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환경분석❞
Ⅰ. 거시적 환경
1. 인구관련 환경 - 사회적 환경
2. 경제적 환경
3. 기술적 환경
Ⅱ. 미시적 환경
1. 산업구조분석
2. 경쟁분석
Ⅲ. SWOT분석
❝STP분석❞
Ⅰ. Segmenting
Ⅱ. Targeting
Ⅲ. Positioning
❝4P전략❞
Ⅰ. Product
Ⅱ. Price
Ⅲ. Place
Ⅳ. Promotion
Ⅰ. 거시적 환경
1. 인구관련 환경 - 사회적 환경
2. 경제적 환경
3. 기술적 환경
Ⅱ. 미시적 환경
1. 산업구조분석
2. 경쟁분석
Ⅲ. SWOT분석
❝STP분석❞
Ⅰ. Segmenting
Ⅱ. Targeting
Ⅲ. Positioning
❝4P전략❞
Ⅰ. Product
Ⅱ. Price
Ⅲ. Place
Ⅳ. Promotion
본문내용
환경
1. 인구관련 환경 - 사회적 환경
1) 학교 근처 자취생, 1인 가구의 증가
① 고물가로 인해 대학가 주변에 고시원에 사는 ‘고시원족’ 증가
② 1인 가구 증가를 보이는 아파트 시장
2) Well-Being에 대한 인식 증가
① 웰빙에 대한 관심 고조를 도약의 기회로 활용 가능
② 웰빙 열풍으로 인해 음료산업이 성장
③ 웰빙 바람으로 웰빙 음료 매출 증가
3) 브랜드 커피의 비싼 가격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증가
① 비싼 커피 값과 원두의 질에 대한 부정적 시각
4) 외식문화 발달로 인한 외식업의 강세
① 외식업 선호를 보여주는 서울 창업 희망자의 비율
② 피자나 치킨과 같은 소자본 창업 외식업의 강세
2. 경제적 환경
1) 경제 침체로 인한 소비자의 구매력 감소
① 우리나라 소비자의 실질 구매력이 2년만에 감소
② 유가 상승으로 인한 구매력이 감소
2) 과일값의 상승으로 과일 구매가 힘들어짐
① 비싼 과일값에 과일을 먹지 못하는 자취생들
② 채소, 과일값 상승으로 인한 서민 부담 증가
3. 기술적 환경
1) 당도가 높은 과일 개발
① 제주도에서 당도 높은 ‘빨간 키위’수확
② 전북 남원에서 제배되는 당도 높은 캠벨 포도
2) 과일의 장기보관이 용이해짐
① 야채, 과일 모두 보관할 수 있는 딤채 신제품 출시
Ⅱ. 미시적 환경
1. 산업구조분석
국내 커피시장의 가파른 성장과 함께 소비자들의 안목도 높아지면서 만만찮은 가격과 특별한 차이를 알 수 없는 맛, 과다한 카페인 섭취에 대한 불만이 생겨났다. 그래서 사람들은 \'기분 좋게 입가심하면서 몸에도 좋은 음료가 없을까\' 고민하기 시작했고 커피 시장을 대체할 브랜드로 건강 음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능성 생과일 음료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1) 기존 경쟁업체들간의 경쟁
① 스무디킹
스무디킹은 최근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기능성 음료 트렌드를 촉발시킨 스무디를 직접 창시한 오리지널 브랜드다고 이야기한다. 1973년 스티브 쿠노가 자신이 앓던 알레르기를 고치기 위해 신선한 과일에 비타민미네랄단백질 등의 각종 영양소를 첨가한 음료를 처음 개발해 스무디킹을 창업했다. 스무디는 200㎉가 안 되는 저열량이면서 균형 잡힌 영양소를 제공하고 있어 상큼한 과일 맛은 물론 영양학적으로도 훌륭하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은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특히 인기가 높다.
