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와 코민테른
2. 코민테른 세계대회와 통일전선
3. 코민테른의 역사적 의의
2. 코민테른 세계대회와 통일전선
3. 코민테른의 역사적 의의
본문내용
센과 튀링겐에서 노동자정부가 궤멸하게 되자 코민테른 내에는 통일전선전술상의 지노비에프를 중심으로 한 좌익분파주의적 해석이 부상하게 된다.
5) 제5차대회(1924.6.17~7.8)
1921년 말부터 1923년에 이르는 코민테른의 통일전선정책은 전술적으로 제기되어 전략적 지행성을 갖는 것이었으나 1923년 유럽에서의 실패경험은 이 가능성을 폐절시키고 좌편향으로 물꼬를 트게 하였다. 대회는 ‘노동자정부’의 실패가 기존의 ‘위로부터의 통일전선’의 소산이라 규정하고, ‘아래로부터의 통일전선’에 기초한 ‘대중속으로!’라는 방침을 다시 전면에 부각시켜 코민테른 각 지부의 우경화의 방지 및 이를 위한 볼셰비키화를 강력하게 추진하도록 결정하였다. 이러한 좌편향은 통일전선의 지반을 재차 협소화시켜 ‘사회민주당을 부르조아 제3당, 파시즘의 일익(사회파시즘)’이라 규정하며 통일전선 대상에서 배제시켰고, 노동자정부 슬로건은 단지 전략적 책략에 불과한 사실상 프롤레타리아독재의 별칭으로 간주되었다. 이는 레닌의 죽음과도 결부된다. 국제공산주의운동의 강화추세로써 대회는 독일 지도부의 우익기회주의 노선을 단죄하면서 각 지부의 볼셰비키화를 제창하였으며, 소비에트 러시아내의 좌익분파인 트로
5) 제5차대회(1924.6.17~7.8)
1921년 말부터 1923년에 이르는 코민테른의 통일전선정책은 전술적으로 제기되어 전략적 지행성을 갖는 것이었으나 1923년 유럽에서의 실패경험은 이 가능성을 폐절시키고 좌편향으로 물꼬를 트게 하였다. 대회는 ‘노동자정부’의 실패가 기존의 ‘위로부터의 통일전선’의 소산이라 규정하고, ‘아래로부터의 통일전선’에 기초한 ‘대중속으로!’라는 방침을 다시 전면에 부각시켜 코민테른 각 지부의 우경화의 방지 및 이를 위한 볼셰비키화를 강력하게 추진하도록 결정하였다. 이러한 좌편향은 통일전선의 지반을 재차 협소화시켜 ‘사회민주당을 부르조아 제3당, 파시즘의 일익(사회파시즘)’이라 규정하며 통일전선 대상에서 배제시켰고, 노동자정부 슬로건은 단지 전략적 책략에 불과한 사실상 프롤레타리아독재의 별칭으로 간주되었다. 이는 레닌의 죽음과도 결부된다. 국제공산주의운동의 강화추세로써 대회는 독일 지도부의 우익기회주의 노선을 단죄하면서 각 지부의 볼셰비키화를 제창하였으며, 소비에트 러시아내의 좌익분파인 트로
추천자료
한국사회에서의 제3의 길
소련의 사회주의 붕괴 과정과 원인에 관한 보고서
영화 ‘인생’과 중국 역사에 관하여
중국 시민사회의 성격과 민주화의 가능성
마르크스의 정치사상
[중국][중국정부][중국정치][중국 사회주의 민주관][중국 정부조직][중국공산당][중국정치지...
[동독문학][서독문학][서독에서의 동독문학 수용][통일 후 독일 문단의 구 동독 제 2세대 작...
고르바초프(Gorbachev)와 덩샤오핑(鄧小平/Deng Xiaoping) - 지도자의 리더쉽 비교
북한 정치와 사회 (발표문-대본)
신생시장경제권의 탄생 (사회주의 체제의 변화동기와 변화과정, 사회주의체제의 붕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