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가. 도서유통의 연구목적 및 의의…………………………………………… 3
나. 일반적 도서 유통 경로
2. 국내도서의 유통 경로
가. 유통구조 단계적 분류 …………………………………………………… 4
1) 출판사
2) 도매(서적유통회사)
3) 소매
a. 오프라인 서점
b. 온라인 서점
4) 중고책 유통 경로
3. 해외도서의 유통 경로
가. 해외도서의 주문 경로 …………………………………………………… 9
나. 유통마진
4. E-book의 유통 경로
가. E-book의 유통과정 …………………………………………………… 12
1) 작가
2) 출판사
3) 판매처(유통업체)
4) 독자
나. E-book의 수익구조
다. E-book의 발전방향
5. 도서 유통의 발전방향 ………………………………………………… 15
참고 문헌 ……………………………………………………………………………… 16
가. 도서유통의 연구목적 및 의의…………………………………………… 3
나. 일반적 도서 유통 경로
2. 국내도서의 유통 경로
가. 유통구조 단계적 분류 …………………………………………………… 4
1) 출판사
2) 도매(서적유통회사)
3) 소매
a. 오프라인 서점
b. 온라인 서점
4) 중고책 유통 경로
3. 해외도서의 유통 경로
가. 해외도서의 주문 경로 …………………………………………………… 9
나. 유통마진
4. E-book의 유통 경로
가. E-book의 유통과정 …………………………………………………… 12
1) 작가
2) 출판사
3) 판매처(유통업체)
4) 독자
나. E-book의 수익구조
다. E-book의 발전방향
5. 도서 유통의 발전방향 ………………………………………………… 15
참고 문헌 ……………………………………………………………………………… 16
본문내용
소매서점 독자
<직접 판매 루트>
출판사 독자 (독자가 찾아오거나 편지, 전화, 인터넷을 통해 주문하면 판매)
<온라인 판매 루트>
출판사 도매서점 인터넷 서점 독자
출판사 인터넷 서점 독자
2. 국내 도서의 유통경로
가. 유통구조 단계적 분류
1) 출판사
도서 유통의 시작점으로 위탁 판매 형태로 운영한다. 생산은 출판사 자체 생산을 하는 것이 아닌 제본소에서 책을 만들어 넘겨 받는 식이다. 자체 창고를 운영하며 도서를 보관하고 도매서점, 총판, 소매서점 등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었지만 현재 대부분의 출판사는 전문 도서 물류업체에 일정 수수료를 지불하여 이 부분을 아웃소싱하고 있다.
2) 도매 (서적유통회사)
도매를 하는 회사를 서적유통회사로 칭할 수 있고 이는 크게 전국도매상, 물류회사, 총판 세 분야로 나뉘어진다. 전국 도매상의 기능을 갖고 있는 회사로는 북센, 송인서적, 한국출판협동조합, 학원서적, 동국출판판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책을 출판사로부터 위탁이든 현금으로 하든 도서를 구매해서 서점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물류회사로서는 파주출판물류, 한국출판물류센터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출판사의 위임을 받아 책을 보관하고 출판사의 지시에 따라 책을 서점에 배송하는 서비스 기능을 하는 곳이다.
또한 총판은 출판사와 독점계약을 맺고 계약된 출판사의 참고서와 학습서를 취급하는 독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참고서를 예로 보면 출판사는 총판의 지리적 위치, 거래량, 도서의 종류 등에 따라 총판에 도서정가의 45~65% 수준으로 출고하고, 교보문고 등 대형서점에는 도서정가의 70~75% 수준으로 공급한다. 총판은 출판사로부터 공급받은 학습참고서를 일반서점 및 학원에 도서정가의 70~75%, 인터넷서점에 70%, 할인서점에는 65~75% 수준으로 공급한다.
도매업의 최근 경향으로는 도매를 겸하는 서점의 증가를 들 수 있다. 또한 지역의 도매상과 총판이 점점 줄어드는 현상이 잦아지고 있다. 주요 유통회사가 대형화 되고 있어서 전국 1일 배송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특정 지역을 제외하고는 단행본 총판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경향이다.
