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성파 실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탄성파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산악터널 설계를 위한 지반조사의 종류 및 방법
1.지반조사의 목적
2.지반조사 단계
1)예비조사
2)세부조사
3)실내시험
4)설계반영
3.지반조사에서의 유의사항


II. 지표 불연속면 조사시 고려해야할
불연속 면의 특성
1.지표지질조사
1)수행시 준비사항
2)대표적 지질구조
2.조사 방법
3.조사요소
4.자료처리
5.자료이용

III. 참고문헌

IV. 맺음말

본문내용

전위전극을 위치시키고 전류전극 사이 의 간격을 로그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수직적인 전기비저항의 변화를 탐지한다. 우리나라에서 수직 전기비저항 탐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극배열이다.
(5) 웨너 배열 :
슐럼버저 배열과 비슷하나 전류전극 및 전위전극 간의 간격이 동일한 배열 방법. 보통 동일 간격의 전극을 측선상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시켜 가며 지하의 수평적인 전기적 물성 분포를 파악하며, 지하의 전기 비저항이 매우 낮은 미국 등지에서 많이 사용된다. 측정값은 역시 전위전극의 중심 하부에 표시한다. 웨너 배열에서 전위전극 중 앙에 하나의 전위전극을 추가한 배열을 리 배열이라 한다.
3.원리
땅은 그 구성물질의 성질이나 상태에 따라 전류가 흐르기 쉬운 부분과 흐르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러한 전류 흐름의 쉽고 어려운 정도를 전기비저항 (단위: ohm-m, 전기전도도의 역수)이라는 물성값으로 표현한다. 전기비저항이 작을수돌 전류는 잘 흐르게 된다. 지하에 전류를 흘려 보내면 지하의 전기비저항 분포와 지형에 따라 전위가 분포하게 되는데, 지표 또는 시추공 내에서 측정한 이 전위 분포로부터 지하의 전기비저항 분포를 추정하는 방법이 전기비저항탐사이다.
4.적용분야
-대수층이나 지층의 분포, 단층 파쇄대, 열수 변질대나 풍화대의 분포 등을 알아냄
5. 조사장비
6.조사결과
3. PS검층 (터널 및 시추공을 이용한 탐사)
:~ 지표에 설치한 진원으로부터 P파 및 S파를 발생시켜, 공벽에 압착되어 있는 수신기로 관측한 파동기록으로부터 주시곡선을 작성해 구간속도를 구한다. 최근에는 내진 설계상 깊은 심도에 있어서의 P파 및 S파의 속도, 특히 S파 속도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용 범위 : P파와, S파의 속도를 이용하여 지층구분 및 암반분류의 지표로 이용됨
암석 시험 결과를 이용한 균열계수로부터 지반의 역학적 상수를 산출함
* 참고자료 : PS 검층 자료 조사
1.P-S파 검층
지반에 대한 내진설계에 있어서 지진발생과 같은 동적 조건하에서 지반의 동적 거동 해석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동전단계수(Gd), 동탄성계수(Ed), 동포아슨비(υ) 등과 같은 지반의 동적물성치가 필요함.
Suspension PS 검층법(Suspension PS Logging Test)은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현장 탐사 시험방법으로 Probe를 공내에 삽입하여 상향시켜 가며 공내에서 발진과 수진을 실시, 각 지층별 P파(Compressional wave), S파(Shear wave) 속도를 검출하는 방법.
< 탐사상황 및 장비사진 >
< SPS검층 모식도 > < SPS검층 결과도>
<개 요>
1) 공내발진, 수진이 가능한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써 기존의 Down hole 방법이 불가능한 해상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다.
2) 발진, 수진을 공내에 압착시키지 않고 측정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Down hole 방법에 비해 작업효율이 좋다.
3) 기존의 Down hole 방법은 주시곡선으로 측정구간 심도의 평균속도를 구할 수 있는 반 면, Suspension PS검층은 1m구간의 구간속도를 구한다. 따라서 지반의 탄성파 속도와 지층의 특성을 직접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
4) Suspension PS검층법의 진원의 주 주파수가 300~1000Hz로써 Down hole법에 비해 10배 정도의 높은 주파수대역을 가진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속도측정이 가능하다.
<용도>
보링공내에서 P파, S파속도를 측정하여 해상 또는 육상 구조물의 내진 설계에 반 드시 필요한 지반물성치인 동포아송비, 동강성률, 동탄성계수를 산출
<측정방법>
표준형 발진기와 수진기를 포함하는 Probe를 보링공내의 탐사심도에서 위치 한 후 두 수진기 사이의(1m) 도착시간 차이를 측정한다. 발진기로는 Solenoid 코일에 전류를 흘려서 철심이 수평으로 움직이는 전자진원을 사용하였고, 수진기는 압착이 필 요없는 수진기를 이용하여 수직(P파), 수평(S파)의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되어있다.
(3)실내시험(보완 조사)
1)토질시험 - 흙의 기본물성, 입도분포, 강도정수, 압밀시험, 다짐, 투수시험 등
2)암석시험 - 암석의 기본물성, 강도정수, 탄성파속도, 절리면 전단시험 등
3)기타 - 골재활용성 평가, 수질분석, 절대연령 측정 등
(4)설계반영
-터널 및 비탈면 설계(연속체 및 불연속체 물성치 산정, 암반분류)
-토공 설계
-교량 및 구조물 기초 설계(지지층 결정, 기초형식 결정, 지지력 및 침하량 검토)
3. 지반 조사에서의 유의사항
1)작업자의 기술 수준 문제
-작업자가 지질 및 지반공학에 관한 지식이 부족한 경우
-과업에 대한 이해부족
-장비 취급 능력이 부족하거나 숙달되지 못한 경우
2)표준관입 시험
3)시료취급의 문제
-시료의 채취 및 운반, 추출
4)검정 및 교정의 문제
5)시험기준과 시험의 표준화
참고자료
<지반조사 기본적 모식도>
<표준관입시험>
II. 지표지질조사시 고려해야 할 불연속면특성
1.지표지질 조사
-사업지역 일대의 지표상의 흙과 암석 등의 지반분포 특성, 단층, 습곡, 절리 등 지질 구조의 발달상태 등 을 파악하여 지질도를 작성하고 전체적 인 사업 계획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질 재해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 여 수행한다.
1)지표지질조사 수행시 준비 사항
-지형도 구매 : 사업지역내의 지형 파악을 위해
-지질도 숙지 : 사업지역내의 암종 및 구조선 발달 상황 파악을 위해
-위성사진 및 DEM(Degital Elevation Model) 분석 : 구조선의 분석, 단 층대의 위치 파악, 산계, 수계, 식생 및 노두 위치의 파악
-대표적 암상 : 화성암 (화강암, 현무암)
변성암 (편암, 편마암)
퇴적암 (사암, 셰일)
2)대표적 지질구조
-단층 : 지각중에 생긴 틈을 경계로 하여 그 양측의 지괴가 상대적으로 전 이하여 생긴틈, 지층에 작용하는 압축력이나 장력에 의해 발생하고, 단층지괴의 크기는 암석의 강도, 단층면의 마찰계수, 단층의 경사각, 공극압력, 그리고 최대응력축의 방향등에 의해 좌우된다.
(1)단층대 : 평행한 몇 개의 단층이 발달 되어 있는 지대
(2)단층각력암 : 단층이 미끄러질
  • 가격3,0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12.02.21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85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