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샤의 마케팅전략 완서론및 선정이유/미샤소개/블루오션 경영/화장품산업분석/4대 마케팅전략/PLC분석/4P분석/STP전략/SWOT분석/타사(스킨푸드,에뛰드,더페이스샵)제품 비교분석 성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샤의 마케팅전략 완서론및 선정이유/미샤소개/블루오션 경영/화장품산업분석/4대 마케팅전략/PLC분석/4P분석/STP전략/SWOT분석/타사(스킨푸드,에뛰드,더페이스샵)제품 비교분석 성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및 기업 선정이유

Ⅱ. 화장품 시장 환경 분석

1) 국내 화장품 시장의 현황
2) 국내 저가 화장품 시장 현황

Ⅲ. 미샤 소개
1) 미샤의 의의
2) 미샤의 슬로건과 탄생배경
1. 미샤의 슬로건
2. 미샤의 탄생배경
3) 미샤의 경영마인드 - 품질과 프로슈머, 두 개념을 모토로 함.
4) 미샤의 Image
5) 미샤의 온라인 샵
6) 미샤의 브랜드 샵
7) 미샤의 파급효과

Ⅲ. 미샤의 블루오션 경영

Ⅳ. 화장품 산업 분석
1) 화장품 산업
2) 국내 화장품 산업의 현황
3) 화장품 산업의 환경변화

Ⅴ. 미샤의 4대 마케팅 전략
1) 내용물 우선주의 ( 겉 포장 생략, 용기간 소화)
2) 화장품의 생필품화
3) 참여화장품 (Prosumer)
4) 온, 오프 통합 마케팅