아래 그림은 한국도서유통의 물류 흐름을 예로 대형유통회사의 유통과정을 나타낸다
< 한국도서유통의 물류 흐름 >
3) 소매
a.오프라인 서점
오프라인 서점은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서점들이다. 대표적으로 교보문고, 영풍문고를 들 수 있다. 서점들은 규모가 다른데 면적에 따라 소형, 중형, 대형 서점으로 나뉜다.
또한 최근 추세에 따라 도매서점을 겸하는 서점들도 생김으로써 서점의 형태를 도매서점과 소매서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규모
소형
중형
대형
면적
50평 미만
50~200평 이하
200평 이상
형태
소매서점
도매, 소매 서점
도매, 소매 서점
관리 시스템
POS 시스템 : 판매시점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 분석, 평가하여 미래의 고객대응능력을 배가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판매관리 시스템이다.
체인점
X
O
교보문고, 영풍문고 같은 대형서점이 체인화를 주도
b.온라인 서점
오프라인과 온라인 서점을 같이 운영하는 곳(영풍문고, 교보문고, 알라딘) 과 전문적으로 인터넷상에서 온라인 서점만을 운영하는 곳(YES24, 인터파크) 으로 분류 할 수 있다.
① 온라인 서점 유통구조
② 온라인 서점의 특징
1. 일반 서점들이 도매상으로부터 공급받는 가격보다 싼 가격에 도서를 제공
2. 마일리지 적립과 할인 혜택
3. 직접 찾아가야 하는 시간의 절약
4. 일상에서의 접근이 용이
온라인 서점은 이런 이점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매출을 올리고 있다. 대한출판문화협회에 따르면 2008년 도서시장에서 온라인 서점의 매출 비중은 30%를 넘어섰다. 이 수치는 교보문고나 영풍문고 등 대형 서점의 매출 총액을 오프라인 부분으로 집계한 것이며, 이들의 온라인 매출을 따로 계산할 경우 전체 시장에서 온라인 매출액 비중은 50%를 넘어선다.
③ 온라인 서점의 영향
온라인 서점은 ‘18개월 이내의 책을 10% 할인해 팔 수 있도록 허용‘ 하는 도서 정가제의 규정을 이용하여 가격을 할인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한다. 이런 공급가격의 하락으로 인해 오프라인 서점에서는 커다란 피해를 입고 있다. 일반 소형, 중형 서점의 고객들은 발길이 점점 줄었고 대형서점의 경우도 사람은 붐비지만 정작 도서를 구매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오프라인 서점에서 책의 종류, 내용 등을 간략히 살펴보고 마음에 드는 책이 있으면 그것을 온라인 서점에서 사는 경우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다른 시점으로는 가격을 낮게 공급하다보니 소비자의 불신이 증가한다는 점이다. 온라인 서점들의 가격경쟁으로 공급 가격이 낮아지는 것인데 소비자들은 이것을 일반 도서공급가격에 거품이 있다고 오해하게 되는 것이다.
4) 중고책 유통경로
a. 중고책 유통채널
중고책유통채널
예
대형온라인서점
교보온라인
영풍문고온라인
리브로
예스24
아마존
중고책전문온라인서점
북코어
북오프
헌책방
종로 헌책방점포
① 대형 온라인서점
- 특징 : 기존의 중고책 전문 온라인서점이 중고책 시장을 따로 선점하고 있었으나 최근 경기불황으로 대형 온라인 서점들이 중고책 시장에 가세. 그 시장은 점점 커지고 있음.
알라딘 2006년 중고책거래서비스 시작
인터파크 2009년 중고책거래서비스 시작
인터넷교보문고 2010년 중고책거래서비스 시작
예스24 2011년 6월 중고책 직배송 서비스 시작(중고책 품질을 보증할 수 있게 됨)
② 중고책 전문 온라인 서점
- 북코어, 하나북 등 수많은 중고책만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온라인 서점이 있음.
