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LC 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LC 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가. 크로마토그래피
나. 크로마토그래피의 분류
<표1>
다. 분배크로마토그래피
라. 흡착크로마토그래피
마. Ion-exchange 크로마토그래피
바. Size exclusion 크로마토그래피
사.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
아. 크로마토그램
자. 칼럼의 효율
차. 정성 및 정량분석의 원리

3. Materials & Methods
가. Materials
① TLC chamber
② TLC 판
나. Methods
※ <표2> TLC판 전개 후 Rf값 결과

5. Discussion
<관련 논문>

6. Reference

본문내용

0.956
4조
0.947
0.956
0.973
0.513
0.069
0.982
0.982
실험 2조는 올리브유를 5.0264g을 둥근 플라스크에 취했고, CHCl3 : Methanol = 1 : 1 혼합액 10ml을 가한 후, 30분간 방치하고, 그 동안에 항량된 100ml 둥근 플라스크의 무게를 측정해 보니 124.4217g 이였다. 그 다음 깔때기에 filter paper를 놓고, 그 위에 Na2SO4를 넣은 상태에서 방치해 둔 혼합물을 거르면서 100ml 둥근 플라스크에 주입한다. 걸러진 시료를 evaporator로 용매를 제거한 뒤 수기의 무게를 측정해보니 127.2846g 이였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 플라스크 무게 124.4217g과 127.2846g의 차에 의해 시료무게는 2.1635g임을 알 수 있었고 이것을 5%용액이 되도록 CHCl3를 넣기 위한 양은 다음 공식과 같다.
( x=CHCl3 의 양, 여기서 100 곱하는 것은 %을 나타내기 위함.)
시료무게는 2.1635g이기 때문에 공식에 대입하면,
즉, CHCl3 를 41.1065g 만큼 넣어줘야 5% sample을 만들 수 있다.
그 다음 각각의 시료를 TLC판에 전개 시켜 보니, 용매의 이동거리는 15.2 cm이고 각각의 시료의 이동거리는 TG는 10.4cm, Oleic은 10.5cm, Linoleic은 10.6cm, Cholesterol은 검출이 안 되었다. MG는 0.7cm, Mix된 것은 10.5cm, 우리가 제조한 5% Sample은 10.4cm이다.
각각 시료의 Rf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그러므로, 각 시료의 Rf는 TG=0.684, Oleic=0.691, Linoleic=0.697, Cholesterol=미검출, MG=0.0461, Mix=0.691, Sample=0.684 이다.
5. Discussion
TLC를 이용해서 각 시료의 극성 또는 비극성 성질에 따라 Spot의 위치가 달라 Rf값을 비교하여 정성분석을 알 수 있고, Spot의 크기를 통해 대략적으로 정량분석도 가능한지 알아보았다. 우리가 이번 실험에 사용한 Sample은 올리브유이다. 올리브유의 지방산조성은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의 함량이 65∼85%로 가장 많으며, 포화지방산으로는 팔미트산이 많다. 아무래도 Oleic acid가 주성분이기 때문에 우리가 비교 실험했던 Oleic acid의 Rf값에 따라 올리브유는 Oleic acid가 많이 함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각각 시료의 TLC와 친화력을 보자면 MG는 Rf값이 가장 적기 때문에 TLC와 친화력이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고, Oleic acid는 Rf값이 가장 크기 때문에 TLC와 친화력이 가장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2조와 1조는 Cholesterol의 Rf값을 구할 수가 없었는데, 용매의 이동거리는 구할 수 있었지만, 용질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려고 했으나 Spot이 보이지가 않아 확인불가였다. 이렇게 용질이 이동한 Spot이 나오지 않은 이유를 문헌에서 찾아보니 TLC의 Rf값은 시료의 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실험 1, 2조는 모세관을 사용하여 점적하는 과정에서 Cholesterol 양을 적절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또 다른 오차의 원인으로는 TLC판에 연필로 선을 그을 때, TLC판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점적하는 그 부위에 흠집이 생겨 전개가 안 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이번 TLC를 사용한 실험은 다른 기기 분석 때와는 달리 정확한 실험의 결과를 얻는 것이 매우 힘들다고 생각했다. 정량분석을 Spot의 크기로 대략적으로 추측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그것 역시 힘들었다. 그리고 각각의 시료의 이동거리도 TG, Linoleic, Oleic 등 확연히 구별되지 않았고, 이 정도의 차이는 실험의 오차에 따라 쉽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TLC 방법 하나로 판단하기에는 정확성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TLC는 간편하게 물질들을 구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정확하고 섬세한 분리가 필요한 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적절하지 않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관련 논문>
위 논문은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상재균에 대한 피부 항균 작용에 대한 연구를 한 것이다. TLC 및 HPLC를 이용한 성분 분석을 통해 항산화 성분을 밝혀내고 항균 활성 및 항산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 위 논문을 실험 목적이라고 한다.
이번에 우리 식화실험에서 사용한 방법은 TLC이기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2.12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78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