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1 구제역이란?
1-2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시기와 범위
1-3 국내 구제역 간염 가축 처리 방법
구제역 긴급 행동 지침
2. 본론
2-1 구제역&침출수의 관계 및 개념
2-2 침출수의 문제점
2-2 침출수에 의한 피해 사례
2-3 구제역&침출수에 대한 국외 대처 공법
2-4 침출수 처리 방법
1-2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시기와 범위
1-3 국내 구제역 간염 가축 처리 방법
구제역 긴급 행동 지침
2. 본론
2-1 구제역&침출수의 관계 및 개념
2-2 침출수의 문제점
2-2 침출수에 의한 피해 사례
2-3 구제역&침출수에 대한 국외 대처 공법
2-4 침출수 처리 방법
본문내용
되면 침출수는 유출되지 않습니다.
○ 매몰지 주변 지하수 오염 우려가 있는 지역에는 상수도 보급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011년 2월 28일 발표내용
그러나 안타깝게도 침출수가 유출되지 않는다는 정부의 발표와 달리 언론에 의해 알려지진 않았지만 과거 과거 AI(조류독감) 발생 당시에도 침출수 오염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011년 발표한 ‘AI 발생 주변지역 환경영향 조사 최종 보고서’의 일부를 발췌하자면 정부측이 주장했던 것처럼 무조건 매몰이 옳은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 2004년 ~ 2010년 5월 조성된, 구제역·AI 매몰지 1200 곳 중 23곳을 선택하여 오염 현황을 조사한 결과 매몰지 8곳(34.8%)에서 침출수가 새나와 인근 지하수와 토양을 오염
*돼지 781마리가 파묻힌 인천 강화군 매몰지의 경우 지하 17m 깊이 지하수의 수질이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기준 772 PPM을 기록
(쓰레기매립장 침출수 : BOD 400~800PPM)
*2004년 AI로 닭 2만여 마리를 묻은 충남 천안시의 매몰지 2곳에선 가축이 파묻힌 지 7년이 지났는데도 현재까지 침출수가 새나와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있음
*시간이 지날수록 매몰지의 침출수 유출이 더 심화
2011년 발표한 ‘AI 발생 주변지역 환경영향 조사 최종 보고서
또한 눈에 보이지 않는 조사 결과 외에도 매몰지 부근에 거주했던 주민들이 우려했던 바대로, 2010년 12월에는경기파주와 경북 영천, 경남 일대의 가축 매몰지에선 '핏물 침출수'가 흘러나와 주민들이불안에 떨어야 했다. 가축이 부패하며 흘러나온 침출수가지하수로 흘러들어가 인근농가의수도꼭지에서 핏빛 물이 새어나오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2-3 구제역&침출수에 대한 국외 대처 공법
구제역이 발생하였을시 발생지 반경 3㎞ 주변의 우제류 가축을 더 이상 구제역이 확산되지 않게끔 예방차원에서 살처분을 하는것은 대부분의 국가와 동일하나(일본은 구제역이 발생한 농가만 살처분한다) 구제역을 차단하기 위해 무조건적으로 발생지 주변지역의 가축들을 농장 터나 인근 지역에 매몰하는 방식의 소규모 매몰 처리를 주로 하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다른 나라들의 경우엔 매몰방식을 최후의 수단으로 생각하고 매몰방식을 사용하기 이전에 다른 공법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
영국 - 상업용 고정소각시설 소각, 렌더링(멸균처리법), 허가된 상업용 매립지 매립의 순으로 구제역 가축 사체를 처리
미국 캘리포니아 주 - 렌더링, 고정소각시설 소각, 허가된 상업용 매립지 매립의 순으로 규정하고 있다. 현지 소각이나 매몰, 퇴비화 등은 최후의 방법으로 선택
네덜란드 - 소각, 열처리 정제 후 소각, 퇴비화나 바이오 가스 자원으로의 활용을 원칙
이 처럼 매몰방식을 최후의 방법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우리보다 앞서 구제역 피해를 당한 영국이 가축의 도살처분 후 매몰 시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조사한 바가 있는데, 이때 가축 사체에서 흘러나오는 액체, 높은 농도의 암모니아와 화학적산소요구량의 침출수, 침출수 안에 살모넬라 등의 병원균과 메탄 등의 가스가 유출됨을 밝혀냈기 때문이다.
2-4 침출수 처리 방법
외국의 사례와는 달리 구제역에 걸린 가축들을 대량으로 좁은 공간에 매장함으로써 침출수오염이 발생하였는데, 앞에서 설명했던것처럼 침출수는 대단히 유해한 오염물질로써 하루라도빨리 처리되어야 할 물질이다.
처리공법으로는 토양에서 분리한 친환경 미생물인 바실러스균의 변이종인 바이오콜로니와 바이오리퀴드를 매몰지에 살포하는 방법이 있는데 매몰지에 대량 살포하는 생석회와 만나 가장 활발히 반응하여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성함으로써 생분해를 촉진하여 단백질 분해에 따른 악취발생, 오염 침출수의 용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구제역 매몰지 침출수가 유출되어 이설되는 매몰지의 사후처리에도 용이하며, 새로 이설하는 매물조에 바이오콜로니와 바이오리퀴드를 살포하면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바이오리퀴드 살포 이후 수소이온농도(pH)가 5 이하거나 10 이상일 경우 구제역균이 사멸된 것으로 본다.
