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미생물학시험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미생물학시험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소독제에 대한 병원균의 저항성을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나열하라.

3.소독제의 살균효과를 소독제 농도 C와 접촉시간 t의 관계로 나타낸 Watson 법칙을 설명하라.

4. pH가 염소소독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가장 소독 효과가 큰 염소성분은 어떤 것인가?

5.유리염소와 결합염소에 대해 설명하라.

6.염소소독을 방해하는 인자들에 대해 설명하라.

8.염소소독 후에는 어떤 부산물이 발생되며 어떤 문제를 유발할수 있는가?

9.Chloramines의 pH에 따른 형태변화를 쓰고 그 살균효과에 대해 설명하라.

10.파괴점 염소소독(breakpoint chlorination)에 대하여 설명하라.

11.이산화 염소의 소독효과를 다른 염소 소독법과 비교하고 그 장점을 나열하라.

16. 광 재활성화(photoreactivation)를 설명하라.

본문내용

었으나 이러한 관계를 증거로 보여주기에는 부적당한 것으로 간주되엇다. THM으로 총칭되는 chloroform, dichloroethane, bromodi-chloromethane, dibromochloromethane,bromoform,1,2-dichloroethane,carbon tetra-chloride 등은 정수나 하수의 염소 처리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로서 발암물질로 간주되고 있다. 염소 소독된 물이 심장병의 발병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수영자들도 피부에 의한 흡수와 흡입을 통해 트리할로메탄에 노출될 수 있다. 클로로포름과같은 DBP로 오염된 수영장에서 수영함으로써 예상되는 위해성은 오염된 음용수를 마시는데서 발생되는 10만명당 0.6명의 환자에 비교하여 볼때 노출된 수영인구 10만명당2.5명의 암환자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같은 연구 결과로 인해 미국 환경보호청에서는 음용수에서 THM의 최대허용농도를 100ug/L로 정하였으며 이 기준은 계속 강화될 전망이다. 상수를 chloramines으로 소독한 경우 THM이 생성되지 않아 염소처리된 음용수 사용자보다 적은 방광암 발생율을 나타냈다. 물에서 THM 생성 가능성과 총유기탄소(TOC) 사이에 일치하는 관계가 있다.
9.Chloramines의 pH에 따른 형태변화를 쓰고 그 살균효과에 대해 설명하라.
수중에서 HOCl은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무기 Chloramine을 생성한다.   
        NH3 + HOCl -------------> NH2Cl + H2O
monochloramine
 
NH2 + HOCl -------------> NHCl2 + H2O
dichloramine
NHCl2 + HOCl ------------> NCl3 + H2O
trichloramines
 이들 세 가지 형태의 chloramine은 물의 pH에 따라 구성비율이 틀려진다.
Mono-chloramine은 pH>8.5일 경우에 대부분을 점유하고, pH4.5~8.5에서는 monochlora -mine과 dichloramine가 같이 존재하며, pH<4.5일 경우에는 trichloramine이 주종을 이룬다. 상수나 하수 처리장 원수의 pH 범위(pH=6~9)에서는 monochloramine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특히 상수처리장의 경우 dichoramine과 trichloramine이 음용수에 좋지 않은 맛을 가져다주기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2.06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82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