북코어 총 960만권 이상의 도서 등록
하나북 총 20만종 도서 보유
③ 오프라인 중고책 서점
- 북오프 : 한국을 비롯한 세계 5개국에서 921개 점포 운영중
- 소규모 헌책방 : 예) 종로, 청계천 주변 지역
b. 온라인 서점에서의 중고서점 마진
① 서점에 일괄판매시
위에서 보듯 중고책 판매자는 온라인서점에 정가의 15%정도에 일괄판매를 한다. 그리고 온라인서점에선 최종소비자에게 정가의 75%정도를 할인하여 판매하고 있다. 서점이 얻을 수 있는 중간마진은 25%-15%=10%정도가 된다.
<예스24 중고
<직접 판매 루트>
출판사 독자 (독자가 찾아오거나 편지, 전화, 인터넷을 통해 주문하면 판매)
<온라인 판매 루트>
출판사 도매서점 인터넷 서점 독자
출판사 인터넷 서점 독자
2. 국내 도서의 유통경로
가. 유통구조 단계적 분류
1) 출판사
도서 유통의 시작점으로 위탁 판매 형태로 운영한다. 생산은 출판사 자체 생산을 하는 것이 아닌 제본소에서 책을 만들어 넘겨 받는 식이다. 자체 창고를 운영하며 도서를 보관하고 도매서점, 총판, 소매서점 등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었지만 현재 대부분의 출판사는 전문 도서 물류업체에 일정 수수료를 지불하여 이 부분을 아웃소싱하고 있다.
2) 도매 (서적유통회사)
도매를 하는 회사를 서적유통회사로 칭할 수 있고 이는 크게 전국도매상, 물류회사, 총판 세 분야로 나뉘어진다. 전국 도매상의 기능을 갖고 있는 회사로는 북센, 송인서적, 한국출판협동조합, 학원서적, 동국출판판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책을 출판사로부터 위탁이든 현금으로 하든 도서를 구매해서 서점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물류회사로서는 파주출판물류, 한국출판물류센터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출판사의 위임을 받아 책을 보관하고 출판사의 지시에 따라 책을 서점에 배송하는 서비스 기능을 하는 곳이다.
또한 총판은 출판사와 독점계약을 맺고 계약된 출판사의 참고서와 학습서를 취급하는 독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참고서를 예로 보면 출판사는 총판의 지리적 위치, 거래량, 도서의 종류 등에 따라 총판에 도서정가의 45~65% 수준으로 출고하고, 교보문고 등 대형서점에는 도서정가의 70~75% 수준으로 공급한다. 총판은 출판사로부터 공급받은 학습참고서를 일반서점 및 학원에 도서정가의 70~75%, 인터넷서점에 70%, 할인서점에는 65~75% 수준으로 공급한다.
도매업의 최근 경향으로는 도매를 겸하는 서점의 증가를 들 수 있다. 또한 지역의 도매상과 총판이 점점 줄어드는 현상이 잦아지고 있다. 주요 유통회사가 대형화 되고 있어서 전국 1일 배송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특정 지역을 제외하고는 단행본 총판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경향이다.
아래 그림은 한국도서유통의 물류 흐름을 예로 대형유통회사의 유통과정을 나타낸다
< 한국도서유통의 물류 흐름 >
3) 소매
a.오프라인 서점
오프라인 서점은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서점들이다. 대표적으로 교보문고, 영풍문고를 들 수 있다. 서점들은 규모가 다른데 면적에 따라 소형, 중형, 대형 서점으로 나뉜다.
또한 최근 추세에 따라 도매서점을 겸하는 서점들도 생김으로써 서점의 형태를 도매서점과 소매서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규모
소형
중형
대형
면적
50평 미만
50~200평 이하
200평 이상
형태
소매서점
도매, 소매 서점
도매, 소매 서점
관리 시스템
POS 시스템 : 판매시점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 분석, 평가하여 미래의 고객대응능력을 배가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판매관리 시스템이다.
체인점
X
O
교보문고, 영풍문고 같은 대형서점이 체인화를 주도
b.온라인 서점
오프라인과 온라인 서점을 같이 운영하는 곳(영풍문고, 교보문고, 알라딘) 과 전문적으로 인터넷상에서 온라인 서점만을 운영하는 곳(YES24, 인터파크) 으로 분류 할 수 있다.