Ⅵ. PLC분석 (제품수명주기 )
Ⅶ. 4p분석
Ⅷ. SWOT 분석
Ⅸ. STP전략

본문내용

할 이유가 없으며 적정한 마진으로서 고객의 이익과 부합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만들어진 브랜드이다.
화장품의 가치는 화장품을 담는 포장이나 이미지를 통한 광고 등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내용물에 있다는 것에서 출발한 브랜드이다. 화장품이 내용에 더 충실하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고객에게 봉사하는 브랜드로 기획되었다.
③ 미샤에는 합리적인 네티즌과 고객들이 있었다.
미샤의 탄생과 성장에는 바로 합리적인 네티즌(고객님)들이 있었다. 화장품은 내용물이 중요하고 비싸야 할 이유가 없다는 저희의 주장을 인정해주신 분들의 성원이 있었기에 탄생할 수 있었던 브랜드이다.
미샤는 고객을 위한, 고객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화장품 브랜드이다.
미샤는 프로슈머마케팅(Prosumer Marketing)의 장점을 잘 활용한 브랜드이다. 프로슈머란 기업의 생산자와 소비자의 합성어로써 소비자의 아이디어를 최대한 반영하여 신제품 개발에 직접 관여하는 마케팅 전략이다. 즉, 미샤는 고객을 경여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시간과 돈을 절감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만드는 미샤라는 브랜드 이미지 효과까지 거두면서 점점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며 성장 할 수 있었다. 이렇듯 미샤는 고객들을 단순한 소비의 대상이 아니라 기업 활동 영역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프로슈머마케팅의 장점을 잘 활용한 COSMETIC BRAND 라 볼 수 있다.
(3) 미샤의 경영마인드 - 품질과 프로슈머, 두 개념을 모토로 함.
1. 품질
품질이 최우선 되어야 한다는 목표아래 대외적으로 보이는 이미지를 위한 광고를 최소화.
2. 프로슈머
오프라인 스토어에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온라인 스토어로 시작, 성장해감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을 열었다. 이는 프로슈머의 개념을 극대화 시키고자 노력한 미샤의 대표적인 경영방침이다.
(4) 미샤의 Image
다른 코스메틱 브랜드의 마케팅과는 달리 미샤는 광고를 거의 자제하고 품질에 우선가치를 두었다. 그래서 저가격을 유지할 수 있었는데 이는 소비자에게 미샤의 이미지를 심는데 앞장서는 주 무기가 되었다. 저가격이지만 중저가 또는 중고가 화장품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에게 가격대비 좋은 품질, 정직한 브랜드로 자리매김 하게 되었다. 미샤는 여느 코스메틱 브랜드와는 달리 소비자에게 친숙하고 정직한 이미지를 갖게 되었으며, 이는 소비자로 하여금 믿을 수 있는 브랜드로 자리매김 할 수 있게 되었다.
(5) 미샤의 온라인샵
온라인시장의 개방 및 증가 추세에 맞춰 미샤는 온라인매장을 출시했다. 2000년 여성전문포탈사이트인 ‘뷰티넷’에서 그 사업의 가능성을 보고 출발한 미샤는 인터넷 정신에 가까운 브랜드로서 유통과정을 줄여 소비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원활한 정보교환으로 미샤는 고객들에게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었다. 미샤는 “화장품은 비싸야 한다, 감성에 호소해야 한다, 이런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여성들이 매일 사용하는 생필품으로 비싸야 할 이유가 없으며 적정한 마진으로서 고객의 이익과 부합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만들어진 브랜드이다.
미샤는 온라인 마켓에서 프로슈머마케팅의 장점을 잘 활용한 브랜드이다. 프로슈머란 기업의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unsumer)의 합성어로서 소비자의 아이디어를 최대한 반영하여 신제품 개발에 직접 관여하는 마케팅 전략이다. 즉 미샤는 고객을 경영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시간과 돈을 절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만드는 미샤라는 브랜드 이미지와 효과까지 거두면서 점점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며 성장 할 수 있었다. 이렇듯 미샤는 고객들을 단순한 소비의 대상이 아니라 기업 활동영역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프로슈머마케팅의 장점을 잘 활용한 브랜드라고 볼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미샤 제품의 가격을 고객들이 직접 정하게 만든 것이다. 미샤는 처음엔 제품 값을 정하지 않고, 제품당 배송료 3,000원만 내면 어떤 제품이라도 받을 수 있도록 했었다.
하지만 여기에 제품을 정식으로 출시할 필요성을 느끼고 고객에게 가격에 대한 의견을 묻자, 3,000원이 가장 적당하다는 의견에 부가세 300원을 추가하여 파격적인 3,300원이라는 가격이 탄생했던 것이다. 그리고 초창기 뷰티넷은 회원들의 제안으로 제품을 개발하였는데 그것이 일상화되어 있었고 뷰티넷매니아라는 작은 소모임을 만들어 신제품과 개선 요소에 대해 회원들과 지속적이고 면밀한 의사소통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품평단어란 소모임을 통하여 신제품에 대한 제품력을 평가받고 가격까지 제안을 받았다.
다른 기업이 초기 런칭 시 제품의 반응과 가격결정에 고심할 때 뷰티넷은 곧 바로 고객에게 의견을 물어 가장 확실한 답과 대응전략을 찾아낼 수 있었고, 이는 미샤를 단기간에 빠르게 성장 시킨 중요한 성공요인이다. 또한 미샤는 신제품 개발에서도 별도 비용 없이 뷰티넷에 150만 회원이 하루 평균 20~50건씩 올리는 신제품 아이디어를 통해 얻고, 매달 10여개의 신제품 중 네티즌이 “효과가 없다”고 지적하는 제품은 과감히 생산을 중단하는 등 회원들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했다.
즉 미샤는 고객을 경영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시간과 돈을 절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원하는 화장품을 만드는 미샤라는 브랜드 이미지 효과까지 거두면서 점점 더 많은 수의 고객을 확보하며 성장 할 수 있었다. 이렇듯 미샤는 고객들을 단순히 소비의 대상이 아니라 기업 활동영역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프로슈머마케팅이 가진 장점을 잘 활용했다.
(6) 미샤의 브랜드샵
2002년 상반기 화장품 유통원가를 대폭 내려 소매가격이 3,300원에 불과한 “미샤”의 초저가 색조화장품이 나왔다. 초저가 색조 제품이 나온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이 이같은 제품을 좋아한다는 반응이 중요한 것이다. “값이 너무 싸서 반신반의 하면서 제품을 사용했는데 의외로 품질이 좋다”는 소비자들의 의견이 대부분이였다. 즉 싼 가격과 대비해 제품 만족도가 충족된다는 것이다. 초저가 제품의 출현은 네티즌들 사이에 화장품 원가에 대한 궁금증을 물고 왔다. 인터넷 사이트마다 화장품 원가에 대한 의견조회가 봇물처럼 터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2.04.04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82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