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 한옥의 종류, 구조 및 주요 특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옥] 한옥의 종류, 구조 및 주요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옥이란?
2. 전통한옥의 형성 배경
1) 자연환경
2) 사회문화적 배경
3. 한옥의 유형
1) 신분계층에 의한 분류
2) 지붕 재료에 의한 분류
3) 평면 형태의 유형구분
4. 한옥의 특징
1) 환경적 특성 및 환경조절기법
2) 공간적 특성
3) 구조적 특성
5. 한옥의 생태적 특성
6. 전통한옥과 도시한옥의 비교
7. 한옥의 의장요소
1) 한옥 의장요소 추출
2) 한옥의 의장요소 분류

참고자료

본문내용

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것도 있다.
- 기둥 : 기둥은 구조적으로 지붕의 하중을 받아 그 하중을 초석에 전달하며, 실제적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기본 뼈대가 된다. 또 의장적으로 입면구성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주고는 건물의 높이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입면의 주간 거리와 함께 입면의 크기를 형성하는 요소가 된다. 기둥을 단면에 따라 분류하면 원주, 방주, 육각주, 팔각주의 4종으로 나뉘며, 이중 방주, 육각주, 팔각주는 원주에 대립되는 각주에 속한다. 또 기둥의 전체형태에 따라 배흘림 기둥, 민흘림 기둥, 원통형 기둥의 셋으로 구분된다. 배흘림 기둥은 기둥중간부분이 약간 배불린 모습을 말하고, 민흘림 기둥은 기둥윗부분이 좁고 아랫부분이 넓은 모습의 기둥으로 안정감을 주는 기둥이며, 한국건축에서는 입면의 양끝 기둥을 우주라고 하는데, 일반 평주보다 약간 높게 치솟음을 두고 처마선과 용마루선의 조화를 이뤄 안정된 입면을 형성한다. 또한 우주를 안으로 조금 쏠리게 세워 건물이 좌우로 쓰러지게 보일 것을 미리 교정하였다.
- 대청 : 큰 마루라는 의미로 거의 모든 한옥에는 마루칸이 마련되어있다. 보통은 4칸대청이지만 큰 대청은 6칸 대청도 있다. 6칸 대청이란 보통 측면이 2칸이므로 정면이 3칸인 대청을 말한다. 살림집의 대청은 안방과 건넌방사이에 마련되어 방의 출입문은 대청쪽으로 나게 마련이다. 대청은 우물 마루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전면은 트이고 뒷벽에는 당판문을 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청은 여름을 시원하게 나게 하며 대청과 방사 이에 는 분합문이 달려있어서 분합문을 들어 걸면 하나의 큰 공간으로도 통합된다. 한옥에서 입면에서 개방되어져 앞과 뒤가 열려있는 큰 이미지 요소로 작용한다.
- 초석 : 초석은 기둥에 전달되는 하중을 받아 이를 다시 기단을 통하여 지반에 전달시키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먼저 재료의 가공여부에 따라 막돌초석과 다듬돌 초석으로 크게 분류된다. 다듬돌 초석은 자연에서 채취한 막돌을 가공하여 지상에 노출되는 부분을 정교하게 잘 다듬은 것을 말하며 지면에 노출되는 부분의 가공수법에 따라 원형초석, 방형초석, 팔각형초석, 원주형초석으로 나눈다.
- 기단 : 기단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 까지 모든 건축에 필수적으로 형성되어 왔다. 기단을 분류하여 보면 첫째, 단을 쌓는 재료에 따라 토단, 전축기단, 석축기단으로 분류되며 둘째, 단의 수에 따라 단층기단, 다층기단으로 나뉜다. 셋째, 마감 석재의 형태와 층의 형태에 따라 막돌허튼층쌓기, 막돌 바른층 쌓기, 다듬돌허튼층쌓기, 다듬돌 바른층 쌓기 등으로 분류되며, 넷째 쌓는 방법에 따라 적석식기단, 가구식기단으로 분류된다.
- 계단 : 기단을 오르기 위한 시설물로 보통 기단에 어울리는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진다.
