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상적 사회주의에 대한 연구
1. 들어가며
2. 푸리에(Charles Fourier)
3. 오우엔(Robert Owen)
4. 생 시몽(Claude Henri de Saint-Simon)
1. 들어가며
2. 푸리에(Charles Fourier)
3. 오우엔(Robert Owen)
4. 생 시몽(Claude Henri de Saint-Simon)
본문내용
그는 역설적이지만 기업가로서 크게 성공하여 적어도 한동안은 부유한 권력층과 어울려 많은 사람들의 찬양의 대상이 되었다. 1830년대와 1840년대에 이르면 오우엔주의(Owenism) (그는 이 용어를 싫어하여 추종자들로 하여금 쓰지 못하게 했다)은 사실상 英國의 社會主義와 거의 동의어가 된다.
오우엔은 산업화의 의미를 푸리에보다 더 명확하게 인식했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그것을 수용했다. 그는 공장제 생산의 새로운 기술새로운 기계새로운 규율 등을 훨씬 더 개방적으로 수용하면서 이 새로운 것들이 그 초기에 어떠한 시행착오와 불합리성을 가져올지라도 그것들은 생산의 점진적인 증대와 인간의 보편적 행복을 약속할 것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우리는 먼저 이러한 견해를 서두로 삼아 논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오우엔도 처음에는 피고용자의 생활을 온정주의적으로 개선해야된다고 생각한 한 사람의 인자한 공장소유주에 불과한 사람으로서 근대의 상공업문명을 거부하면서 대부분 산업화되기 이전사회의 도덕경제로 되돌아가려는 듯한 견해를 피력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최초의 오우엔 예찬자들은 反近代的이념을 보편적으로 지향한 농촌의 젠트리와 토리당 정치인들이었다.
오우엔이 광범위하게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그가 스코틀랜드의 뉴우 라나크(New Lanark)에서 모직물공장을 운영하면서 부터였다. 그 세기의 전환기를 막 지날 무렵 그는 다음과 같은 개선책을 도입했다. 즉, 그는 단축된 작업시간, 개선되고 안전해진 작업환경, 작업후의 리크레이션, 어린이와 어른을 위한 학교의 설립, 개선된 주거생활, 어린이노동의 폐지, 종업원의 봉급공제로 충당되는 보험계획 등이 그것이다. 무엇보다도 주목할 만한 것은 그가 자신이 고용한 노동자들의 복지와 士氣를 전반적으로 높혔을 뿐만 아니라 계속해서 상당한 이윤을 남겼다고 하는 사실이었다. 얼마 안되어 뉴우 라나크는 세계적인 관광명소가 되었고 왕족으로부터 일반 사람에 이르는 다양한 방문객들이 오우엔의 실제적 개혁을 보기 위해 그곳을 방문했다.
英國의 토리당 지주계급으로 하여금 오우엔에게 끌리게 한 것은 한 사람의 성공적인 산업가였던 그가 광범하게 수용되고 있던 공장제 옹호론을 제시한 정치경제학자들 스미드, 말더스, 리카도 등의 이론을 공격한데 있었다. 또한 그 무렵 열띤 논쟁을 불러일으킨 구빈법(Poor Law)문제에서도 오우엔은 구지배계급의 주장을 강력하게 보강했다. 공장제는 사회적 무책임성파괴적 경쟁냉혹한 개인주의를 자극한다고 그는 주장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산업화이전사회는 충만한 사회意識, 가난하고 불행한 사람들을 보살펴주어야 한다고 믿은 상류층의 신념, 노동계층 사이에 존재한 강력한 공동체의식 등이 현저했다고 생각했다. 자신의 초기 작품새로운 사회관(A New View of Society: 1813)에서 그는 급격한 변화를 옹호하기는 커녕 어떤 사람에게도 어떤 사회계층에게도 위험이 전혀 따르지 않는, 그러면서도 가난한 사람들을 독립적자활적이 되게 하려는 목적을 가진 평이단순하고 실현가능한 계획을 제안했다(Harrison, p. 22).
그러나 토리당의 오우엔 찬미자들은 점차 그의 사상이 기본적으로 자신들과 상이하다는 사실과 또한, 그가 단순한 박애주의자의 성격에서 더욱 일탈해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다. 그도 개인주의적 공리주의를 공격하였지만 그의 대부분의 지적 가설들이 전형적인 보수주의적인 것이라기 보다 민주적 급진주의적인 것에 훨씬 더 가깝다는 것이 그의 초기 작품에서부터 명백히 드러났다. 그는 기독교와 관습을 배격했고 (비록 과거의 전통에도 실제 많은 훌륭한 것들이 있다는 것을 인정했지만)理性과 자연을 유일의 지침으로 삼으려고 했다. 그는 환경주의를 철저히 신봉했다. 사람들은 나쁜 환경 때문에 불행하고 부도덕하며 잔인하고 탐욕스럽게 되었으므로 좋은 환경에서 살 경우 행복하고 도덕적이고 이타적협동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새로운 사회관의 서두에서 “人間事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자들의 통제하에 있는 . . . 수단을 적절히 적용하므로써 . . . 어떤 공동체에도 . . . 어떤 일반적 성격이 주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Gray, p. 204).
