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시대의 석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청동기시대 석기 개관
✺ 농경구
✺ 벌채구와 가공구

본문내용

청동기시대의 석기




┃ 1. 청동기시대 석기 개관
┗━━━━━━━━━━─────────…

✺ 청동을 소재로 새로운 도구를 만든 금속문화의 도입기였으나 실생활에서 석기의 의존도는 이전 시기보다도 높았음
✺ 석기의 재질은 떼기 쉬운 석재에서 마연하기 쉬운 석재로 바뀌게 됨→입자가 고운 석재가 채택됨
✺ 석기의 종류는 목적에 맞게 기능이 개량화되면서 다양화∙전문화가 이루어짐
✺ 신석기시대에 나타난 농경관련 도구들이 본격적으로 제작되어 돌낫, 갈돌과 갈판, 반월형석도 등이 사용됨




┃ 2. 농경구
┗━━━━━━━━━━─────────…

1) 반달돌칼(半月形石刀)
• 날부분과 등부분의 형태에 따라 반달모양(半月形), 물고기모양(魚形), 배모양(舟形), 삼각형, 장방형, 빗모양(櫛形) 등이 있음
• 한쪽에 날을 세운 것과 양쪽으로 세운 것이 있음
• 구멍은 2개가 가장 많으며 4개까지 만드는 경우도 있으나 그 중에는 구멍을 잘못 뚫어 그렇게 된 예도 있음




• 석재는 편암∙천매암∙판암∙점판암∙규암∙혈암∙사암∙반암 등이 많이 사용됨
• 제작방법 : 적당한 크기의 석재를 원하는 모양으로 다듬음 → 마연하기 위한 정교한 조정을 거쳐 마연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한으로 줄임 → 마연함 → 마연이 끝나면 구멍을 뚫은 뒤 최종적으로 날을 세우고 구멍에 끈을 묶어 사용
• 손에 쥐고 사용하기도 하지만 손에 쥐기 쉬운 나무봉을 끼워 사용하기도 함
• 돌칼의 날을 사용하여 식물의 줄기를 꺾는 식으로 사용 → 날은 사용에 의해 불규칙한 홈집이 생기거나 부분박리가 관찰됨
• 의례품으로도 사용됨




 ≪ 사 진 ≫

 ≪ 사 진 ≫




 ≪ 사 진 ≫ ≪ 사 진 ≫
 ≪ 사 진 ≫
진주 대평 어은 2지구, 22.9cm

 ≪ 사 진 ≫ ≪ 사 진 ≫
대구 서변동 주거지 1호, 18.0cm




 ≪ 사 진 ≫ ≪ 사 진 ≫
경산 음양, 대구 욱수 1호 주거지, 영주군 안심동 서재산




 ≪ 사 진 ≫ ≪ 사 진 ≫
대구 동천동 하도, 11cm

 ≪ 사 진 ≫
울주군 천상리 11호, 14.1cm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82페이지
  • 등록일2011.12.15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720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