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DS-PAGE에서 단백질이 분리되는 원리는?
2. SDS의 역할은?
3. Stacking gel 과 running gel 이 하는 역할은?
4. 2-propyl alcohol을 사용하는 이유는?
5. Disulfide bond를 끊어주는 reducing agent를 두 가지만 쓰시오.
6. 실험에서 사용한 running gel에서 acrylamide의 최종 농도를 대략 계산하시오.
7. 실험에서 사용한 sample 결과 분석 (실험에서는 2가지 sample를 사용)
8. Coomassie blue의 염색원리와 staining & destaning solution 에 methanol이 들어가는 이유를 쓰시오.
9. 고찰
2. SDS의 역할은?
3. Stacking gel 과 running gel 이 하는 역할은?
4. 2-propyl alcohol을 사용하는 이유는?
5. Disulfide bond를 끊어주는 reducing agent를 두 가지만 쓰시오.
6. 실험에서 사용한 running gel에서 acrylamide의 최종 농도를 대략 계산하시오.
7. 실험에서 사용한 sample 결과 분석 (실험에서는 2가지 sample를 사용)
8. Coomassie blue의 염색원리와 staining & destaning solution 에 methanol이 들어가는 이유를 쓰시오.
9. 고찰
본문내용
(dithiotheritol)
6. 실험에서 사용한 running gel에서 acrylamide의 최종 농도를 대략 계산하시오.
1. solution A : 40% acrylamide 2. 사용된 solution A 양 : 2ml
3. total mixing solution의 양 : 약 8.2ml
계산 : ( 2ml / 8.2ml ) * 40% = 약 9.7%
따라서, 사용한 최종농도는 약 9.7%가 된다.
7. 실험에서 사용한 sample 결과 분석 (실험에서는 2가지 sample를 사용)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샘플은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였다.
사진 속에 표시한 라인이 내 것인데 첫 번째 라인이 동물세포 두 번째 라인이 식물세포를 로딩한 것이다. 마커와 비교해 볼 때 동물세포 샘플은 Myosine이고 식물세포 샘플은 Alcohol dehydrogenase 임을 알 수 있다.
정제되지 않은 샘플의 실험의 경우 여러 가지 단백질이 섞이게 되어 밴드가 여러가지가 나올 것이지만 정제된 경우 하나의 진한 밴드가 나타날 것이다. 우리 실험의 결과도 두드러진 밴드가 나온 것으로 보아 정제과정을 거친 샘플일 거란생각이 든다.
8. Coomassie blue의 염색원리와 staining & destaning solution 에 methanol이 들어가는 이유를 쓰시오.
-Coomassie blue의 염색원리
Coomassis는 단백질에 결합하는 성질이 있어 gel위의 염기성단백질과 결합한다. 6개의 그룹들과 2개의 sulfonic acid group들을 통해서 단백질과 결합하는데 소수성 결합(hydrophobic interaction with Trp, Tyr, His, Phe)과 반데르 발스 결합(Lys, Arg)을 통해 결합한다. 원래 Coomassis blue는 붉은색이나 단백질과 결합을 하면 파란색으로 변하게 된다.
-staining & destaning solution 에 methanol 이 들어가는 이유
methanol의 역할은 단백질을 gel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염색을 할때 소수성결합을 이용하기 때문에 에탄올 보다 더 소수성이 강한 메탄올을 사용하게 된다. 때문에 메탄올이 다 날아가 버리면 염색이 잘 되지 않고 gel이 부풀 수도 있다. 그리고 단백질 고정이 잘되면 destaning시간을 덜어준다.
9. 고찰
이번 실험은 DNA전기영동과는 다른 단백질전기영동 방법이었다. DNA때는 눕힌 상태로 진행
6. 실험에서 사용한 running gel에서 acrylamide의 최종 농도를 대략 계산하시오.
1. solution A : 40% acrylamide 2. 사용된 solution A 양 : 2ml
3. total mixing solution의 양 : 약 8.2ml
계산 : ( 2ml / 8.2ml ) * 40% = 약 9.7%
따라서, 사용한 최종농도는 약 9.7%가 된다.
7. 실험에서 사용한 sample 결과 분석 (실험에서는 2가지 sample를 사용)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샘플은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였다.
사진 속에 표시한 라인이 내 것인데 첫 번째 라인이 동물세포 두 번째 라인이 식물세포를 로딩한 것이다. 마커와 비교해 볼 때 동물세포 샘플은 Myosine이고 식물세포 샘플은 Alcohol dehydrogenase 임을 알 수 있다.
정제되지 않은 샘플의 실험의 경우 여러 가지 단백질이 섞이게 되어 밴드가 여러가지가 나올 것이지만 정제된 경우 하나의 진한 밴드가 나타날 것이다. 우리 실험의 결과도 두드러진 밴드가 나온 것으로 보아 정제과정을 거친 샘플일 거란생각이 든다.
8. Coomassie blue의 염색원리와 staining & destaning solution 에 methanol이 들어가는 이유를 쓰시오.
-Coomassie blue의 염색원리
Coomassis는 단백질에 결합하는 성질이 있어 gel위의 염기성단백질과 결합한다. 6개의 그룹들과 2개의 sulfonic acid group들을 통해서 단백질과 결합하는데 소수성 결합(hydrophobic interaction with Trp, Tyr, His, Phe)과 반데르 발스 결합(Lys, Arg)을 통해 결합한다. 원래 Coomassis blue는 붉은색이나 단백질과 결합을 하면 파란색으로 변하게 된다.
-staining & destaning solution 에 methanol 이 들어가는 이유
methanol의 역할은 단백질을 gel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염색을 할때 소수성결합을 이용하기 때문에 에탄올 보다 더 소수성이 강한 메탄올을 사용하게 된다. 때문에 메탄올이 다 날아가 버리면 염색이 잘 되지 않고 gel이 부풀 수도 있다. 그리고 단백질 고정이 잘되면 destaning시간을 덜어준다.
9. 고찰
이번 실험은 DNA전기영동과는 다른 단백질전기영동 방법이었다. DNA때는 눕힌 상태로 진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