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낭만주의 발생의 사회적 조건
1.사회적 배경
2.사상적 배경
Ⅱ. 낭만주의시대의 문학이론
1.감정의 표현
2.천재론
3.상징과 암시
4.민족 문화의 강조
Ⅳ. 한국문학의 낭만주의
나는 왕이로소이다-홍사용
1.사회적 배경
2.사상적 배경
Ⅱ. 낭만주의시대의 문학이론
1.감정의 표현
2.천재론
3.상징과 암시
4.민족 문화의 강조
Ⅳ. 한국문학의 낭만주의
나는 왕이로소이다-홍사용
본문내용
다. 어머니의 외아들 나는 이렇게 왕이로소이다.
그러나 그러나 눈물의 왕! 이 세상 어느 곳에든지 설움이 있는 땅은 모두 왕의 나라로소이다.
이 시의 화자 ‘나’는 ‘가난한 농군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스스로를 ‘왕’이라고 자처하고 있다. 갈고 심어야 할 땅을 빼앗긴 농군의 아들은 식민지 현실 속에서 비극적 주인공이 될 수밖에 없다. 쫓겨난 왕이기에 비극적 운명을 타고난 '눈물의 왕'일 수밖에 없다고 하겠다.
자신을 비극의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은근히 식민지 시대를 살아가는 비애의 감정을 노래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나’의 비애는 기본적으로는 고고(呱呱)의 성(聲)으로 시작되는 인간의 탄생이 상징하는 숙명적인 성격에 근거하는 것이지만, 성장 과정에서 빚어지는 갖가지 비애의 감정은 사회적 성격을 지닌 것임을 이 시는 보여 주고 있다. 어머니는 ‘나’를 낳고 ‘일 없이 한숨을 길게 쉬시’고, 아이들은 ‘모가지 없는 그림자’라고 놀려대는 가운데 자기만의 외로운 세계에서 ‘나’는 성장해 간다. 이런 외로움 속에서 희망의 ‘파랑새’를 찾아 나서 보기도 하지만, 그 소망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좌절감 같은 것이 그를 내적(內的)으로 성숙시키게 되고, 이제는 남 앞에서 드러내놓고 우는 대신 ‘남모르게 속 깊이 소리 없이 혼자 우는’ 버릇이 생겨나고 산길을 헤매며 ‘쫓긴 이의 노래’를 부르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요약될 수 있는 이 시의 ‘비애’는 홍사용 자신의 성장 과정이나 개인적 기질(氣質)에서 말미암은 것으로 볼 수도 있겠으나, 31운동의 좌절에서 오는 1920년대 시인들의 절망감에도 원인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러나 눈물의 왕! 이 세상 어느 곳에든지 설움이 있는 땅은 모두 왕의 나라로소이다.
이 시의 화자 ‘나’는 ‘가난한 농군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스스로를 ‘왕’이라고 자처하고 있다. 갈고 심어야 할 땅을 빼앗긴 농군의 아들은 식민지 현실 속에서 비극적 주인공이 될 수밖에 없다. 쫓겨난 왕이기에 비극적 운명을 타고난 '눈물의 왕'일 수밖에 없다고 하겠다.
자신을 비극의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은근히 식민지 시대를 살아가는 비애의 감정을 노래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나’의 비애는 기본적으로는 고고(呱呱)의 성(聲)으로 시작되는 인간의 탄생이 상징하는 숙명적인 성격에 근거하는 것이지만, 성장 과정에서 빚어지는 갖가지 비애의 감정은 사회적 성격을 지닌 것임을 이 시는 보여 주고 있다. 어머니는 ‘나’를 낳고 ‘일 없이 한숨을 길게 쉬시’고, 아이들은 ‘모가지 없는 그림자’라고 놀려대는 가운데 자기만의 외로운 세계에서 ‘나’는 성장해 간다. 이런 외로움 속에서 희망의 ‘파랑새’를 찾아 나서 보기도 하지만, 그 소망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좌절감 같은 것이 그를 내적(內的)으로 성숙시키게 되고, 이제는 남 앞에서 드러내놓고 우는 대신 ‘남모르게 속 깊이 소리 없이 혼자 우는’ 버릇이 생겨나고 산길을 헤매며 ‘쫓긴 이의 노래’를 부르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요약될 수 있는 이 시의 ‘비애’는 홍사용 자신의 성장 과정이나 개인적 기질(氣質)에서 말미암은 것으로 볼 수도 있겠으나, 31운동의 좌절에서 오는 1920년대 시인들의 절망감에도 원인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