이후 ph가 5 이하 10 이상이 될시 침출수 흡입용 파이프를 통해 침출수를 추출하여 미리 소독을 마친 침출수 처리차량이 이를 실으면 차량 내에서 침출수 염소소독을 거치고 다시 한 번 차량 방역을 거친다. 이후 침출수를 실은 차량은 가축분뇨처리장으로 이동하고 분뇨처리장에서 1차 정화 처리 과정을 거친다. 이후 하수처리장으로 이동하고 2차 처리 후 하천으로 배출하게 된다.
○ 매몰지 주변 지하수 오염 우려가 있는 지역에는 상수도 보급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011년 2월 28일 발표내용
그러나 안타깝게도 침출수가 유출되지 않는다는 정부의 발표와 달리 언론에 의해 알려지진 않았지만 과거 과거 AI(조류독감) 발생 당시에도 침출수 오염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011년 발표한 ‘AI 발생 주변지역 환경영향 조사 최종 보고서’의 일부를 발췌하자면 정부측이 주장했던 것처럼 무조건 매몰이 옳은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 2004년 ~ 2010년 5월 조성된, 구제역·AI 매몰지 1200 곳 중 23곳을 선택하여 오염 현황을 조사한 결과 매몰지 8곳(34.8%)에서 침출수가 새나와 인근 지하수와 토양을 오염
*돼지 781마리가 파묻힌 인천 강화군 매몰지의 경우 지하 17m 깊이 지하수의 수질이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기준 772 PPM을 기록
(쓰레기매립장 침출수 : BOD 400~800PPM)
*2004년 AI로 닭 2만여 마리를 묻은 충남 천안시의 매몰지 2곳에선 가축이 파묻힌 지 7년이 지났는데도 현재까지 침출수가 새나와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있음
*시간이 지날수록 매몰지의 침출수 유출이 더 심화
2011년 발표한 ‘AI 발생 주변지역 환경영향 조사 최종 보고서
또한 눈에 보이지 않는 조사 결과 외에도 매몰지 부근에 거주했던 주민들이 우려했던 바대로, 2010년 12월에는경기파주와 경북 영천, 경남 일대의 가축 매몰지에선 '핏물 침출수'가 흘러나와 주민들이불안에 떨어야 했다. 가축이 부패하며 흘러나온 침출수가지하수로 흘러들어가 인근농가의수도꼭지에서 핏빛 물이 새어나오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2-3 구제역&침출수에 대한 국외 대처 공법
구제역이 발생하였을시 발생지 반경 3㎞ 주변의 우제류 가축을 더 이상 구제역이 확산되지 않게끔 예방차원에서 살처분을 하는것은 대부분의 국가와 동일하나(일본은 구제역이 발생한 농가만 살처분한다) 구제역을 차단하기 위해 무조건적으로 발생지 주변지역의 가축들을 농장 터나 인근 지역에 매몰하는 방식의 소규모 매몰 처리를 주로 하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다른 나라들의 경우엔 매몰방식을 최후의 수단으로 생각하고 매몰방식을 사용하기 이전에 다른 공법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
영국 - 상업용 고정소각시설 소각, 렌더링(멸균처리법), 허가된 상업용 매립지 매립의 순으로 구제역 가축 사체를 처리
미국 캘리포니아 주 - 렌더링, 고정소각시설 소각, 허가된 상업용 매립지 매립의 순으로 규정하고 있다. 현지 소각이나 매몰, 퇴비화 등은 최후의 방법으로 선택
네덜란드 - 소각, 열처리 정제 후 소각, 퇴비화나 바이오 가스 자원으로의 활용을 원칙
이 처럼 매몰방식을 최후의 방법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우리보다 앞서 구제역 피해를 당한 영국이 가축의 도살처분 후 매몰 시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조사한 바가 있는데, 이때 가축 사체에서 흘러나오는 액체, 높은 농도의 암모니아와 화학적산소요구량의 침출수, 침출수 안에 살모넬라 등의 병원균과 메탄 등의 가스가 유출됨을 밝혀냈기 때문이다.
2-4 침출수 처리 방법
외국의 사례와는 달리 구제역에 걸린 가축들을 대량으로 좁은 공간에 매장함으로써 침출수오염이 발생하였는데, 앞에서 설명했던것처럼 침출수는 대단히 유해한 오염물질로써 하루라도빨리 처리되어야 할 물질이다.
처리공법으로는 토양에서 분리한 친환경 미생물인 바실러스균의 변이종인 바이오콜로니와 바이오리퀴드를 매몰지에 살포하는 방법이 있는데 매몰지에 대량 살포하는 생석회와 만나 가장 활발히 반응하여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성함으로써 생분해를 촉진하여 단백질 분해에 따른 악취발생, 오염 침출수의 용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구제역 매몰지 침출수가 유출되어 이설되는 매몰지의 사후처리에도 용이하며, 새로 이설하는 매물조에 바이오콜로니와 바이오리퀴드를 살포하면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바이오리퀴드 살포 이후 수소이온농도(pH)가 5 이하거나 10 이상일 경우 구제역균이 사멸된 것으로 본다.
이후 ph가 5 이하 10 이상이 될시 침출수 흡입용 파이프를 통해 침출수를 추출하여 미리 소독을 마친 침출수 처리차량이 이를 실으면 차량 내에서 침출수 염소소독을 거치고 다시 한 번 차량 방역을 거친다. 이후 침출수를 실은 차량은 가축분뇨처리장으로 이동하고 분뇨처리장에서 1차 정화 처리 과정을 거친다. 이후 하수처리장으로 이동하고 2차 처리 후 하천으로 배출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