토축기단과 자연석 기단에서는 자연석을 이용해 자연석을 이용해 계단을 만들고, 장대석기단과 가구식 기단에서는 장대석을 쌓아 올려 계단을 만든다. 대부분의 경우 장대석 계단에서는 계단 양쪽 측면 마구리가 보기 흉하므로 계단면석으로 마감을 한다.
- 담장 : 담장은 그 건축주의 사회적 신분에 의하여 의장을 달리한다. 즉 서민 주택의 담장은 돌담이나 흙담으로서, 그 상부에 설치하는 지붕은 초가지붕으로 처리하여 주건축의 지붕과 동일하게 한다. 또 중.상류 주택이나 사찰 관아 건축에서는 기와지붕을 하며, 궁궐에서는 담장에 양동을 설치 뚜렷한 신분의 차이를 나타내는 바, 궁궐의 담장은 주택의 담장보다 훨씬 높다. 또 한국의 담장은 경사면을 따라 담장이 내려올 때 윗면이 경사지는 것이 아니라 수평으로 단을 만들면서 건축되기 때문에 독특한 율동미를 가지고 있다. 서민 주택에서는 담장이 단순히 대지의 경계선을 상징하는 성격이 강하고, 상류주택에서는 외부에 대한 방어적인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 대문 : 한국건축에서 대문의 의장은 주택에 있어서는 계급에 따라 양식을 달리하고, 크게는 건축물의 종류에 따라 딸라짐을 알 수 있다. 대문의 종류를 분류하여 보면, 삽작문과 바자문, 평대문, 솟을대문, 일각대문으로 분류되며, 삽작문과 바자문은 보통 농가나 초가에 설치되는 문으로 설치된 담장과 대부분 같은 구성재로 되어진다. 평대문은 기와 지붕을 한 일반 서민주택이나 중류주택에서 몸채 또는 행랑채와 같은 지붕 속에 문을 설치한 양식이다. 솟을대문은 대문이 설치되는 행랑채보다 한층 높게 지붕을 솟게 한 것으로 가마를 타고 바로 들어갈 수 있게 한 것이다. 일각대문은 주로 이 마당과 저 마당을 구획하는 담장에 설치된 대문이다.
- 굴뚝 : 굴뚝은 온돌구조와 함께 발달 했으리라 짐작되며, 각종 굴뚝을 분류하여 보면, 그 양식상 간이형, 독립형, 복합형으로 나누어지고 굴뚝의 의장상으로 분류하면, 흙+막돌쌓기, 검은벽돌+기와+연가, 붉은 벽돌+기와+연가, 흙+기와편+돌+기와지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굴뚝은 구성재를 주 건축의 구성 재료와 동질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통일성을 가져오고, 굴뚝에 이용된 장식적 무늬는 바로 담장이나 합각부 등에 다시 반복됨으로써 쉽게 통일성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자료
강영환,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1991.
강영환, 집으로 보는 우리 문화이야기, 2000.
권영결, 공간디자인, 국제, 2001.
박용하, 21세기 자연환경보전정책 발전방향,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환경부, 2001.
신영훈, 한옥의 미학, 한길사, 1985.
신영훈,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한옥, 현암사, 2000.
이명근, 한옥의 이미지를 응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이승복, 한국 전통민가의 환경조절기법, 한국설비기술협회지 19호, 2002.
전봉희, 한옥건축 산업화를 위한 기반구축 심포지엄, 현 단계 한옥활성화의 제 문제, 2008.
정기용, 흙과 건축, 이상건축, 2001.
주남철, 한국의 목조건축,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한경희 외, 생태학적 관점에 의한 전통 주거의 실내디자인 특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실내디지안학회 논문집 29호, 2001.
한재수, 전통 한옥 보급 확대와 세계화 전략, 한 브랜드화 정책포럼 자료집, 2005.

키워드

한옥,   구조,   의미,   종류,   특징,   형성배경,   유형,   의장요소
  • 가격2,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2.02.03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70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