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공학 & 정비 요점 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동차 공학 & 정비 요점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자동차 공학 & 정비 요점 정리

제1장 기관의 성능
제2장 기관 주요부
제3장 연료 장치
윤활 장치 및 냉각 장치

제2편 섀 시
제1장 동력전달계통의 특성
제2장 현가장치 및 조향 장치
제3장 제동장치

제3편 전기 장치
제1장 전기 일반
제2장 축전지
제3장 점화 장치

본문내용

지스터로 자동차에서는 조향휠 각속도 센서, 차고 센서 등에 이용한다
⑩ 사이리스터; PNPN, NPNP의 4층 구조. 발전기의 여자장치, 조광장치, 통신용 전원, 각종 정류장치에 사용.
⑪ 서미스터; 온도 상승에 따라 저항값이 작아지는 특성이 있다.
수온 센서, 온도계 유닛등에 이용.
⑫ 반도체 장점; 극히 소형이며 가볍다. 내부 전력손실이 적다.
예열시간을 요하지 않는다. 기계적으로 강하고 수명이 길다.
⑬반도체 단점; 온도가 상승하면 특성이 몹시 나빠진다.
역내압이 낮다. 정격값 이상이면 파괴되기 쉽다.
P281 제 2 장 축전지
1) 축전지의 역할; 기동장치의 전기적 부하를 담당
발전기 고장시 주행을 확보하기위한 전원
발전기의 출력과 부하와의 언밸런스 조정
2) 납산 축전지; 양극판은 과산화납(PbO2,) 음극판(Pb),
전해액은 묽은 황산(H2SO4)
3) 알칼리 축전지; 양극판은 수산화 제2니켈, 음극판은 카드늄,
전해액은 가성칼리용액이며 과충전, 과방전, 장기방치 등의 가혹한 조건에 잘 견디고 실효년수가 10~20년 이며 고율방전 성능이 우수하다. 그러나 에너지 밀도가 납산 축전지 P283 정도이며, 비싸고 다량공급이 어렵다.
4) 충전중 화학작용
5) 축전지 구조; 6개의 셀로 구성, 셀마다 2.1V의 기전력 발생.
① 극판; 양극판이 음극판보다 더 활성적이기 때문에 양극판과 의 화학적 평형을 고려하여 음극판이 1장 더 많다.
② 격리판;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끼워져 양쪽 극판이 단락 되어 축전지 내에 저장된 전기적 에너지의 소멸을 방지한다
; 격리판은 홈이 있는 면이 양극판 쪽으로 끼워저 있는데
이는 과산화납에 의한 산화 부식을 방지하고 전해액이
확산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 격리판의 구비 조건 ;비전도성일 것, 기계적 강도가 있을 것 다공성이어서 전해액의 확산이 잘 될 것, 전해액에 부식되지 않을 것,
극판에 좋지 않은 물질을 내뿜지 않을 것
6) 극판군; 극판의 장수를 늘리면 극판의 대항면적이 증가하여 축전지의 용량이 증가한다. 즉 이용전류가 많아진다.
7) 단자 기둥; 납합금이며, 양극 단자기둥은 부식되기 쉬우므로
(양극판이 과산화납이므로 산화가 쉽게 된다.) 부식되었을
때에는 깨끗이 세척하고 그리스를 발라준다.
8) 전해액; 묽은 황산이며 20℃에서 완전 충전시에는 1.260 ~ 1.280 이며, 이를 표준비중이라 하며 완전 방전시는 1.050 정도이다. 우리나라는 1.280(20℃)을 표준비중으로 한다.
①전해액 비중과 온도와의 관계; 온도가 높아지면 비중은 작아 지고, 온도가 낮아지면 비중은 커진다.
P285
② 전해액 비중과 충전상태; 전해액의 비중은 방전량에 비례하 여 저하된다. 축전지를 방전상태로 오래두면 극판이 영구 황산납이되어 축전지의 기능을 상실한다. 따라서 비중이 1.200 (20℃)정도 되면 보충전 하여야 한다.(15일에 한번씩 보충전)
③ 영구 황산납=유화=설페이션의 원인; 과방전시, 극판 단락시
전해액의 비중이 너무 높거나 낮을 때, 전해액의 부족으로 극판의 노출시, 전해액에 불순물 혼입시, 불충분한 충전의 반복시