그리고 스무디킹은 주 소비층인 20대가 선호하는 아이돌 스타 빅토리아와 설리를 모델로 삼고 \'김연아 스무디\' \'손연재 스무디\' 등 스포츠 스타의 이름을 딴 제품을 출시해 건강하고 날씬한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 \'김연아 스무디\'는 체내 수분 밸런스를 맞춰주고 피로 해소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음료로 1년에 60만 잔이 팔리는 베스트셀러로 등극했다. 스무디킹은 바캉스 기간에 \'몸 만들기\'에 한창인 남성들을 위한 메뉴도 출시했는데 근육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단백질 밸런스를 갖춘 \'빌드업 스무디\'이다.
② 캔모아
2007년 12월 기준 캔모아생과일전문점은 국내 생과일 전문점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을 직·간접적으로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수는 1.000여명으로 추정된다. 캔모아는 그동안 많은 경쟁업체들에게 벤치마킹 대상이 되어 왔다. 중앙물류 시스템, 점주 교육시스템 등 캔모아의 모든 것이 동종 및 유사 프랜차이즈 업체들에게 끊임없이 벤치마킹되었다. (주)캔모아는 2003년 법인전환 이래 비약적인 성장을 계속해왔으며 국내 최대의 생과일 전문점으로서 그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 캔모아의 가맹점 분포의 이러한 성장 추세는 현재의 두 배 규모 이상의 성장을 가능케 하는 놀라운 속도이다. (주)캔모아는 역시 점포수에서 전년 대비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국내순수브랜드인 생과일 전문점 캔모아는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빠르고 간편한 패스트푸드에 오랫동안 길들어져 온 소비자들을 우리나라 생과일 입맛으로 바꾸려고 현재도 끊임없이 새로운 메뉴 개발과 마케팅에 투자하고 있다.
③ 레드망고
국내 소비자들에게 생소하기만 했던 소프트 타입의 요구르트 아이스크림을 처음으로 선보인 레드망고는 이 `새로운 맛`을 `요구르트 열풍`으로 끌어올린 장본인이다. 느끼하지 않고 상큼한 소프트 타입의 요구르트 맛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딱 맞아 떨어져 최근의 요구르트 열풍이 장기간 계속될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예측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2) 새로운 경쟁업체의 진입가능성
소비자들의 기호가 다양해지고 과다한 카페인 섭취에 질린 소비자들에게 생과일주스 사업은 미래가 밝은 사업이다. 또한 커피시장은 이미 스타벅스나 커피빈, 그루나루 같이 대기업이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상태라 또 다른 경쟁업체가 생기기는 힘들지만 생과일 주스의 경우는 스무디킹의 매출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지만 캔모아나 레드망고의 성장률이 둔화되는 상황을 감안한다면 생과일주스 시장에서 새로운 경쟁업체의 진입가능성은 높다고 판단된다. 잠재적 경쟁업체의 진입을 결정하는 요인인 투자규모, 유통업체 및 원자재 공급업체의 확보, 전환장벽 등을 따져본다면 투자규모에 있어서는 생과일주스점이 다른 패스트푸드점이나 호프보다 투자비용이 적게 든다.
2. 경쟁분석
· 서울시 동대문구 이문동 소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문, 후문 상권을 범위로 한다.
· 음료를 (주력 상품으로) 제공하는 상점들을 경쟁관계에 있는 업체로 선정 (알콜 음료 제외)
· 상권이 비교적 좁고, 상권 내 다양한 산업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산업간 경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본다.
· 소비자욕구에 따른 경쟁관계는 설문조사를 통해서 추후 알아보기로 한다.
1) 경쟁기업의 파악
① 우리 조는 Take out 방식으로 생과일주스를 제공하는 가게를 열고자 하기 때문에, 음료를 제공하는 상점을 경쟁기업으로 파악한다.
