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규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배드민턴의 유래

1. 세계 배드민턴의 역사

2. 한국 배드민턴의 역사

1.배드민턴 경기방법

2. 단식경기 진행방법

3. 복식경기 진행방법

4. 배드민턴 규칙

5. 배드민턴의 반칙

6. 배드민턴 응용기술 및 전술

7. 경기 중 지켜야 할 매너

8. 코트에 관한 상식

9. 배드민턴 경기 기술

10. 경기용품 규격

본문내용

의 타법을 구사해야 하고, 앞과 뒤로 많이 뛰어 다니며, 다시 자기의 수비위치로 돌아와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 기술을 숙달시키기 위해서 초보자에게 권장할 만한 대형이다. 또 자기가 분담해야 할 영역이 분명하여, 초보자들이 이해하기 쉬우므로 초보자에게 적합하다. 그러나 이 대형은 수비를 위한 형태이므로 효과적인 공격을 필요로 하는 선수들에게는 좋은 대형이 못된다. 이 대형에서는 앞과 뒤로 많이 뛰게 되므로 단식에서와 같이 피로하기 쉽다는 것도 단점이다.
2) 앞 뒤로 서기(Up And Back) - 혼복에서 유리(Server - 전면, Receiver - 후면)
선수 중의 한 사람은 포코트(Fore Court)에 서서, 그 지역에 떨어지는 드롭을 받아 넘기고, 그 위치에서 잡을 수 있는 드라이브를 차단 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그의 파트너는 그 나머지 부분의 코트를 책임진다. 이 대형을 이용할 때, 서브를 넣은 후에 서버는 포 코트로, 그의 파트너는 백 코트로 가서 경기를 한다. 리시브할 때는, 리시브하는 선수는 리시브 후에 포 코트로 가고, 다른 선수는 백 코트에 남아 경기를 한다.
이 대형은 남, 여 혼합 복식에서 유리하다. 여자 선수는 항상 포 코트에서 경기를 하고, 남자 선수는 항상 백 코트에서 경기를 한다. 세계적인 혼합 복식 팀들은 이 대형을 좋아한다. 상대적으로 연약한 여자 선수의 약점이, 네트 가까이에서 경기를 함으로써 보완될 수 있는데, 그것은 네트 가까이에서는, 힘보다는 정확한 터치와 콘트롤(Control)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앞, 뒤로 서기의 단점은 수비에 아주 약하다는 것이다.백 코트에 있는 선수가 코트의 양 쪽 사이드에 오는 셔틀을 받을
때는 포 코트에 있는 선수의 도움을 전혀 받을 수가 없다. 따라서, 상대가 양쪽 사이드 쪽에 번갈아 스매쉬를 보내면 수비하기가 힘들어지는 것이다.
3) 혼합 대형 (Combination Of Systems) - 우수 선수들에게 유리
우수한 선수들에게는 옆으로 서기와 앞 뒤로 서기를 혼합한 이 대형이 유리하다. 이 대형은 옆으로 서기에서 두 선수가 시계 방향으로 돌아 앞?뒤로 서기의 대형으로 전환하고, 또 앞,뒤로 서기에서 옆으로 서기 대형으로 전환하여 가면서 경기를 하므로, 회전 대형이라고도 한다.
이 대형에서 수비를 할 때에는, 두 선수가 옆으로 서기를 사용하고, 공격을 할 때는 앞, 뒤로 서기를 사용한다. 두 선수는 시계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돌면서 위치를 바꾼다. 서브를 넣을 때는 앞, 뒤로 서기를 사용하고, 수비를 하게 될 때(즉, 클리어를 사용할 때)는, 옆으로 서기로 전환한다. 공격의 기회가 오기 전에는 옆으로 서기를 계속하다가, 공격의 기회가 주어지면, 앞?뒤로 서기를 전환한다. 리시브할 때는 보통 옆으로 서기로 시작한다. 그리고 상대방이 수비를 할 수밖에 없도록(즉, 셔틀을 쳐 올리게) 타구를 보내어, 뜻 대로 행해지면, 앞?뒤로 서기로 전환하여 공격을 시작한다.
