질소계수
= 6.31 x 6.25
= 39.43%
7. 고찰 및 결론
이 실험은 질소의 함량을 정량하여 식품 속의 단백질량을 알아보는 실험이다.
조단백질 정량은 처음 실험에 실패하여, 두 번째 하는 실험이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혼합지시약이 잘못 만들어져서 아무리 적정을 하여도 색이 변하지 않았다. 실험이 잘못되었다는 걸 알기 전까지 계속 적정하여 적정량이 150ml이상이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적정량이 45ml가 나왔다. 위의 표는 조단백질의 양을 나타낸 표이다. 시료로 콩가루를 사용한 1,2,3조는 오차가 많이 났다. 그에 비해 다시마는 오차가 적었다. 위의 일반성분실험에서 보듯이 콩가루가 다시마보다 결과의 오차가 심한 것 같다.
8. 참고문헌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12.04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9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