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플라톤의 이론 비판
3. 플라톤의 국가관에 대한 비판
2. 플라톤의 이론 비판
3. 플라톤의 국가관에 대한 비판
본문내용
수 있다는 어떤 보장이 사실상 있을 수 있나? 철학자들은 진리를 사랑하는 자들이기 때문에 결코 권력을 남용하지 않는다는 플라토의 견해는 고지식한 낙관론이 아닌가 생각된다. 우리에게는 권력의 남용이의 가능성에 대비할 어떤 정치 제도를 세울 필요가 없겠는가?
모든 인간이 불완전한 존재라는 것을 가정한다면, 완전한 인간들이 있을 수 있다는 이상적인 생각에다 청사진의 기초를 두고 있는 것은 비현실적인 태도가 아닌가? 현실에 입각한 정치 제도라면 이상적인 인간으로서가 아니라 사실 있는 그대로의 인간에게 관심을 두어야 마땅하다. 플라토는 “누가 절대 권력을 휘두를 만한 자격을 갖추고 있는가?”라는 물음을 자문(自問)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우리는 오히려 “누구도 절대 권력을 가지지 못한다는 것을 우리가 어
모든 인간이 불완전한 존재라는 것을 가정한다면, 완전한 인간들이 있을 수 있다는 이상적인 생각에다 청사진의 기초를 두고 있는 것은 비현실적인 태도가 아닌가? 현실에 입각한 정치 제도라면 이상적인 인간으로서가 아니라 사실 있는 그대로의 인간에게 관심을 두어야 마땅하다. 플라토는 “누가 절대 권력을 휘두를 만한 자격을 갖추고 있는가?”라는 물음을 자문(自問)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우리는 오히려 “누구도 절대 권력을 가지지 못한다는 것을 우리가 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