② 대형 프랜차이즈(커피빈, 스타벅스, 커핀그루나루, 이디야, 요거프레소, 로티보이, 스윗번, 그라찌에 등), 비(非)프랜차이즈(L-brothers coffee, The Yang, 카페302, 카페115, The corner shop, 노엘, BROWN COFFEE, 달콤한 이층, Think-in coffee, 카페 오디너리, 카페 플래닛, 산책, 티
1. 인구관련 환경 - 사회적 환경
1) 학교 근처 자취생, 1인 가구의 증가
① 고물가로 인해 대학가 주변에 고시원에 사는 ‘고시원족’ 증가
② 1인 가구 증가를 보이는 아파트 시장
2) Well-Being에 대한 인식 증가
① 웰빙에 대한 관심 고조를 도약의 기회로 활용 가능
② 웰빙 열풍으로 인해 음료산업이 성장
③ 웰빙 바람으로 웰빙 음료 매출 증가
3) 브랜드 커피의 비싼 가격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증가
① 비싼 커피 값과 원두의 질에 대한 부정적 시각
4) 외식문화 발달로 인한 외식업의 강세
① 외식업 선호를 보여주는 서울 창업 희망자의 비율
② 피자나 치킨과 같은 소자본 창업 외식업의 강세
2. 경제적 환경
1) 경제 침체로 인한 소비자의 구매력 감소
① 우리나라 소비자의 실질 구매력이 2년만에 감소
② 유가 상승으로 인한 구매력이 감소
2) 과일값의 상승으로 과일 구매가 힘들어짐
① 비싼 과일값에 과일을 먹지 못하는 자취생들
② 채소, 과일값 상승으로 인한 서민 부담 증가
3. 기술적 환경
1) 당도가 높은 과일 개발
① 제주도에서 당도 높은 ‘빨간 키위’수확
② 전북 남원에서 제배되는 당도 높은 캠벨 포도
2) 과일의 장기보관이 용이해짐
① 야채, 과일 모두 보관할 수 있는 딤채 신제품 출시
Ⅱ. 미시적 환경
1. 산업구조분석
국내 커피시장의 가파른 성장과 함께 소비자들의 안목도 높아지면서 만만찮은 가격과 특별한 차이를 알 수 없는 맛, 과다한 카페인 섭취에 대한 불만이 생겨났다. 그래서 사람들은 \'기분 좋게 입가심하면서 몸에도 좋은 음료가 없을까\' 고민하기 시작했고 커피 시장을 대체할 브랜드로 건강 음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능성 생과일 음료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1) 기존 경쟁업체들간의 경쟁
① 스무디킹
스무디킹은 최근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기능성 음료 트렌드를 촉발시킨 스무디를 직접 창시한 오리지널 브랜드다고 이야기한다. 1973년 스티브 쿠노가 자신이 앓던 알레르기를 고치기 위해 신선한 과일에 비타민미네랄단백질 등의 각종 영양소를 첨가한 음료를 처음 개발해 스무디킹을 창업했다. 스무디는 200㎉가 안 되는 저열량이면서 균형 잡힌 영양소를 제공하고 있어 상큼한 과일 맛은 물론 영양학적으로도 훌륭하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은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특히 인기가 높다.
그리고 스무디킹은 주 소비층인 20대가 선호하는 아이돌 스타 빅토리아와 설리를 모델로 삼고 \'김연아 스무디\' \'손연재 스무디\' 등 스포츠 스타의 이름을 딴 제품을 출시해 건강하고 날씬한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 \'김연아 스무디\'는 체내 수분 밸런스를 맞춰주고 피로 해소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음료로 1년에 60만 잔이 팔리는 베스트셀러로 등극했다. 스무디킹은 바캉스 기간에 \'몸 만들기\'에 한창인 남성들을 위한 메뉴도 출시했는데 근육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단백질 밸런스를 갖춘 \'빌드업 스무디\'이다.
② 캔모아
2007년 12월 기준 캔모아생과일전문점은 국내 생과일 전문점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을 직·간접적으로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수는 1.000여명으로 추정된다. 캔모아는 그동안 많은 경쟁업체들에게 벤치마킹 대상이 되어 왔다. 중앙물류 시스템, 점주 교육시스템 등 캔모아의 모든 것이 동종 및 유사 프랜차이즈 업체들에게 끊임없이 벤치마킹되었다. (주)캔모아는 2003년 법인전환 이래 비약적인 성장을 계속해왔으며 국내 최대의 생과일 전문점으로서 그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 캔모아의 가맹점 분포의 이러한 성장 추세는 현재의 두 배 규모 이상의 성장을 가능케 하는 놀라운 속도이다. (주)캔모아는 역시 점포수에서 전년 대비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국내순수브랜드인 생과일 전문점 캔모아는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빠르고 간편한 패스트푸드에 오랫동안 길들어져 온 소비자들을 우리나라 생과일 입맛으로 바꾸려고 현재도 끊임없이 새로운 메뉴 개발과 마케팅에 투자하고 있다.
