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의 도시계획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성의 도시계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성의 도시계획
한성
①백제(百濟)의 두 번째 도읍지(都邑地)였던, 지금의 경기도(京畿道) 광주(廣州)의 옛 읍과 남한(南漢) 산성(山城). 온조왕(溫祚王) 14(5)년에 이곳으로 옮겼음 ②고구려(高句麗) 때, 지금의 황해도(黃海道) 재령을 일컫던 말 ③서울의 옛 이름. '한성부(漢城府)'의 준말
-한성부: 조선(朝鮮) 때 삼법사 또는 23부의 하나로, 서울의 행정(行政), 사법을 맡던 관아(官衙). 옛 이름은 한양부(漢陽府)인 데 태조(太祖) 4(1395)년에 개성(開城)에서 지금의 서울로 옮기고 이듬해에 한성부(漢城府)로 고쳐서 26대 고종(高宗) 32(1895)년에 23부(府)의 하나로 되었다가, 이듬해에 구제(救濟)로 회복(回復)하여 순종(純宗) 융희(隆熙) 4(1910)년까지 있었음.
태조는 즉위한 때부터 건도문제에 대하여 매우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며, 그 후보지로 한양, 계룡산, 모악 등지를 친히 살피다가, 왕사 무학의 의견과 여러 사람의 의견에 따라서 한양을 택하였다. 태조 3년(1394년) 10월에 한양에 천도하여 궁궐, 종묘 및 재관아 등의 조영공사가 착수되고, 다음 해에 완성하였으며, 이와 때를 같이하여 한양을 한성으로 개칭하였다. 한성의 축성공사는 태조 5년(1396년)에 춘추의 농한기를 이용하여 이뤄졌다. 동원된 장정은 연인원 197,470명으로 40여 리에 뻗친 거대한 축성을 연일수 98일만에 완료하였다
-한성도
한성의 지세를 보면, 북에는 백악이 솟아 있고, 산줄기가 동으로 떨어져서 옹봉이 되고, 서쪽으로 뻗어서 인왕산이 되었으며, 낙타산이 동북족으로 놓이고, 남족에는 남산이 솟아 있어서, 크고 작은 연산이 4면을 요위하여 천연의 성곽을 형성하고 있다 한성의 성곽은 산의 능선을 따라서 축성되었으며, 대소 8문을 만들었다. 그 중 숭례문과 흥인지문이 가장 큰 것으로 중층의 문루를 만들었으며, 서쪽에 돈의문, 북쪽에 숙청문, 동북쪽에 혜화문, 동남쪽에 광희문, 서남쪽에 서덕문, 서북쪽의 창의문들은 모두 단층의 문루를 만들었고, 특히 흥인지문과 돈의문에는 문 앞에 웅성을 만들었다. 태조 때에 축성된 성벽의 형식은 높고 험한 곳에는 석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12.08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88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