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무원의 윤리 경영 실천 사례, 방법과 사업영역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풀무원의 윤리 경영 실천 사례, 방법과 사업영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윤리 경영

ⅰ. 윤리 경영의 정의
ⅱ. 경영 윤리로서 중요한 것
ⅲ. 사례

Ⅲ. 풀무원의 윤리 경영

ⅰ. 풀무원의 의미
ⅱ. 풀무원의 정신
ⅲ. 풀무원의 비젼
ⅳ. 풀무원의 사업 영역
ⅴ. 풀무원의 CI

Ⅳ. 풀무원의 윤리 경영 실천 방법 (인터뷰)

Ⅴ. 결론

본문내용

부를 만들겠다고 한 것은 negative marketing입니다. \'응고제를 첨가하지 않은 두부\'라고 하면 소비자들이 \'그럼 응고제를 첨가한 것은 안 좋은 것인가? 그럼 이러한 제품을 팔아온 풀무원은 과연 도덕성이 있는가?\'라고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앞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응고제는 맛있는 두부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하나의 첨가물로 인체에 전혀 해가되지 않고 공정과정에서 없어집니다. 또한 저희도 응고제를 넣지 않은 두부를 별도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응고제를 넣지 않은 두부를 선호하는 고객이 구매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CJ라는 기업 자체가 첨가물, 향료를 팔아 성장해온 기업인데 첨가물을 넣지 않은 두부를 만들겠다니 아이러니합니다..
3. 풀무원에서는 한국형 윤리경영에 대해 어떻게 정의를 내리고 있는지?
: 저희는 외국 형 윤리경영과 한국형 윤리경영이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OECD 뇌물 방지 협약\'이 국제상거래에 있어서 외국공무원에 대한 뇌물공여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1999년 2월에 발효된 국제규범으로, 우리나라도 동 협약에 근거하여 \'국제상거래에 있어서 외국공무원에 대한 뇌물방지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4.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환경보호와 이웃 사랑을 실현하고 있는데 메세나 관련 활동은 없는지?
: 저희는 이웃사랑과 생명존중이라는 모토 아래 좋은 제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그 외에도 많은 사회공헌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매출액의 0.1%를 지구사랑 적립기구에 매년 기부하고 있으며, 직원의 입장에서는 직원 개인도 매번 성금을 월급에서 몇% 내는 형식으로 사회공헌기금을 마련하여 걸식 아동이나 환경 단체에 사회공헌기금을 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메세나 관련 활동으로는 예술의 전당에서 \'황병희 교수님\'의 주축으로 하는 국악공연을 후원하고 있습니다. \'국생사\'라고 하는 국악을 생각하는 사람들의 모임에 후원을 하며 장소를 제공하고 협찬을 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강은일 해금플러스\'라는 국악 단체를 충북을 대상으로 그 공연단에 후원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국립극장에서 \'국악 보따리\'라는 공연단을 후원해주고 있습니다. 이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국악을 현대 악기와 접목한 cross over 공연으로 이 공연단에는 4천~5천 만원 정도를 후원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저희는 주로 국악을 대상으로 지원을 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 음식인 두부와 우리 음악인 국악이라는 점에서 잘 맞는다고 생각합니다.
5. 풀무원이 지향하는 \'바른마음경영\'에서의 \'Openness(개방성)\'부분에서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위해 어떠한 수단을 사용하는지?
: Openness의 의미를 잘못 이해하신 것 같은데 저희가 말하는 Openness는 개방성을 말하는 것으로 성과 지향 조직에서는 성과를 위해서는 성과 이외에는 아무것도 고려하지 않는 조직원간의 행동양식 내용을 의미합니다. Openness를 얘기한다는 것은 누구한테나 기회를 준다는 것을 뜻합니다. 남자냐 여자냐, 인종이 뭐냐, 학교가 뭐냐, 학위가 있느냐 등등 개인의 속성을 나타내는 모든 것들로부터 우리의 태도는 개방되어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Openness로서, Openness는 성과 지향 조직으로 가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저희 homepage에 사이버 감사실이 늘 open되어있어서 고객과 항상 접촉할 수 있습니다.
6. 윤리경영을 기업의 목표로 하여 운영되겠지만 현실에서는 아직 100% 윤리경영을 하지 못하는데, 그것을 방해하는 것에는 어떠한 요인들이 있는지? 혹은 100% 윤리경영이 현실에서 불가능한 것인지?
: 이것도 역시 1번과 마찬가지로 문화의 차이입니다. 이것은 기업의 관행에 관한 문제로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경우에서는 100% 윤리경영은 어려운 환경입니다. 하지만 2003~4년부터는 협력업체에 선물을 하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회사의 입장에서는 거래처나 개인의 입장에서는 자신보다 상사에게 연말연시나 추석과 같은 명절에 선물을 안 보내는 것은 우리나라같이 미풍양속을 중시하는 문화에서는 아직까지는 어려운 실정이지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도 계속 인식이 바뀌고 있기 때문에 언젠가는 100% 윤리경영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7. 많은 기업이 실현하고자 하는 윤리경영 내에서도 기업 간에 차별화가 생길 수 있다고 봅니다. 내부고발제 외에 풀무원에서는 어떠한 것에서 윤리경영 차별화를 두고 있다고 보십니까?
: 저희 풀무원에서는 다른 기업과는 차별화된 \'바른마음 경영\'이라는 윤리경영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바른 마음 경영의 유래는 풀무원이 1982년에 만든 사훈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바른 농사를 짓는 농민들과 바른 식생활을 원하는 소비자들을 바른 마음으로 연결해 준다.\' 이것이 풀무원의 초창기 사업 미션이자 비전이었습니다. 그래서 사훈을 \'정심(바른 마음), 정농(바른 농사), 정식(바른 식생활)\'으로 했습니다. 풀무원의 \'정심\', \'바른 마음\'이라는 것은 무슨 도덕, 윤리 그런 것이 아닌 \'내 가족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바른 먹거리를 만드는 마음\', 식품의 안전성, 식품이 식품다울 수 있도록 잘 관리하는 마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자본이 지배하는 사회, 자본주의 사회 다음에는 지식을 가진 사람이 지배하는 지식 정보 사회가 될 것이고 그 지식은 문학, 역사, 철학이 아니라 응용지식을 말한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산업 자본주의 사회가 성공하려면 사회 간접 자본에 대한 투자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죠? 고속도로, 항만, 철도, 통신, 전기, 수도 이런 것들이 깔려야지 비로소 산업 자본주의를 제대로 할 수가 있습니다. 그것처럼 지식 사회가 되는 데에도 반드시 사회 자본이 필요한데, 그것은 사회 직접 자본이라고 합니다. 이는 사회 간접 자본에 대비되는 말로 \'Trust(신뢰)\', \'Integrity(직업적 정직성)\', \'Solidarity(연대의식)\', 그리고 \'Openness(개방성)\'입니다. 그래서 \'지식 사회를 이루는 데 반드시 필요한 이 네 가지 요소를 기업에 도입한다면 이걸 뭐라고 부를까?\'라는 취지에서 영어단어의 첫 자를 따서 TISO 라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프레임

키워드

풀무원,   윤리경영,   강조,   기업,   방법,   사업,   경영윤리,   도덕성
  • 가격9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3.23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56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