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지능이론 지능에 관한 연구 및 정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중지능이론 지능에 관한 연구 및 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능에 관한 연구 및 지능의 정의
2. 지능요인에 관한 이론
1) Spearman(스피어맨)
2) Thurstone(써스톤)
3) Guilford(길포드)
4) Cattell(카텔)
5) Sternberg(스턴버그)

3. Howard Gardner(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
*Howard Gardner(하워드 가드너) 인물 소개.
3-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란?
3-2. 다중지능의 8영역
3-3. 다중지능 발달과정
3-4. 다중지능 사례
-유아기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아동
-성인기
3-5. 다중지능의 한계
3-6. 다중지능의 시사점

4. 지능의 측정 및 검사점수의 의미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억, 추리 능력 등 다양한 과제에 고르게 적용 될 수 있는 요인으로서, 개인이 일반적으로 지니는 정신에너지를 말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똑똑한’이라는 단어와 유사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권준모,『심리학과 교육』, 학지사, 1998, 198쪽.
그는 지능을 여러 가지 지적 능력에 관한 검사와 검사 간에 존재하고 있는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파악하여 지적 능력은 공통된 일반적 요인과 특수적 요인으로 구성되어있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것이다.
우리들이 흔히 저 사람은 머리가 좋고 나쁘다고 말하는 기준은 대개 일반지능이 높다, 낮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일반지능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예능에 대해서만 천재적인 경우가 있어, 음악, 미술, 체육 운동 기능은 특수적 요인으로서 일반지능과는 관계가 적음을 알 수 있다.
Spearman의 이와 같은 이론은 오늘날 지능의 요인분석적 연구의 기초가 되고 있다. 그 이후에 심리학자들은 요인분석 연구를 토대로 하여 몇 개의 검사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특수요인의 존재를 인정하여 집합 요인(Group factors)이라고 불렀다. 김제한,『교육심리학』, 양서원, 2002, 65쪽.
2) Thurstone(써스톤)
그 후 지능에 관한 이론들은 요인을 더욱 세분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Thurstone은 중학생들과 대학생들에게 56종 지능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요인 분석하여 연구한 결과 스피어맨의 주장과 달리 7개의 요인으로 구성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즉, 지능을 각각 독립적인 기능을 지니고 있다고 해석되는 여러 개의 기본 정신능력의 다요인으로 보았다. 그는 1941년 지능에서
수의 능력, 지각속도, 공간적 사고, 언어능력, 기억, 언어의 유창성, 추리 요인 등 7가지 요인 권준모,『심리학과 교육』, 학지사, 1998, 199쪽.
을 추출하였다. 이와 같은 요인분석 연구를 통해 기본적 정신능력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요인이 발견되고 있다. 즉, Binet식 검사에 의한 일반 지능의 실체가 불명확한 것으로부터 비교적 독립된 능력을 측정하고, 그들의 프로파일(profile)에 의하여 지능을 진단하려고 하는 검사의 출현은 최근의 경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요인 분석연구는, 연구에 사용되는 검사의 수와 종류에 따라 또는 피험집단에 따라 추출되는 요인들이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수의 능력: 기초적인 산수 문제를 통해 측정.
지각속도: 자극의 신속한 재인을 하는 능력. 숫자찾기 검사, 얼굴찾기 검사 등.
공간적 사고: 기하학적 도형의 정신적 조작을 하는 능력. 도형을 시계방향으로 90도 돌렸을 때의 형태를 찾는 검사.
언어 이해 능력: 언어의 이해력을 측정. 어휘력 검사와 독해력 검사.
기억: 단순한 암기력, 단어나 문장의 회상 검사.
언어의 유창성: 신속한 단어의 산출 능력. 예를 들어 ‘ㅍ’으로 시작하는 명사를 1분 동안 가능하면 많이 산출하는 검사.
추리 요인: 주어진 자극들 간의 관계를 유추하는 능력. ‘도서관:책=공항:?’과 같은 유추문제
3) Guilford(길포드)
-3차원적 지능 구조설
Guilford는 지능을 정보처리의 과정이라고 정의하고, 지능의 구조를 주어진 정보의 내용, 정보처리의 조작, 그 결과에서 얻어진 산출이라는 3차원으로 파악할 수 있다고 하였다. Guilford는 Thurstone의 기본 정신 능력을 확장 발전시킨 학자이다. 지능이 120개의 독립적인 요인들로 구성된다는 초기의 제안은 1982년의 논문 Cognitive psychology\'s ambiguities에서 150개로 수정되었으며, 1988년에 다시 180개 요인으로 확장되었다. Guilford는 자신이 제안한 180개의 요인을 설명하기 위해, 세 가지 필수 요소를 축으로 하는 입방형의 모형을 제시한다. 그는 인간의 정신과제가 지능의 세 가지 차원, 즉 ‘인지활동’, ‘내용’, ‘결과’와 관계된다고 주장한다. Guilford의 지능 구조 모형은 다음과 같다.
길포드에 의해 제시된 지능 구조 모형은 5개의 내용차원, 6개의 조작차원 그리고 산출의 6차원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상호 결합하여 얻어지는 180개의 상이한 정신능력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하위 범주들은 상호 독립적인 것으로 정의되며, 따라서 각 차원의 내용을 곱한, 즉 5x6x6=180개의 상이한 정신능력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김제한,『교육심리학』, 양서원, 2002, 66쪽.
4) Cattell(카텔) 권준모,『심리학과 교육』, 학지사, 1998, 199-200쪽.
-유동지능과 결정지능
카텔은 다른 연구자와 마찬가지로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지능이 유동지능(fluent intelligence)과 결정지능(crystalized intelligence)의 두 가지 유형의 요인으로 구분됨을 발견하였다. 카텔에 의하면 유동지능은 주로 비언어적이고 비교적 특정한 문화적 환경에 국한되지 않는 형태의 정신능력이다. 유동적 지능은 유전적, 신경 생리적 영향에 의해 발달하는 지능으로 뇌와 중추신경계의 성숙에 비례하여 발달, 청년기까지 발달하나 성인기 이후 점차 쇠퇴하는 것으로 선천적으로 타고난 학습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이 포함된다. 속도, 기계적 암기, 지각력, 일반적 추리력 등이 해당된다. 그러므로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것을 요구하는 과제에서 유동지능이 사용된다. 반대로 결정지능은 유동지능을 사용하여 학습된 것을 기반으로 하므로 학습된 반응을 요구하는 과제에 사용된다. 결정적 지능은 환경적, 경험적, 문화적 영향에 의해 발달하는 지능으로 가정환경, 교육정도, 직업 등의 영향을 받는다. 결정적 지능은 성인기 이후에도 계속 발달하며 언어능력, 문제해결력, 논리적 추리력, 상식 등이 해결된다. 교육심리학, 서현사. 김영봉 외
(표 참고)
5) Sternberg(스턴버그)
-지능의 삼원론
sternberg는 인산이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적으로 행동하기 위한 정보를 어떻게 모으고 사용하는지의 관점에서 지능을 바라보고 지능의 삼원론을 제시하였다. 지능의 삼원론은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인지과정을 강조한 이론으로서, 지능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에 실제적 지능의 개념을 포괄하고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12.04.05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83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