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흙의 정의
2. 흙의 종류
3. 흙의 성질
4. 황토와 시멘트의 성능비교
5. 흙 공법
6. 흙 건축재료
7. 출처
2. 흙의 종류
3. 흙의 성질
4. 황토와 시멘트의 성능비교
5. 흙 공법
6. 흙 건축재료
7. 출처
본문내용
조절해야 하는데, 입도 비율에서는 점토 10~20%가 적당하고, 물의 양은 손에 힘을 주어 흙을 움켜진 후 떨어뜨렸을 경우 그 형태가 적당히 유지되는 정도가 적당하다. 만약, 물이 많은 흙으로 다지게 되면 다지는 옆면에 솟아오르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것은 균열의 원인이 된다.
③ 심벽 공법
심벽 공법은 목조건축에서 기둥과 기둥사이에 대나무와 수수깡 등의 나뭇가지로 흙을 받을 그릴을 만든 다음 흙을 짚과 섞어 물에 개어 발라서 벽체를 만드는 기법으로 전통한옥을 만들 때 자주 사용된다. 전통한옥에서는 외를 엮거나 바탕 틀을 만들고 그 위에 흙을 바르는데, 이때 기둥이나 인방 등이 드러나는 심벽과 모두 흙속에 묻히는 평벽으로 나눌 수 있다. 미장용, 흙을 바를 때 주의해야할 사항은 초벌은 두껍게, 재벌과 정벌은 얇게 해야지 균열 없이 매끈한 벽면을 만들 수 있다. 현재는 비정형적인 형태의 심벽들이 다양한 색상의 미작이나 조형물들과 함께 새로운 인테리어 소재로 많이 쓰이고 있다.
6. 흙 건축재료
공법분류
재료
형태
조적
흙벽돌,
흙블록
벽돌 및 블록 형태
구조체, 외장
다짐,
타설
현장형성
흙 건축재료
분말 형태
구조체
바름
흙미장재
분말, 액상 형태
외장, 내장
흙도장재
분말, 액상 형태
내장
부착
흙보드
및 몰딩
판재 형태
흙벽지
및 장판
시트 형태
7. 출처
- 사출방식을 이용한 황토 흙집 벽체 시공법에 관한 연구, 신정섭
- 현대 흙 건축재료의 열물성 분석 및 축소 모형 실험을 통한 열환경 및 에너지성능 평가, 송설영
- 국내 흙건축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목구조 흙벽돌집을 중심으로, 김영준
③ 심벽 공법
심벽 공법은 목조건축에서 기둥과 기둥사이에 대나무와 수수깡 등의 나뭇가지로 흙을 받을 그릴을 만든 다음 흙을 짚과 섞어 물에 개어 발라서 벽체를 만드는 기법으로 전통한옥을 만들 때 자주 사용된다. 전통한옥에서는 외를 엮거나 바탕 틀을 만들고 그 위에 흙을 바르는데, 이때 기둥이나 인방 등이 드러나는 심벽과 모두 흙속에 묻히는 평벽으로 나눌 수 있다. 미장용, 흙을 바를 때 주의해야할 사항은 초벌은 두껍게, 재벌과 정벌은 얇게 해야지 균열 없이 매끈한 벽면을 만들 수 있다. 현재는 비정형적인 형태의 심벽들이 다양한 색상의 미작이나 조형물들과 함께 새로운 인테리어 소재로 많이 쓰이고 있다.
6. 흙 건축재료
공법분류
재료
형태
조적
흙벽돌,
흙블록
벽돌 및 블록 형태
구조체, 외장
다짐,
타설
현장형성
흙 건축재료
분말 형태
구조체
바름
흙미장재
분말, 액상 형태
외장, 내장
흙도장재
분말, 액상 형태
내장
부착
흙보드
및 몰딩
판재 형태
흙벽지
및 장판
시트 형태
7. 출처
- 사출방식을 이용한 황토 흙집 벽체 시공법에 관한 연구, 신정섭
- 현대 흙 건축재료의 열물성 분석 및 축소 모형 실험을 통한 열환경 및 에너지성능 평가, 송설영
- 국내 흙건축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목구조 흙벽돌집을 중심으로, 김영준
추천자료
친환경 건축 레포트
친환경 건축
친환경 건축물 - MENARA MESINIAGA (IBM Tower) / Dr. Ken Yeang
[건축][친환경]Japan Pavillion, Expo 2000 Hannover / Shigeru Ban
친환경 주택 공동주택 참고자료
친환경 전원주택 설계 건축 판넬
친환경 학교 건축사례
[전원주택][목조주택][독립주택][원룸주택][다가구주택][집합주택][태양열주택][친환경주택][...
친환경 건축물 사례조사 및 기법
환경 친화적인 스마트빌딩과 도시 사례 - 중국 광저우의 스마트빌딩: 펄 리버 타워(The Pearl...
[건축] 미래의 집합주거 (환경친화형, 인텔리전트빌딩 시스템, 미래의 주거 평면계획)
건축환경 - 친환경 주택 -한옥마을 견학사진 - 외 추가자료 첨부
건축 설비 레포트-친환경 저에너지 건물 설계,친환경 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