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 독성
* 간독성의 주요 패턴
* 약물이 간에 손상을 일으키기 위한 주요 인자와 조건
* 간독성으로 인한 대표적인 임상증상 -> 독성 간염
*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한약재의 성분들
2. 간독성 유발 의심 한약재
(1) Alkaloid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한약재들
[1] 부자 (附子, Aconitum carmichaeli Debx)
[2] 천오두 (川烏頭, (Aconitum carmichaeli Debeaux)
[3] 초오 (草烏, Aconitum ciliare Decaisne)
[4] 토근 (吐根, Cephaelis ipecacuanha)
[5] 맥각 (麥角, ergot)
[6] 인진호 (茵蔯蒿, Artemisia capillaris Thunb)
[7] 보골지 (補骨脂, Psoralea corylifolia)
[8] 하수오 (何首烏, Pleuropterus multiflorus Turcz)
[9 유근피 (楡根皮, Ulmus macrocarpa)
[10] 백선피 (白鮮皮, Dictamnus dasycarpus Turcz)
3. 고찰
* 간독성의 주요 패턴
* 약물이 간에 손상을 일으키기 위한 주요 인자와 조건
* 간독성으로 인한 대표적인 임상증상 -> 독성 간염
*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한약재의 성분들
2. 간독성 유발 의심 한약재
(1) Alkaloid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한약재들
[1] 부자 (附子, Aconitum carmichaeli Debx)
[2] 천오두 (川烏頭, (Aconitum carmichaeli Debeaux)
[3] 초오 (草烏, Aconitum ciliare Decaisne)
[4] 토근 (吐根, Cephaelis ipecacuanha)
[5] 맥각 (麥角, ergot)
[6] 인진호 (茵蔯蒿, Artemisia capillaris Thunb)
[7] 보골지 (補骨脂, Psoralea corylifolia)
[8] 하수오 (何首烏, Pleuropterus multiflorus Turcz)
[9 유근피 (楡根皮, Ulmus macrocarpa)
[10] 백선피 (白鮮皮, Dictamnus dasycarpus Turcz)
3. 고찰
본문내용
다.
3. 주요 성분 : 뿌리에 dictamnine, dictamnolacton, trigonellin, sitosterol, obacunonic acid, choline, fraxinellone 등이 함유
4. 간독성에 대한 보고 : 국외엔 3편의 보고가 있으며, 국내에 보고된 2명의 증례 또한 그런 경우로써 술에 담궈 복용하였으며 그중1예는 환자가 스스로 10개월 후에 재복용하여 같은 증상이 발현되었던 경우였다.
3. 고찰
양방논문을 검색해본 결과 한약 및 민간요법의 간손상에 대하여 증례와 의심 한약재, 그리고 특정성분분석을 위주로 고찰한 것들이 많았다. 그 심각성에 대해서도 엄중히 경고하고 있는 한편 발표된 논문의 수도 많이 있었다.
한편 관련한방 논문을 검색해본 결과 양방논문들에 대한 반박형식이 많이 있었으며, 실험이나 증례 보다는 다른 자료나 논문을 참조한 형식들이 많이 있었다.
양방자료들을 보면 증례나 성분분석이 주를 이루는 편이다. 그런데 그 기원식물이나 제대로 유통되었는지 여부를 크게 따지지 않고 한 것들이 많은 듯 보였다. 그리고 간독성의 원인을 여타원인을 따지지 않고 약재로 편협하게 몰고가는 면이 없지 않아 있었기 때문에 100% 모두 신뢰를 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특정성분이 간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제도적인 보안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제대로 유통되지 않거나 기원식물이 다른 것들도 결국에는 한의계의 책임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 같다.
이러한 것을 제대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일단 의학적으로 특정 성분이 간독성이나 여타 다른 문제들을 일으킨다고 하면 특정 약재유통 금지, 약재검사를 하여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들만을 유통시키거나 혹은 법제를 통한 독성성분 감량을 통해 사용하는 방법을 쓸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올바른 약재의 유통을 통해 양질의 한약재를 쓸 수 있도록 하고 국민들로 하여금 한약재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지 않게끔 적절히 홍보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국내에서 보고된 한약 및 민간요법, 건강식품 관련 약인성간손상에 대한 체계적 고찰
약물의 유해반응에 대한 고찰
한약이 간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가 : 약관련간손상에관한 국내 연구의 체계적 고찰,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윤 영 주
http://blog.naver.com/route10?Redirect=Log&logNo=100092814458
3. 주요 성분 : 뿌리에 dictamnine, dictamnolacton, trigonellin, sitosterol, obacunonic acid, choline, fraxinellone 등이 함유
4. 간독성에 대한 보고 : 국외엔 3편의 보고가 있으며, 국내에 보고된 2명의 증례 또한 그런 경우로써 술에 담궈 복용하였으며 그중1예는 환자가 스스로 10개월 후에 재복용하여 같은 증상이 발현되었던 경우였다.
3. 고찰
양방논문을 검색해본 결과 한약 및 민간요법의 간손상에 대하여 증례와 의심 한약재, 그리고 특정성분분석을 위주로 고찰한 것들이 많았다. 그 심각성에 대해서도 엄중히 경고하고 있는 한편 발표된 논문의 수도 많이 있었다.
한편 관련한방 논문을 검색해본 결과 양방논문들에 대한 반박형식이 많이 있었으며, 실험이나 증례 보다는 다른 자료나 논문을 참조한 형식들이 많이 있었다.
양방자료들을 보면 증례나 성분분석이 주를 이루는 편이다. 그런데 그 기원식물이나 제대로 유통되었는지 여부를 크게 따지지 않고 한 것들이 많은 듯 보였다. 그리고 간독성의 원인을 여타원인을 따지지 않고 약재로 편협하게 몰고가는 면이 없지 않아 있었기 때문에 100% 모두 신뢰를 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특정성분이 간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제도적인 보안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제대로 유통되지 않거나 기원식물이 다른 것들도 결국에는 한의계의 책임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 같다.
이러한 것을 제대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일단 의학적으로 특정 성분이 간독성이나 여타 다른 문제들을 일으킨다고 하면 특정 약재유통 금지, 약재검사를 하여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들만을 유통시키거나 혹은 법제를 통한 독성성분 감량을 통해 사용하는 방법을 쓸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올바른 약재의 유통을 통해 양질의 한약재를 쓸 수 있도록 하고 국민들로 하여금 한약재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지 않게끔 적절히 홍보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국내에서 보고된 한약 및 민간요법, 건강식품 관련 약인성간손상에 대한 체계적 고찰
약물의 유해반응에 대한 고찰
한약이 간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가 : 약관련간손상에관한 국내 연구의 체계적 고찰,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윤 영 주
http://blog.naver.com/route10?Redirect=Log&logNo=100092814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