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를,-,-을」은 음성적인 조건으로 그 선택이 규정되므로 한 형태소의 음성적 변이형태이며, 「-ㄹ」과 「-,-를」은 임의적 변이형태로 쓰였다.
4. 중세국어의 처소격조사와 절대격조사의 변이형태와 그 쓰이는 환경을 예로 들어 설명하시오.
처소격조사에는 에/-애,-예,-ㅣ/-의가 있다. 「-애/-에」는 대표적인 처소격 조사로 모음조화의 규칙에 따라 선택되어 나타난다. 예를들어 바래 가니 에서는 애가 나타나, 바의 ㄹ이 올라와 ‘래’로 나타났다. 또 그 외로 하해 이셔 등과 같은 것도 있다. 「-예」는 앞의 소리가 「-이」/i/나 「-ㅣ」/j/일 때 「-에」는 「-예」로 변한다. 예를들어, 서리예 가샤, 놀애예 일훔 미드며 등과 같은 것이 있다. 「-ㅣ/-의」는 원래 관형격 조사인데 일정한 체언에 붙어서 처격조사로 쓰인다. 이 둘은 모음조화에 의해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나ㅣ 도니, 바ㅣ 비취니 등과 굼긔 드러 이셔, 東녀긔 와 같이 사용된다.
절대격 조사는 ㄴ,-/-는,-/은이다. 「-ㄴ,-/-는」과 「-/-은」은 바로 앞 소리의 종류에 따라 변동되며, 「-/-」과 「-는/-은」은 앞 음절의 모음에 따라 조화되므로 이 네 형태는 음성적 변이형태이다. 「-ㄴ」은 모음아래, 수의적으로 사용되는데, 예로는 우린 드로니 같은 것이 있다. 「-/-는」은 모음 아래 각각 양성, 음성에 사용된다. 예를들면, 나 어버ㅿㅣ여희오, 성수는 벼리라 등이 있다. 「-/-은」은 자음아래 가각 양성, 음성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아랫 세 하, 불휘 기픈 남 등이 있다.
5. 중세국어의 조어법 가운데 파생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파생법은 어근에 파생 접사가 붙어서 새로운 낱말을 만드는 것이다. 체언의 형성으로 파생명사는 용언의 어간에 「-음,-ㅁ,-기,-이」등이 붙어 형성되는 것이다. 접미사 「-이」는 현대국어에서보다 생산력이 큰명사형이었고, 당시에는 「-기」보다 우세했다. 체언을 파생하는 접사 중에는 체언에 붙어서 체언을 만드는 것들도 있다. 용언의 형성에는 용언에서 용언파생은 용언에서 파생된 용언, 동사에서 형용사를 파생하는 ㅂ계 접미사, 강세접미사, 전성접사가 있다. 용언에서 파생된 용언은 사동형과 피동형으로 구분된다. 사동형을 만드는 접미사의 변이형태는 「이,히,기,오/우,호/후,고」등이 있고, 피동형을 만드는 접미사의 변이형태는 「이,히,기」가 있다. ㅂ계 접미사는 「,브,ㅸ,ㅂ,업,엽」들이 있다. 강세접미사로서 「-ㆅㅕ,
4. 중세국어의 처소격조사와 절대격조사의 변이형태와 그 쓰이는 환경을 예로 들어 설명하시오.
처소격조사에는 에/-애,-예,-ㅣ/-의가 있다. 「-애/-에」는 대표적인 처소격 조사로 모음조화의 규칙에 따라 선택되어 나타난다. 예를들어 바래 가니 에서는 애가 나타나, 바의 ㄹ이 올라와 ‘래’로 나타났다. 또 그 외로 하해 이셔 등과 같은 것도 있다. 「-예」는 앞의 소리가 「-이」/i/나 「-ㅣ」/j/일 때 「-에」는 「-예」로 변한다. 예를들어, 서리예 가샤, 놀애예 일훔 미드며 등과 같은 것이 있다. 「-ㅣ/-의」는 원래 관형격 조사인데 일정한 체언에 붙어서 처격조사로 쓰인다. 이 둘은 모음조화에 의해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나ㅣ 도니, 바ㅣ 비취니 등과 굼긔 드러 이셔, 東녀긔 와 같이 사용된다.
절대격 조사는 ㄴ,-/-는,-/은이다. 「-ㄴ,-/-는」과 「-/-은」은 바로 앞 소리의 종류에 따라 변동되며, 「-/-」과 「-는/-은」은 앞 음절의 모음에 따라 조화되므로 이 네 형태는 음성적 변이형태이다. 「-ㄴ」은 모음아래, 수의적으로 사용되는데, 예로는 우린 드로니 같은 것이 있다. 「-/-는」은 모음 아래 각각 양성, 음성에 사용된다. 예를들면, 나 어버ㅿㅣ여희오, 성수는 벼리라 등이 있다. 「-/-은」은 자음아래 가각 양성, 음성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아랫 세 하, 불휘 기픈 남 등이 있다.
5. 중세국어의 조어법 가운데 파생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파생법은 어근에 파생 접사가 붙어서 새로운 낱말을 만드는 것이다. 체언의 형성으로 파생명사는 용언의 어간에 「-음,-ㅁ,-기,-이」등이 붙어 형성되는 것이다. 접미사 「-이」는 현대국어에서보다 생산력이 큰명사형이었고, 당시에는 「-기」보다 우세했다. 체언을 파생하는 접사 중에는 체언에 붙어서 체언을 만드는 것들도 있다. 용언의 형성에는 용언에서 용언파생은 용언에서 파생된 용언, 동사에서 형용사를 파생하는 ㅂ계 접미사, 강세접미사, 전성접사가 있다. 용언에서 파생된 용언은 사동형과 피동형으로 구분된다. 사동형을 만드는 접미사의 변이형태는 「이,히,기,오/우,호/후,고」등이 있고, 피동형을 만드는 접미사의 변이형태는 「이,히,기」가 있다. ㅂ계 접미사는 「,브,ㅸ,ㅂ,업,엽」들이 있다. 강세접미사로서 「-ㆅ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