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여성주의와 여성주의 문학비평 : 정의
II. 역사적 개관과 여성주의 비평의 주요 주제
III. 네가지 주요한 현행 실제
A. 성별 연구
B. 맑시스트 여성주의 (막스 이론 차용)
C. 정신 분석적 여성주의
D. 소수 집단 여성주의 비평
IV. 여성주의 문학 연구의 미래 : 몇 가지 문제점과 한계
V. 여성주의 비평 방법의 실제
A. 대리석 납골당
B. “영 굿맨 브라운”에서 남성, 여성과 신앙의 상실
II. 역사적 개관과 여성주의 비평의 주요 주제
III. 네가지 주요한 현행 실제
A. 성별 연구
B. 맑시스트 여성주의 (막스 이론 차용)
C. 정신 분석적 여성주의
D. 소수 집단 여성주의 비평
IV. 여성주의 문학 연구의 미래 : 몇 가지 문제점과 한계
V. 여성주의 비평 방법의 실제
A. 대리석 납골당
B. “영 굿맨 브라운”에서 남성, 여성과 신앙의 상실
본문내용
이라 생각된다. 본디 공격적이고
그 자체의 명칭이 “Women" (백인의 경우 ”Ladies" 라 명명
되었지만)에서 “Ladies" 로의 전환을 거세게 요구했던 흑인
여성운동가들의 시선으로 이 작품을 조망해 본다면 자신들
내에서는 인권 신장의 한 형태를 볼 수 있을 지도 모른다.
각종 달콤하거나 위협적인 말들로 여인을 꼬시는 행위 자체가
흑인 여성이 ”Women"에서 “Ladies" 로의 취급을 받게 됐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백인 여성으로서는 진정한 여성 (다소
공격적이고, 남성다워지려는) 으로 치부 받지 못하고 여전히
과거 ”Ladies"의 속성으로 남아 있게 되는 것이다.
B. “영 굿맨 브라운”에서 남성, 여성과 신앙의 상실
이 작품의 작가인 호손은 당시 대부분의 작가와는 다른 태도로 여성을 다루었다. 여기서 브라운의 아내로 등장하는 페이스는 상징적 인물이다. 이 이야기는 악마가 상징하는 아버지 상을 위해서 여성 (페이스) 을 거절하는 심리적 단편이다.
그래서 선과 악의 특성에 성이 부여되어 있다. 결혼한 지 얼마 안된 브라운은 페이스를 거부하고 집회에 간다. 여기서 집회는 성행위를 포함하고 있다. 그가 가는 길에 만나는 악마는 아버지를 닮은 남자인데 여기서 브라운은 성인의 성적 탐닉을 버리고 끔찍한 아버지의 처분에 따르는 무력한 상태로 퇴행한다.
페이스는 이 단편에서 방해물과 같은 존재일 뿐이다. 사탄의 집회에서 펼쳐지는 의식은 사탄의 결혼임이 판명된다.
작품 속에 반복되는 분홍색 리본은 브라운이 길을 가면서 머리 위 구름으로부터 그녀의 목소리를 들을 때, 그녀의 성적 매력 뿐 아니라 그녀의 신앙의 상징인 리본이 펄럭이며 떨어진다. 이후에 성스럽지 못한 의식으로부터 헤어 나오기 위해 페이스를 불러 보지만 너무 늦어 그녀는 사라진다. 집회가 진행되는 동안 그는 마을에서의 실제 결혼을 거부했듯이 숲 속에서의 가짜 결혼도 거부한다.
반대로 악마는 브라운의 세계보다 훨씬 더 큰 세계에 속하는 남자 중의 남자이다. 브라운은 그를 매력적으로 본다. 그는 브라운에게 자신과의 가려진 모습으로 관계되는 사람들에 대해 얘기한다.
브라운의 문제는 인간을 선과 악의 혼합으로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결국 브라운은 오염된 인간이 되었고 장례 행렬 때에도 페이스와 그녀의 자녀들이 그의 죽음에 떨기보다는 그의 좌절된 자아, 실패한 남편, 아버지와 더불어 그 모든 공허한 세월을 살았을 것을 생각하며 몸을 떤다.