이 대형은 우수한 선수에게, 그리고 파트너가 서로 동등한 능력을 가졌을 때 아주 유리하며, 대부분의 선수에게, 가장 좋은 대형이 되고 있다.
7. 경기 중 지켜야 할 매너
셔틀은 네트위로 실수한 셔틀은 심판의 판정에는 시합 전후에는 악수를..
던져준다 직접 줍는다 순순히 따른다
8. 코트에 관한 상식
※ 라인 폭 : 4cm, 코트 대각선 길이 : 14.723m
※ 네트높이 : 양 끝 부분-1.55m ,중앙-1.524
※ 포스트(지주대) 높이 : 1.55m
※ 코트와 코트사이 : 최소 2m
※ 천정높이 : 적정높이 - 12m이상, 최소 9m이상
9. 배드민턴 경기 기술
(1)그립(Grip)
<= 라켓면을 세운 상태에서 마치 식칼을 쥐듯이 잡는 세 이크핸드 그립이 기본이다.넷째 손가락과 다섯째 손가 락으로 라켓을 쥐고 나머지 손가락은 가볍게대는 식으 로 한다.
=> 세이크핸드 그립으로는 몸의 오른쪽(왼손잡이는 왼쪽)에서 얼 굴 앞까지는 거버할 수 있지만 반대쪽(백사이드)은 거버하기 어렵다. 그래서 백핸드에서는 섬업이라는 그립을 하게되는데, 세이크핸드 그립과 마찬가지로 쥐고 엄지손가락만을 세워 핸 들에 갖다 대는 스타일이다.
(2)스트로크의 종류
①오버헤드 스트로크 - 포어핸드
②오버헤드 스트로크 - 백핸드
③사이드암 스트로크 - 포어핸드
④사이드암 스트로크 - 백핸드
⑤언더핸드 스트로크 - 포어핸드
⑥언더핸드 스트로크 - 백핸드
(3)서브
배드민턴의 서브에는 여러가지 규제가 있는데, 회전의 금지.어버브 더 핸드.어버브 더 웨이스트등, 공격적인 요소는 거의 봉쇄되어 있다. 이것은 공중 릴레이면서 더욱이 한번에 반구해야만 하는 배드민턴의 성격상 서버가 일방적으로 유리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롱하이 서브] [쇼트 서브]
높고 깊게 쳐서 엔드라인 가까이를 노리는 서브. 낮고 짭게 쳐보내는 서브.
(4)플라이트의 기본 타입
하이클리어 와 드리븐 클리어 : 상대 코 드의 앤드라인에 닿을락 말락한 곳을 노리 고 치는 플라이트 보다 높이 멀리 던지는 것이 포인트이다.
드롭과 커트 : 네트를 넘는 순간 곳바로 가라앉도록 치는 플라이트, 라켓의 타면으로 셔틀을 가르면서 그 방향에 변화를 주는 것 을 컷트라한다.
드라이브 : 네트에 닿을락 말락한 높이로 날아가기 때문에 상대의 코트에 들어가도 록 위로 떠오르지 않도록 치는 플라이트
푸시 : 네트 근처에서 치는 플라이트, 각 도와 볼의 속도에 변화를 주는 어려운 숏
10. 경기용품 규격
① 셔틀콕
1. 최고속도 : 260kmph
2. 셔틀콕은 베이스에 16개의 깃으로 고정
3. 중량 : 4.74~5.50그램(g)
4. 셔틀콕 시험 : 백바운더리 라인 상에서 셔틀콕을 언더 핸드의 풀 stroke로 쳐서 반대편의
백바운더리 라인으로부터 530mm과 990mm(아래 그림B) 사이에 착지되어야한다.
② 라켓
1. 구성 : 손잡이, string면, 헤드, 샤프트, 스로트(목), 프레임(자루)
2. 라켓의 프레임은, 핸들 부분을 포함해 전체 길이가 680mm를, 전체 폭은 230mm를
넘어서는 안 된다.
3. string부분은 전체 길이 280mm, 넓이 220mm 이내
  • 가격2,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3.08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22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