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해양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 해양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우리나라 배 : 한선

BEST 5

조운선

BEST 4

맹선

BEST 3

+안택선

BEST 2

판옥선

BEST 1

거북선

느낀점

참고자료

본문내용

기술이 발달 되지 않아 외면적으로는 부족함이 많지만 완벽한 배의 모양을 같춘 실용성 배같아 선정.
BEST 4
맹선 크기★★★☆☆ 외향★☆☆☆☆ 견고함★☆☆☆☆
소개: 승선 인원에 따라 대맹선·중맹선·소맹선으로 나뉜다. 대맹선은 수군 80명, 중맹선은 60명, 소맹선은 30명 정원이다. 맹선의 건조와 이에 따른 수군의 편제는 조선초 연안에서 극성을 부리던 왜구에 대항해서 이루어졌다. 기존의 대선·중선·소선은 왜구의 선박과 비교할 때 상당히 느리기 때문에 제대로 추격할 수가 없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더욱 빠르고 경쾌하게 건조한 것이 맹선이다. 맹선이 군선으로 처음 만들어진 것은 세종초이다. 그러나 세조 때 군사체제가 정비되고 이에 바탕을 둔 수군제도가 틀을 갖추게 되면서 맹선은 군사적 목적뿐만 아니라 조운도 겸하도록 개조되었다. 즉 이때의 맹선은 병조선(兵漕船)이었다. 병조선은 평상시에는 조운선으로 이용되어 많은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편리한 점도 있었지만, 전투시에는 속도가 느려 제대로 기동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아울러 갖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맹선을 바탕으로 한 수군제는 이후 조선 수군의 전력약화를 가져온 요인이 되기도 했다. 맹선은 본래 중국·일본·유구(琉球) 배의 장점을 참고해 건조하고자 했으나 중국 당선(唐船)은 우리 지형에 적합하지 않고, 일본 배는 빠르기는 하지만 방수가 잘 안 되고 부패하기 쉬우며, 유구 배는 수군제를 꾸리기에 부적절한 결함 등으로 해서, 결국 전통적인 조선식 건조방법으로 만들어졌다. 따라서 전통적인 조선 배처럼 맹선의 선체는 단판(單板)이고, 선형은 판옥(板屋)구조를 이루었다. 단 맹선은 누각(樓閣)이 없는 평선(平船)이라는 점이 특색이었다. 맹선의 건조에는 대맹선 230조(條), 중맹선 210조, 소맹선 110조의 재목이 소요되었다.
선정이유: 조운선보다 한단계 업그레이드된 배로 보면 된다. 조운선 보다 좀더 단단하고 견고하여 화물을 운송 할 수 있었던 이 배는 조운선 처럼 일석이조의 배로 군함이다. 조선 초기의 군함으로써 더 많은 운송과 인원을 태울수 있었던 이배는 일본과 중국의 좋은점을 보안한 배로써 빠르고 견고한 배이다. 추격에도 용의 하고 배송도 할수 있었던 맹선은 조운선 보다 한단계 진보한 배이다. 조운선은 민간이에게 더 사용 되었고 전투로써는 약간 미흡함이 있었지만 크기도 크고 단단함은 비교할 때 없으므로 등급 업업 !!!
BEST 3
+안택선 크기★★☆☆☆ 외향★★★★☆ 견고함★☆☆☆☆
소개: 아타케부네(安宅船, 일본어: あたけぶね)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 수군이 사용하던 대형 전투함이다. 한국어로는 안택선으로도 부른다. 아다케부네는 전투선이라기보다는 전국시대 봉건영주들이 위세를 과시하기 위한 성격이 짙었다. 임진왜란 당시 왜선들은 대개 조선 군선보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해전에서 참패한 원인이 되었다.
갑판 위에 집 모양의 지휘소가 있는 데서 이름이 유래했다. 배의 높이는 대략 3층 높이만 하며, 전체 길이는 30m 정도이다. 조선의 판옥선보다 길이는 긴 편이다. 갑판은 2층 구조로 되어 상갑판에 전투원이 탑승하고, 하갑판에 노잡이들이 탑승하는데 노는 대략 90여개이다. 상갑판에는 총포를 쏠 수 있는 구멍과 노 젓는 구멍이 있다.
선체는 뾰족한 첨저선이고 특징은 배 위에 나무로 집(누각)을 지어놓은 형태이다.
선정이유: 한국의 한선인 배를 소개하면서 안택선이라는 일본배를 순위에 올려 의아해 하겠지만 안택선도 우리 나라에서 활동 했던 일본배로써 임진왜란때 일본이 몰았던 배이다. 우리나라의 배인 판옥선과 비슷한 점이 많은 배이지만 판옥선과 안택선은 재료부터 다르다.
판옥선은 소나무나 참나무를, 일본은 삼나무를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26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6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