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운동이 우리나라의 발전에 미친 영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새마을운동이 우리나라의 발전에 미친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새마을운동이 우리나라의 발전에 미친 영향

본문내용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새마을운동은 그야말로 1970년대 한국사회의 모습을 대변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우리는 이러한 새마을 운동을 현재에 맞게 변화시켜 나가야할 것이다. 초기 새마을운동이 절대 가난을 몰아내고 물질적 성장을 추구해 왔다면 어느 정도 경제성장이 이루어진 지금, 21세기 새마을운동은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각종 문제해결에 앞장서면서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사회를 만드는데 중점을 두어야할 것이다. 지금 우리사회는 도덕과 윤리가 땅에 떨어져 이로 인한 부정부패, 무질서, 사치·향락, 과소비가 판을 치고 내 몫 만 챙기겠다는 집단 이기주의가 가득하다. 이러한 병폐는 사회안정과 국민화합을 해치는 암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새마을운동은 정신적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두고 의식개혁과 환경운동을 비롯한 국민적 단합을 도모하기 위한 각종 활동에 앞장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2000년대 통일된 세계 중심국가로 우뚝 설 수 있도록 통일새마을운동에 선구자적 역할을 다하는 한편 우리보다 못 사는 나라들과도 새마을운동의 경험을 나누면서 인류의 공동발전과 번영에 기여하며, 국내적으로는 지역의 독자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운동을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사업을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는 전적으로 지역단위에서 스스로의 수준에 걸맞게 주민들이 자주적으로 결정하고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며, 그로인해 명실공히 민간운동기구로 거듭나기 위해 정책기능을 강화하여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일, 주민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일 등도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 참고 자료
박진도, 한도현, 「새마을운동과 유신체제」『역사비평』47호, 2008.
김인진, 「새마을운동을 통해서 본 한국사회의 근대성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신윤표(2007), 지역개발론 - 새마을운동의 발전전략 -, 법정학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의 농촌개발: 새마을운동의 평가와 전망, 2006.
황인정, 『한국의 종합농촌개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최상호(2004), 지방시대 지역사회개발론, 박영사.
박섭, 이행 「근현대 한국의 국가와 농민 새마을운동의 정치사회적 조건」『한국정치학회보』2005
황연수, “농촌 새마을 운동의 재조명”, 농업사연구 제 5권 2호, 한국농업사학회, 2006
신대순(2005), (학습, 수험) 지역사회개발론 - 새마을운동의 이론과 실제 -, 세영사.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2.08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87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