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동양의 지혜 - 고대 인도 철학 & 고대 중국의 철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1부 동양의 지혜 - 고대 인도 철학 & 고대 중국의 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부 동양의 지혜

제1장 고대 인도 철학

제2장 고대 중국의 철학

본문내용

∴《도덕경》의 윤리적 핵심어는 ‘소박한 자연스러움’이다.
4. 국가와 사회
· 노자와 공자의 차이점
- 노자는 많은 지식이 아니라 단순하과 소박함이 인간을 행복하게 한다고 보았으며, 공자가 높이 평가한 음악이나 예의범절 및 관습에 노자는 중요성을 부여하지 않았다.
5. 후대의 도교
· 공자의 학설이 사뢰생활의 실천적 근거가 되기에 더 적합한 것으로 여겨짐.
· 공자의 학설은 다소 범상하며, 고루하고 무미한 점조차 없지 않지만 인간 봉성에는 좀 더 부합함
· 노자의 학설에는 귀족주의적인 면이있음. 노자는 오직 소수만이 덕의 길을 갈 수 있다고 말함.
∴ 실제로 유교는 오랫동안 중국인의 생활을 규정하는 정신 경향으로 세를 굳혔으나《도덕경》의 순수한 교설은 제대로 계승되지 못했다. 후대 사상가들이 이 교설을 재수용하여 발전시키는 과정과 이 교설이 대중화되는 과정에서 의미의 퇴색과 왜곡 현상이 점점 더 심하게 있어났다.
3. 묵가와 그 밖의 조류
1. 묵자
· 고대 중국 사상에서 세 번째로 중요한 조류는 묵가이다. 이 조류는 기원전 480년~390년에 생존했던 철학자 묵자 에게서 유래했다.
· ‘공공복지를 촉진하고 악을 제압하라.’ 이것이 묵가의 신조(실용주의 철학)
· 묵자는 유교가 높이 평가한 음악과 예술을 중시하지 않음(실천적인 성격)
· 묵자의 철학 이론 세 가지 요건
튼튼한 기초 ② 비판적 검증 ③ 실생활에 응용
· 공자보다 좀 더 적극적으로 종교를 옹호
2. 명가 - 궤변론자들
· 묵자가 죽은 후로 1세기 동안 다시 궤변론자들이 득세. 그중 혜시와 공손룡이 가장 유명.
· 자신을 알리고자 대화를 즐겼소, 이때 자가당착적인 주장으로 상대방을 자극
· 공간과 시간, 운동과 정지, 실체와 성질 같은 개념을 다루었다.
3. 신묵가
· 신묵가 학파의 주장 - 인간은 연구건 실험이건 학습이건 단순한 이해이건 간에 모든 ‘인식 활동’에서 자신을 직접적으로 둘러싼 환경과 대결하며, 인식이 기능은 오로지 인간으로 하여름 올바른 결정을 내리게 하는 데 있다.
· 궤변론자들이 신묵가와 사상적 논쟁을 벌인 시기가 바로 서양의 학문과 기술리 중국에 전래되고 중국인들의 강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던 시기와 일치
4. 법가
· 중국 철학의 발전 초기에는 법가로 불린 일군의 사상가도 있었다.
· 세세한 항목까지 면밀하게 짜인 법을 제정 이를통해 올바른 원리를 준수하게 해야 한다고 역설. 이런원리는 분명 유교의 원리와도 합치한다.
· 진실황의 명령으로 공공도서관의 모든 유교경전이 폐기, 다음 왕조에서 찬란하게 부활한 유교는 이후 수백년 동안 지속적인 영향을 끼쳤다.
4. 공자의 위대한 제자들
1. 맹자
· 기원전 371년부터 289년까지 살았던 맹자는 두가지 점에서 스승의 가르침을 보완
인성에 관한 독특한 이론을 전개하여 유교에 심리학적 기초를 마련
② 정치 사상가로서, ‘제후들의 조언자’로서 중요시 활동
· 맹자의 견해 - “인간은 선하다.”(성선설)