오우엔은 개인의 경쟁적 노력을 강조하는 민주적 급진주의자들의 주장을 거부했는데 자신의 개인적 경험에 입각하여 그것은 불행한 사회적 결과를 초래한다고 확신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행복이 사회존립의 유일한 고유의 목적이라는 사실을 수용하고 또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 어떤제도의 試金石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스미드나 밀 등 산업주의 예찬자들과는 달리 그는 보편적 행복을 보장하는 최선의 길이 자유시장체제의 생산성의 증대에 있다는 것을 믿지 않았다. 조화로운 협동과 합리적 계획이 그보다 훨씬 더 우월한 것으로 보였다.
오우엔은 모호한 공리주의적 전제로부터 社會主義적 결론으로 옮아갔다. 그러나 정확하게 말하여, 그의 공리주의는 벤덤이나 밀의 그것과는 상이하였다. 말하자면, 오우엔은 행복을 쾌락주의적으로, 즉 고통을 능가하는 쾌락이라는 관점에서 정의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는 행복은 理性的(社會主義적) 존재의 희열로부터 비롯하는 것이라고 믿었다. 그가 이상적인 것으로 본 공동체의 역동성은 고통-쾌락 함수관계는 아니었다. 그대신 그는 일종의 도덕적 강제를 제시했다. 즉 사람들은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고 하는 합리적 이상을 위해 살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오우엔은 기독교의 도덕성 때문에 그것을 신랄하게 비판했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어떤 점에서는 비이성적이고 비자연적인 도덕주의로 되돌아 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심도있고 일관성있는 철학적 추리는 오우엔의 장점중의 하나가 아니었다.
理想鄕(여타사회와 분리되고 理性과 자연의 원리에 따른다는 근거에서 설립되었다는 점에서 유토피아란 용어를 쓴다)을 설립하기 위한 오우엔의 첫 계획은 대체로 말해 ‘정욕인력론’(Theory of Passional Attraction)의 역동성은 없었지만 푸리에의 대체로 팔랑스테에르를 닮은 것이었다. 오우엔은 자신의 팔랑스테에르를 “협동촌”(Villages of Cooperation)이라 불렀는데, 그것은 실업자, 특히 기계때문에
오우엔은 산업화의 의미를 푸리에보다 더 명확하게 인식했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그것을 수용했다. 그는 공장제 생산의 새로운 기술새로운 기계새로운 규율 등을 훨씬 더 개방적으로 수용하면서 이 새로운 것들이 그 초기에 어떠한 시행착오와 불합리성을 가져올지라도 그것들은 생산의 점진적인 증대와 인간의 보편적 행복을 약속할 것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우리는 먼저 이러한 견해를 서두로 삼아 논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오우엔도 처음에는 피고용자의 생활을 온정주의적으로 개선해야된다고 생각한 한 사람의 인자한 공장소유주에 불과한 사람으로서 근대의 상공업문명을 거부하면서 대부분 산업화되기 이전사회의 도덕경제로 되돌아가려는 듯한 견해를 피력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최초의 오우엔 예찬자들은 反近代的이념을 보편적으로 지향한 농촌의 젠트리와 토리당 정치인들이었다.
오우엔이 광범위하게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그가 스코틀랜드의 뉴우 라나크(New Lanark)에서 모직물공장을 운영하면서 부터였다. 그 세기의 전환기를 막 지날 무렵 그는 다음과 같은 개선책을 도입했다. 즉, 그는 단축된 작업시간, 개선되고 안전해진 작업환경, 작업후의 리크레이션, 어린이와 어른을 위한 학교의 설립, 개선된 주거생활, 어린이노동의 폐지, 종업원의 봉급공제로 충당되는 보험계획 등이 그것이다. 무엇보다도 주목할 만한 것은 그가 자신이 고용한 노동자들의 복지와 士氣를 전반적으로 높혔을 뿐만 아니라 계속해서 상당한 이윤을 남겼다고 하는 사실이었다. 얼마 안되어 뉴우 라나크는 세계적인 관광명소가 되었고 왕족으로부터 일반 사람에 이르는 다양한 방문객들이 오우엔의 실제적 개혁을 보기 위해 그곳을 방문했다.