① 온라인 서점 유통구조
② 온라인 서점의 특징
1. 일반 서점들이 도매상으로부터 공급받는 가격보다 싼 가격에 도서를 제공
2. 마일리지 적립과 할인 혜택
3. 직접 찾아가야 하는 시간의 절약
4. 일상에서의 접근이 용이
온라인 서점은 이런 이점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매출을 올리고 있다. 대한출판문화협회에 따르면 2008년 도서시장에서 온라인 서점의 매출 비중은 30%를 넘어섰다. 이 수치는 교보문고나 영풍문고 등 대형 서점의 매출 총액을 오프라인 부분으로 집계한 것이며, 이들의 온라인 매출을 따로 계산할 경우 전체 시장에서 온라인 매출액 비중은 50%를 넘어선다.
③ 온라인 서점의 영향
온라인 서점은 ‘18개월 이내의 책을 10% 할인해 팔 수 있도록 허용‘ 하는 도서 정가제의 규정을 이용하여 가격을 할인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한다. 이런 공급가격의 하락으로 인해 오프라인 서점에서는 커다란 피해를 입고 있다. 일반 소형, 중형 서점의 고객들은 발길이 점점 줄었고 대형서점의 경우도 사람은 붐비지만 정작 도서를 구매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오프라인 서점에서 책의 종류, 내용 등을 간략히 살펴보고 마음에 드는 책이 있으면 그것을 온라인 서점에서 사는 경우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다른 시점으로는 가격을 낮게 공급하다보니 소비자의 불신이 증가한다는 점이다. 온라인 서점들의 가격경쟁으로 공급 가격이 낮아지는 것인데 소비자들은 이것을 일반 도서공급가격에 거품이 있다고 오해하게 되는 것이다.
4) 중고책 유통경로
a. 중고책 유통채널
중고책유통채널
예
대형온라인서점
교보온라인
영풍문고온라인
리브로
예스24
아마존
중고책전문온라인서점
북코어
북오프
헌책방
종로 헌책방점포
① 대형 온라인서점
- 특징 : 기존의 중고책 전문 온라인서점이 중고책 시장을 따로 선점하고 있었으나 최근 경기불황으로 대형 온라인 서점들이 중고책 시장에 가세. 그 시장은 점점 커지고 있음.
알라딘 2006년 중고책거래서비스 시작
인터파크 2009년 중고책거래서비스 시작
인터넷교보문고 2010년 중고책거래서비스 시작
예스24 2011년 6월 중고책 직배송 서비스 시작(중고책 품질을 보증할 수 있게 됨)
② 중고책 전문 온라인 서점
- 북코어, 하나북 등 수많은 중고책만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온라인 서점이 있음.
북코어 총 960만권 이상의 도서 등록
하나북 총 20만종 도서 보유
③ 오프라인 중고책 서점
- 북오프 : 한국을 비롯한 세계 5개국에서 921개 점포 운영중
- 소규모 헌책방 : 예) 종로, 청계천 주변 지역
b. 온라인 서점에서의 중고서점 마진
① 서점에 일괄판매시
위에서 보듯 중고책 판매자는 온라인서점에 정가의 15%정도에 일괄판매를 한다. 그리고 온라인서점에선 최종소비자에게 정가의 75%정도를 할인하여 판매하고 있다. 서점이 얻을 수 있는 중간마진은 25%-15%=10%정도가 된다.
<예스24 중고
추천자료
아마존과 반즈앤노블 비교
인터파크(www.Interpark.co.kr)
인터넷마케팅 사례-베텔스만 북클럽
교보문고의 마케팅 전략 분석
[마케팅]코카콜라 외 다양한 마케팅 방법
YES24 웹 평가 / 분석
모닝 365 물류시스템
[전자책][e-book]전자책(e-book, 디지털도서)의 정의, 특성, 장점과 전자책(e-book, 디지털도...
인터파크의 마케팅 (SWOT, STP, 5C) 분석과 성공요인
아마존(amazon.com)의 마케팅 경영전략 분석
킨들(Kindle)의 국내시장 진출
독후감-시크릿
MUSICOTE,악보시장,악보시장마케팅전략,악보시장분석
인터넷마케팅 교보문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