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장례의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장례의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장례의 개념
2. 장례의 절차
3. 몸에 대한 한국인의 생각

Ⅲ. 결론 및 중간보고

본문내용

준비되지 않은 경우 관(棺)을 만들게 하는 것이다.
ㅁ. 부고(訃告)
호상(護喪 : 상사의 예를 주관하는 자로 모든 상사를 다 품의 한다)과 사서가 상가를 위해 상이 났음을 알리는 서신을 발송하는 것이다.
ㅂ. 목욕(沐浴)
향탕수로 몸을 닦고, 양미번(쌀뜨물)으로 머리를 닦은 후 명의(明衣)를 입히고 방전으로 얼굴을 덮고 이불로 덮는다
ㅅ. 습(襲과) 함(含)
목욕이 끝난 후 옷을 입히는 습을 하며 이 때는 겉옷(원령이나 원삼 등)과 머리(복건 등)는 입히지 않는다. 함은 입에 구슬과 진주를 채우는 것으로 오른쪽, 왼쪽, 가운데 순으로 채우며, 함을 한 후에 겉옷과 리(履), 명목, 악수를 하고 이불로 덮은 다음 병풍을 친다. 전(奠)은 예찬을 진설하고 그 앞에 향로, 향합, 초를 설치하는 것으로 습 후에 전을 올리게 된다.
ㅇ. 영좌(靈座)
영좌는 시신의 자리를 뜻하는 것으로 육체를 대신하여 유의(遺意 : 생전에 입던 옷)가 영혼을 대신하여 혼백을 놓아 죽은 이를 대신하는 것이다. 이 때 교의와 탁자를 설치하고 흰 비단을 맺어 혼백을 만들어서 교의 위에 두고, 향로, 향합, 잔 주전자를 설치한다.
ㅈ.명정(銘旌)
죽은 사람의 직위와 이름을 쓴 기(杞)를 명정이라고 하며, 빨간 비단으로 만든다. 넓이는 폭 그대로, 길이는 벼슬에 따라 정해진대로 하고, ‘모관모공지구(某官某公之柩)’라고 쓰며 벼슬이 없을 때는 생시의 이름은 쓴다. 대나무로 깃대를 만들며 명정을 받치는 부(趺)가 있고, 영좌의 오른편에 세운다.
2)둘째 날
소렴을 행한다.
소렴은 교포(絞布),산의(散衣),염의(殮衣)로 싸는 것을 말하며, 포로 매지 아니하며 얼굴도 가리지 않는다. 소림 후 전(奠)을 올린다.
3)셋째 날
대렴을 행한다.
대렴은 입관을 의미하는 것으로 관에다 불에 태운 차조의 재를 깔고 칠성판을 올린 후 포, 이불, 산의를 편다. 소렴 때 가리지 않은 얼굴을 가리며 포로 묶은 후에 대렴을 행하고, 전을 올린다.
4)넷째 날
성복을 한다.
오복제도(五服制度)에 따라 상복을 입고 성복제를 지내기도 한다. 성복이 끝나고 나서는 조전(朝奠), 석전(夕奠)으로 전을 올리고 곡을 하는데 이를 조석전(朝夕奠)이라 하며, 식사 때는 생시와 같이 밥상을 올리는데 이를 상식(上食)이라 한다. 초하루 보름에 삭망전(朔望奠)을 올리기도 한다. 성복을 한 후에라야 조상(弔喪)을 하였다.
5)문상(聞喪)
멀리서 부모상에 대한 소식을 듣는 것으로 듣는 즉시 곡을 하며, 옷을 갈아입고 준비를 하여 집을 달려가는 것을 분상(奔喪)이라 하기도 한다. 이 때는 집이 보이는 곳에서 곡을 하며 도착하면 관 앞에서 재배하고 옷을 갈아입고 자리에 나가 곡을 한다. 집에 와서 성복을 하고 이미 장례를 치루었을 경우는 묘소에 가서 곡을 한다.
6)치장(治葬)
상여, 삽(), 지석, 신주 등을 만들며, 묘지를 조성하는 산역을 의미한다.
7)천구(遷柩)
발인하기 위해 영구를 옮기는 것으로 사당의 신주(조상)에게 인사를 드리는 모든 절차이다.
8)발인(發靷)
관을 상여에 싣고 장지로 가는 절차이다. 방상씨, 명정, 영여, 공포, 삽, 상여, 상주, 복인, 친척 조문객의 순으로 따른다. 묘가 멀 경우 조석으로 전과 상식을 차리고 곡을 하고, 영구와 함께 잠을 잔다.
9)급묘(及墓)·구지(柩至)
급묘는 묘지에서의 준비절차이며, 구지는 장례행렬이 묘지에 도착하는 절차이다. 묘에 도착하면 먼저 방상씨가 광중의 사방을 창을 찌르면서 악귀를 쫓는 절차를 행하며, 빈객들은 돌아간다.
10)하관(下官)·성분(成墳)
관을 광에 모시고 현훈(玄)을 드린 후 회격, 실토를 하며, 광중 남쪽 가까이에 지석을 묻은 다음 봉분을 쌓아 묘지를 조성한다. 시

키워드

한국,   장례,   의례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2.07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84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