英國의 토리당 지주계급으로 하여금 오우엔에게 끌리게 한 것은 한 사람의 성공적인 산업가였던 그가 광범하게 수용되고 있던 공장제 옹호론을 제시한 정치경제학자들 스미드, 말더스, 리카도 등의 이론을 공격한데 있었다. 또한 그 무렵 열띤 논쟁을 불러일으킨 구빈법(Poor Law)문제에서도 오우엔은 구지배계급의 주장을 강력하게 보강했다. 공장제는 사회적 무책임성파괴적 경쟁냉혹한 개인주의를 자극한다고 그는 주장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산업화이전사회는 충만한 사회意識, 가난하고 불행한 사람들을 보살펴주어야 한다고 믿은 상류층의 신념, 노동계층 사이에 존재한 강력한 공동체의식 등이 현저했다고 생각했다. 자신의 초기 작품새로운 사회관(A New View of Society: 1813)에서 그는 급격한 변화를 옹호하기는 커녕 어떤 사람에게도 어떤 사회계층에게도 위험이 전혀 따르지 않는, 그러면서도 가난한 사람들을 독립적자활적이 되게 하려는 목적을 가진 평이단순하고 실현가능한 계획을 제안했다(Harrison, p. 22).
그러나 토리당의 오우엔 찬미자들은 점차 그의 사상이 기본적으로 자신들과 상이하다는 사실과 또한, 그가 단순한 박애주의자의 성격에서 더욱 일탈해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다. 그도 개인주의적 공리주의를 공격하였지만 그의 대부분의 지적 가설들이 전형적인 보수주의적인 것이라기 보다 민주적 급진주의적인 것에 훨씬 더 가깝다는 것이 그의 초기 작품에서부터 명백히 드러났다. 그는 기독교와 관습을 배격했고 (비록 과거의 전통에도 실제 많은 훌륭한 것들이 있다는 것을 인정했지만)理性과 자연을 유일의 지침으로 삼으려고 했다. 그는 환경주의를 철저히 신봉했다. 사람들은 나쁜 환경 때문에 불행하고 부도덕하며 잔인하고 탐욕스럽게 되었으므로 좋은 환경에서 살 경우 행복하고 도덕적이고 이타적협동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새로운 사회관의 서두에서 “人間事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자들의 통제하에 있는 . . . 수단을 적절히 적용하므로써 . . . 어떤 공동체에도 . . . 어떤 일반적 성격이 주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Gray, p. 204).
오우엔은 개인의 경쟁적 노력을 강조하는 민주적 급진주의자들의 주장을 거부했는데 자신의 개인적 경험에 입각하여 그것은 불행한 사회적 결과를 초래한다고 확신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행복이 사회존립의 유일한 고유의 목적이라는 사실을 수용하고 또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 어떤제도의 試金石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스미드나 밀 등 산업주의 예찬자들과는 달리 그는 보편적 행복을 보장하는 최선의 길이 자유시장체제의 생산성의 증대에 있다는 것을 믿지 않았다. 조화로운 협동과 합리적 계획이 그보다 훨씬 더 우월한 것으로 보였다.
오우엔은 모호한 공리주의적 전제로부터 社會主義적 결론으로 옮아갔다. 그러나 정확하게 말하여, 그의 공리주의는 벤덤이나 밀의 그것과는 상이하였다. 말하자면, 오우엔은 행복을 쾌락주의적으로, 즉 고통을 능가하는 쾌락이라는 관점에서 정의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는 행복은 理性的(社會主義적) 존재의 희열로부터 비롯하는 것이라고 믿었다. 그가 이상적인 것으로 본 공동체의 역동성은 고통-쾌락 함수관계는 아니었다. 그대신 그는 일종의 도덕적 강제를 제시했다. 즉 사람들은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고 하는 합리적 이상을 위해 살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오우엔은 기독교의 도덕성 때문에 그것을 신랄하게 비판했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어떤 점에서는 비이성적이고 비자연적인 도덕주의로 되돌아 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심도있고 일관성있는 철학적 추리는 오우엔의 장점중의 하나가 아니었다.
理想鄕(여타사회와 분리되고 理性과 자연의 원리에 따른다는 근거에서 설립되었다는 점에서 유토피아란 용어를 쓴다)을 설립하기 위한 오우엔의 첫 계획은 대체로 말해 ‘정욕인력론’(Theory of Passional Attraction)의 역동성은 없었지만 푸리에의 대체로 팔랑스테에르를 닮은 것이었다. 오우엔은 자신의 팔랑스테에르를 “협동촌”(Villages of Cooperation)이라 불렀는데, 그것은 실업자, 특히 기계때문에
추천자료
시장사회주의 모형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중요한세력으로서의 사회주의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레포트
2009년 2학기 발전행정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09년 2학기 발전행정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특질
사회주의 리얼리즘론을 둘러싼 창작방법 논쟁
스탈린 이후 소련 사회주의 평가
스탈린의 사회주의와 그 위기
노동3권의 정의 및 발전과정
[생산력][생산력 발전][사회 생산력][북한 생산력][조선전기 생산력]생산력의 발전, 사회의 ...
[사회복지정책론] 사회사상과 사회복지정책 - 사회복지사상, 페이비언 사회주의, 케이스주의...
정치로본유럽(그리스민주주의, 유럽정치, 로마공화정, 의회국가, 유럽왕조변천, 선거권확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