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수지탄(麥秀之嘆)을 읊은 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맥수지탄(麥秀之嘆)을 읊은 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구체적 작품 분석
2. 1. 두보 <춘망(春望)>

2. 2. 고려 말의 시조
2. 2. 1. 원천석의 시조
2. 2. 2. 길재의 시조
2. 3. 조지훈의 시
2. 3. 1. 동물원의 오후
2. 3. 2. 봉황수

본문내용

이 말은 기자(箕子)가 은(殷)나라가 망한 뒤에도 보리만은 잘 자라는 것을 보고 한탄하였다는 데서 유래했다. 이후 문학 작품 특히, 시가(詩歌) 문학에서 맥수지탄을 주제로 한 작품이 많았다. 온 국민이 한 번쯤은 보았을 정철의 『관동별곡』의 여정 중에 “옛날 태봉국 궁예왕의 대궐 터였던 곳에 까막까치가 지저귀니, 한 나라의 흥하고 망함을 알고 우는가, 모르고 우는가.”라는 대목도 맥수지탄과 유사한 느낌을 갖게 한다. 문학 작품 속에 맥수지탄이 감정을 노래하기 위해서는 나라가 멸망해야 한다. 우리나라 역사에서 맥수지탄의 감정을 노래할 수 있는 시기는 고려 말과 일제 식민지 시기였을 것이다. 한편, 중국의 역사에서 맥수지탄을 노래할 수 있는 시기가 많았을 것이다. 여기서는 맥수지탄의 감정을 노래한 두보의 <춘망>과 고려 말 원천석, 길재의 시조, 조지훈의 <봉황수>와 <동물원의 오후>를 중심으로 살펴보자.
Ⅱ. 구체적 작품 분석
2. 1. 두보 <춘망(春望)>
나라히 破亡니 뫼콰 잇고 國破山河在
잣 보 플와 나모 기펫도다 城春草木深
時節을 感歎호니 고지 므를 리게 코 感時花淚
여희여슈믈 슬후니 새 놀래다 恨別鳥驚心
烽火ㅣ 석 니시니 烽火連三月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12.08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8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