③ 레드망고
국내 소비자들에게 생소하기만 했던 소프트 타입의 요구르트 아이스크림을 처음으로 선보인 레드망고는 이 `새로운 맛`을 `요구르트 열풍`으로 끌어올린 장본인이다. 느끼하지 않고 상큼한 소프트 타입의 요구르트 맛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딱 맞아 떨어져 최근의 요구르트 열풍이 장기간 계속될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예측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2) 새로운 경쟁업체의 진입가능성
소비자들의 기호가 다양해지고 과다한 카페인 섭취에 질린 소비자들에게 생과일주스 사업은 미래가 밝은 사업이다. 또한 커피시장은 이미 스타벅스나 커피빈, 그루나루 같이 대기업이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상태라 또 다른 경쟁업체가 생기기는 힘들지만 생과일 주스의 경우는 스무디킹의 매출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지만 캔모아나 레드망고의 성장률이 둔화되는 상황을 감안한다면 생과일주스 시장에서 새로운 경쟁업체의 진입가능성은 높다고 판단된다. 잠재적 경쟁업체의 진입을 결정하는 요인인 투자규모, 유통업체 및 원자재 공급업체의 확보, 전환장벽 등을 따져본다면 투자규모에 있어서는 생과일주스점이 다른 패스트푸드점이나 호프보다 투자비용이 적게 든다.
2. 경쟁분석
· 서울시 동대문구 이문동 소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문, 후문 상권을 범위로 한다.
· 음료를 (주력 상품으로) 제공하는 상점들을 경쟁관계에 있는 업체로 선정 (알콜 음료 제외)
· 상권이 비교적 좁고, 상권 내 다양한 산업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산업간 경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본다.
· 소비자욕구에 따른 경쟁관계는 설문조사를 통해서 추후 알아보기로 한다.
1) 경쟁기업의 파악
① 우리 조는 Take out 방식으로 생과일주스를 제공하는 가게를 열고자 하기 때문에, 음료를 제공하는 상점을 경쟁기업으로 파악한다.
② 대형 프랜차이즈(커피빈, 스타벅스, 커핀그루나루, 이디야, 요거프레소, 로티보이, 스윗번, 그라찌에 등), 비(非)프랜차이즈(L-brothers coffee, The Yang, 카페302, 카페115, The corner shop, 노엘, BROWN COFFEE, 달콤한 이층, Think-in coffee, 카페 오디너리, 카페 플래닛, 산책, 티
키워드
추천자료
[유통관리]중국유통환경분석과 중국진출 할인점의 광고기획
[마케팅] 화장품시장 환경분석-'미샤화장품'의 시장환경
삼성애니콜 마케팅 환경분석과 광고캠페인 사례분석
[행정환경][행정국가][행정관리자][공직자상]행정환경과 행정국가의 변화에 따른 바람직한 행...
(우수평가자료)[기업분석](주)대상 햇살담은 진간장 마케팅전략 및 환경분석 STP분석
[금융기관]금융기관의 유형, 금융기관의 경영환경, 금융기관의 위험관리체제, 금융기관의 합...
(마케팅 환경) 미시환경과 거시환경, 마케팅 환경관리
블랙야크(Black Yak) 마케팅전략분석/ 서론/아웃도어 시장현황/시장환경분석/스포츠 용품산업...
블랙야크(BlackYak) 마케팅전략분석/ 서론/아웃도어 시장현황/시장환경분석/스포츠 용품산업...
[마케팅관리론] 이마트(E-Mart)와 홈플러스(Home Plus) 기업 비교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