그 자체의 명칭이 “Women" (백인의 경우 ”Ladies" 라 명명
되었지만)에서 “Ladies" 로의 전환을 거세게 요구했던 흑인
여성운동가들의 시선으로 이 작품을 조망해 본다면 자신들
내에서는 인권 신장의 한 형태를 볼 수 있을 지도 모른다.
각종 달콤하거나 위협적인 말들로 여인을 꼬시는 행위 자체가
흑인 여성이 ”Women"에서 “Ladies" 로의 취급을 받게 됐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백인 여성으로서는 진정한 여성 (다소
공격적이고, 남성다워지려는) 으로 치부 받지 못하고 여전히
과거 ”Ladies"의 속성으로 남아 있게 되는 것이다.
B. “영 굿맨 브라운”에서 남성, 여성과 신앙의 상실
이 작품의 작가인 호손은 당시 대부분의 작가와는 다른 태도로 여성을 다루었다. 여기서 브라운의 아내로 등장하는 페이스는 상징적 인물이다. 이 이야기는 악마가 상징하는 아버지 상을 위해서 여성 (페이스) 을 거절하는 심리적 단편이다.
그래서 선과 악의 특성에 성이 부여되어 있다. 결혼한 지 얼마 안된 브라운은 페이스를 거부하고 집회에 간다. 여기서 집회는 성행위를 포함하고 있다. 그가 가는 길에 만나는 악마는 아버지를 닮은 남자인데 여기서 브라운은 성인의 성적 탐닉을 버리고 끔찍한 아버지의 처분에 따르는 무력한 상태로 퇴행한다.
페이스는 이 단편에서 방해물과 같은 존재일 뿐이다. 사탄의 집회에서 펼쳐지는 의식은 사탄의 결혼임이 판명된다.
작품 속에 반복되는 분홍색 리본은 브라운이 길을 가면서 머리 위 구름으로부터 그녀의 목소리를 들을 때, 그녀의 성적 매력 뿐 아니라 그녀의 신앙의 상징인 리본이 펄럭이며 떨어진다. 이후에 성스럽지 못한 의식으로부터 헤어 나오기 위해 페이스를 불러 보지만 너무 늦어 그녀는 사라진다. 집회가 진행되는 동안 그는 마을에서의 실제 결혼을 거부했듯이 숲 속에서의 가짜 결혼도 거부한다.
반대로 악마는 브라운의 세계보다 훨씬 더 큰 세계에 속하는 남자 중의 남자이다. 브라운은 그를 매력적으로 본다. 그는 브라운에게 자신과의 가려진 모습으로 관계되는 사람들에 대해 얘기한다.
브라운의 문제는 인간을 선과 악의 혼합으로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결국 브라운은 오염된 인간이 되었고 장례 행렬 때에도 페이스와 그녀의 자녀들이 그의 죽음에 떨기보다는 그의 좌절된 자아, 실패한 남편, 아버지와 더불어 그 모든 공허한 세월을 살았을 것을 생각하며 몸을 떤다.
추천자료
[영미문학] 맥베스를 읽고
[영미문학 작품분석] Harold Pinter의 The Birthday Party
[영미문학 페이퍼]- 권력의 허구적인 모습과 진정한 Oleanna의 의미
[영미문학] 영웅 아닌 영웅 더스틴 호프만(버나드 르플란트) - 리틀 빅 히어로
[영미문학분석] At First Sight - 마음의 눈으로 바라보기
[영미문학 페이퍼] 히피세대와 MTV세대...그리고 <로미오와 줄리엣>
[영미문학 페이퍼]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균형상실의 비극
[영미문학분석]
[영미문학페이퍼] 'Jane Eyre'의 페미니즘적인 접근
[영미문학페이퍼] Last Summer in Chulimsk - 인간의 근본 원리의 회복과 화합
[영미문학 기말페이퍼] 맥배스 - Who Can Denounce Macbeth?
[영미문학페이퍼] M. Butterfly - 사회 속의 모순과 편견 깨기
[영미문학페이퍼] The Road to Mecca를 통해 살펴보는 '삶의 의미'
[영미문학페이퍼] The Metamorphosis in Getting Ou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