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문 가사와 한문 가사
2. 관련 사적
3. 국어학적 분석
4. 현대어 풀이
2. 관련 사적
3. 국어학적 분석
4. 현대어 풀이
본문내용
두려워하여 그 형에게 태자 자리를 양보하력 했다. 그러나 예종은 그 말을 듣지 않고 태자가 반란군을 토벌한 공을 생각하여 도리어 그에게 양위하였다.
태종이 정도전의 난리를 평정한 뒤 모든 사람들이 그를 세자로 삼을 것을 태조에게 간청했다. 그러나 태종은 사양하고, 둘째 형 방과를 왕위에 오르게 했는데, 그가 곧 정종이다. 그 뒤 넷째 형 방간이 박포의 말을 듣고 난을 일으키려고 태종을 집으로 청했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태종이 병이 나서 가지 못했다. 마침내 방간이 군사를 일으켰다가 패주하자 태종은 박포는 죽였으나 방간은 죽이지 않았다. 방간의 난 이후에 태종은 세자가 되었다.
3. 국어학적 분석
‘아미를’의 ‘아미’는 아주머니의 옛말이고, ‘-를’은 목적격 조사이다. ‘저샤’는 두려워하다의 옛말이 ‘
태종이 정도전의 난리를 평정한 뒤 모든 사람들이 그를 세자로 삼을 것을 태조에게 간청했다. 그러나 태종은 사양하고, 둘째 형 방과를 왕위에 오르게 했는데, 그가 곧 정종이다. 그 뒤 넷째 형 방간이 박포의 말을 듣고 난을 일으키려고 태종을 집으로 청했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태종이 병이 나서 가지 못했다. 마침내 방간이 군사를 일으켰다가 패주하자 태종은 박포는 죽였으나 방간은 죽이지 않았다. 방간의 난 이후에 태종은 세자가 되었다.
3. 국어학적 분석
‘아미를’의 ‘아미’는 아주머니의 옛말이고, ‘-를’은 목적격 조사이다. ‘저샤’는 두려워하다의 옛말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