· 인간 본선의 선함을 확시하는 이사상가는 사회비평가로, 거의 혁명가로 변한다.
∴ 그는 전쟁을 비난하고 사치와 공공재산의 남용을 질책
· 맹자는 통치자가 아니라 백성을 고찰의 중심대상으로 삼음
2. 순자
· 기원전 355~288년까지 살았다
· 순자의 견해 - “인간의 천성은 악하다.”(성악설)
· 맹자와 순자의 견해 대립
- 맹자는 외적 자연은 고려할 필요가 없고 오로지 안간 내명에 귀기울여랴 한다고 주장한 반면에, 순자는 인간이 자연을 능동적으로 지배할 것을 주장
3.《중용》
· 공자의 손자가 쓴 책《중용》에서는 이 사상이 형이상학적 성격을 획득
· 현자 내지 군자의 행위 지침일 뿐 아니라 동시에 모든 존재의 포괄적 원리로 설명
· 조화 - “조화와 우리의 가장 깊은 자아가 실현되면, 전 우주가 질서 있게 되고 모든 사물이 완전하게 성장하고 발전한다.”
5. 이후 발전 과정에 대한 조망과 평가
1. 중국의 중세 철학
· 기원전 200년경에서 기원후 1000년경까지의 중국 중세시대는 중국 철학의 암흑기
· 유교는 형식화된 국가적 제의로 군어졌고, 도교는 연금술과 미신으로 전락
· 중세에 지배적 조류를 형성한 것은 유교와 도교이며, 인도에서 전래되어 중국에 널리 퍼진 불교가 제3의 세력을 형성
· 왕충 - 서기 1세기에 상았던 왕충은 여러 세기에 걸쳐 이어져 온 어느학파의 지도자. 냉철한 이성에 근거 중세의 경직된 유교를 열렬히 비판, 경험과 이성적 판단을 내세워 모든 종류의 사교를 공격
· 음양설 - 남성적이고 활동적인 원리인 양과 여성적이고 수동적인 원히인 음
-중세초의 유교철학자 동중서는 “모든 사물은 음과 양의 성격을 지니면서 서로를 보완한다.”고 말했다.
2. 중국의 불교
· 기원후 20~기원후 30년 동안 지중해 연안에 기독교가 전파되기 시작한 것과 같은 시기에 후한의 황제인 명제 치하에서 불교가 중국에 전래
· 인도 불교의 고전 문헌이 중국어로 번역 후일 인도에서 소실된 수많은 문헌이 중국에서 보존
· 중국에는 인도 불교의 모든 종파가 전래되었다. 하지만 그중에서 중국 민족성에 부합하거나 동화될 수 있는 것만이 지속적으로 명맥을 이어갔다.
3. 신유가 시대
· 중세 말부터 1911년 중국 혁명에 이르기까지 실로 근대 중국 철학의 역사와 일치
· 유교의 주장 - 모든 존재의 허무함을 강조하는 불교의 가르침은 세상의 참된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 소치
· 신유가의 역사
제1기 송 왕조 - 서기 960년에서 1279년까지 존속한 송왕조의 가장 탁원한 사상가이자 신유의 가장 저명한 철학자인 주회는 1130년에서 1200년까지 생존 주희는 이모든 내용을 종합하여 새로운 포괄적 사상 체계를 정립 (신유가의 철학적 기초)
∴ 주희 등의 뛰어난 사상가들이 주도한 송대 철학은 합리론 학파 내지 ‘성리학’이라 불린다.
② 제2기 명 왕조 - 왕양명(1479~1529) 그는 주희의 가장 주목할 만한 반대자, 왕양명에 의해 관념론의 색채를 띠게 되었다.
③ 제3기 청 왕조 - 대동원(1723~77)은 고대의 고전적 사상과 중세 이후 발전해온 신유가의 사상을 전체적으로 종합하려 시도
∴ 경험의 가치를 높이 평가했시 때문에 경험론 학파라 불린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3.20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63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