9) 축전지의 특징
① 기전력; 셀당 기전력은 2 .1 V 이며 전해액의 온도의 저하에 따라 낮아진다.
② 방전끝 전압 = 방전 종지 전압; 축전지를 어떤 전압 이하로 방전하여서는 안되는 전압을 말하며 1셀당 1.7~1.8V (1.75V) (10.5V)이다. 방전끝 전압 이하로 방전을 하면
극판이 손상되어 축전지의 기능을 상실한다.
10) 축전지 용량; 완충전된 축전지를 일정 전류로 연속 방전하여 방전 중의 단자 전압이 규정의 방전끝 전압이 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는 전기적 용량이다.
AH(암페어시 용량) = A (일정 방전 전류) × H(방전 시간)
① 축전지 용량 크기 결정 요소; 극판의 크기(면적),
극판의 수. 전해액의 양
② 20시간율; 일정 방전전류를 연속 방전하여 셀당 방전끝
전압이 1.75V 될 때까지 20시간 방전할 수있는 전류의 총량
③ 25암페어율; 26.6℃ (80℉)에서 일정 방전전류(25A)로
방전하여 셀당 전압이 1.75V에 이를 때까지 방전하는 것을 측정하는 것으로 발전기 고장시 등에 부하에 전류를 공급하 기 위한 축전지 능력을 표시한다.
④ 냉간율; -17.7℃(0℉)에서 300A로 방전하여 셀당 전압이 1V 강하하기까지 몇 분 정도 소요되는가를 표시한다.
11) 축전지 자기 방전 원인
① 음극판의 작용물질 (납)이 황산과의 화학작용으로 황산납이 되면서 자기방전이 되며 이때 수소가스가 발생한다.
② 전해액에 포함된 불순 금속 때문에 국부 전지가 형성되어 방전된다.
③ 탈락한 극판의 작용물질 등에 의한 단락에 의한 경우.
④ 축전지 커버 윗면에 부착된 전해액이나 먼지등에 의한 누전
12) 자기 방전량은 전해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비중이 클수록
크다. 24시간 동안 실용량의 0.3~1.5% 정도이다.
P292 제 3장 점화 장치
1) 축전지 점화식; 축전지, 점화 스위치, 점화 1차저항, 점화코일, 배전기 어셈블리, 점화플러그와 케이블로 구성된다.
① 점화 1차 저항; 점화코일이 과열되는것을 방지한다.
최근에는 밸러스트 저항을 설치하여 기관의 회전속도가 낮을 때에 긴 시간에 걸쳐 많은 전류가 흘러 저항에 열이 발생하면 저항이 커져 점화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작게 되고, 기관이
고속회전할 때는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게 하는 가변저항을 두고 있다.
② 점화코일; 일종의 승압 변압기이다.
③ 점화코일의 원리; 점화코일은 1차코일에서의 자기유도작용과 2차코일에서의 상호유도작용을 이용하고 있다.
* 자기유도작용; 코일 자신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키면 코일 과 교차하는 자력선도 변화되기 때문에 코일에 그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기전력이 발생하는 작용이다. 자기유도
작용은 코일의 권수가 많을수록, 철심이 들어 있으면 더욱 커진다.
* 상호유도작용; 하나의 전기회로에 자력선의 변화가 생겼을 때 그 변화를 방해하려고 다른 전기회로에 기전력이 발생되 는 현상을 말한다.
L = 자기인덕턴스
I = 전류
t = 시간(sec)
E = 기전력의 크기
④ 점화코일의 구조; 철심은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12.17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14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