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작품 해제
Ⅱ. 작품 분석
Ⅲ. ‘촉상’에 나타난 중세 국어의 특징
<표 1> 중세 국어 의문형 어미의 종류
<표 2> ‘촉상’에 실현된 중세 국어의 조사
<표 3> ‘촉상’에 실현된 중세 국어의 어미
Ⅱ. 작품 분석
Ⅲ. ‘촉상’에 나타난 중세 국어의 특징
<표 1> 중세 국어 의문형 어미의 종류
<표 2> ‘촉상’에 실현된 중세 국어의 조사
<표 3> ‘촉상’에 실현된 중세 국어의 어미
본문내용
두보의 ‘촉상(蜀相)’에 나타난
중세 국어의 모습
Ⅰ. 작품 해제
두보의 시 ‘촉상(蜀相)’을 제목의 한자 그대로 해석하면 ‘촉나라 재상’이다. 이때 촉나라 재상은 제갈량을 말한다. 이 작품은 두보가 성도(成都)로 온 다음 해인 760년 때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시에서 두보는 ‘제갈량’의 사당을 찾은 감회를 노래하고 있다.
丞相 祠堂 어 가 차리오 丞相祠堂何處尋
金官ㅅ 잣 밧긔 잣남기 森列 로다 錦官城外栢森森
버에 비취옛 프른 프른 절로 비치 외옛고 映階碧草自春色
니플
중세 국어의 모습
Ⅰ. 작품 해제
두보의 시 ‘촉상(蜀相)’을 제목의 한자 그대로 해석하면 ‘촉나라 재상’이다. 이때 촉나라 재상은 제갈량을 말한다. 이 작품은 두보가 성도(成都)로 온 다음 해인 760년 때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시에서 두보는 ‘제갈량’의 사당을 찾은 감회를 노래하고 있다.
丞相 祠堂 어 가 차리오 丞相祠堂何處尋
金官ㅅ 잣 밧긔 잣남기 森列 로다 錦官城外栢森森
버에 비취옛 프른 프른 절로 비치 외옛고 映階碧草自春色
니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