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단백질
2)탄수화물
3)지방
4)비타민
5)무기질
2)탄수화물
3)지방
4)비타민
5)무기질
본문내용
.염소(Chloride, Cl)
① 체내 분포
염소는 신체 내 총 무기질량의 3%이며 세포외액의 중요한 음이온이다. 정상적인 혈청에는 340~370mg/dl 가 들어 있으며, 뇌척수액에는 많아서 440mg/dl가 들어있다. 비교적 많은 양이 위장의 분비물 중에 있으며, 특히 위내의 염산의 구성 성분으로 존재한다.
② 기능
나트륨과 함께 세포외액에서 물의 균형과 삼투압의 조절을 도우며 pH를 일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③ 흡수 및 대사
염소는 작은 창자에서 거의 모두 흡수되며 배설은 주로 신장을 통해서 일어난다. 염소 역시 오랜 설사, 구토에 의해서 비교적 많은 양이 손실된다.
7.황(Sulfur, S)
① 체내 분포
황은 모든 세포 내에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세포단백질의 구성성분입니다. 황은 체내에서 설프히드릴기 (-SH)의 형태나 이 두 기가 결합해 이황화 결합(-S-S-)을 한 형태로 여러 물질을 구성하고 있다. 아미노산인 메티오닌과 시스테인, 헤파린, 인슐린, 티아민, 리포산, 비오틴, 조효소A의 성분이고 머리카락이나 피부를 이루는 케라틴 단백질의 성분이다.
② 기능
황은 조직의 호흡작용, 생물적 산화과정에 관여한다. 또한 설프히드릴기는 고에너지황 결합을 형성하고, 독성물질이 활성화된 황산염과 결합하여 독성이 없는 물질로 전환되어 소변으로 배설시키므로 황은 해독 작용에도 관여한다.
③급원
식사 내에서의 황의 부족 현상이 사람에게서는 나타나지 않고 있으므로 황의 필요량은 아직 설정되어 있지 않다. 황은 단백질 영양과 관계가 있으므로 여러 종류의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는 사람에게는 결핍증이 문제가 되지 않고, 주로 배아, 콩, 치즈, 살코기, 강남콩, 땅콩, 조개 등에 상당량이 있다.
미량무기질
미량무기질은 신체 내에 체중 kg당 50mg이하로 존재하며 식사 속에 하루 100mg이하의 매우 적은 양이 필요하다. 여러 종류의 미량무기질 주엥서 철, 요오드, 아연, 구리, 망간, 크롬, 셀레늄, 코발트, 몰리브덴 과 불소 등 10가지가 일반적으로 인체에 필수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무기질의 기능
산, 염기의 균형
무기질은 식품으로부터 흡수되어 신체 내에 분포한다. 조직이나 체액 속에 들어 있는 무기질은 많은 대사 반응에 필요한 산도 혹은 염기도를 정상으로 유지하도록 조절한다. 혈액, 조직, 세포들의 적절한 산도 혹은 염기도는 비록 다르지만 무기질은 체내에서 적절한 ph를 유지하도록 조절한다. 여러 종류의 무기질 중에서 어떤 무기질은 신체를 산성 쪽으로, 또 어떤 무기질은 염기 쪽으로 이루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무기질은 수용성이므로 물속에서 이온을 형성한다. 양이온(+ ion)을 형성하는 무기질은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으로 염기도를 증진시키며, 음이온(- ion) 형성 무기질은 염소, 황, 인 등으로 산성을 띤다. 산을 형성하는 무기질은 곡류, 곡류제품, 육류, 닭고기, 계란, 생선에 비교적 풍부하며, 이와 대조적으로 체내에서 염기 반응을 하는 무기질은 과일과 야채에 풍부하다.
신체의 필수성분
무기질은 신체의 각 부분을 형성한다. 신체를 구성하는 많은 무기질 중에서 칼슘과 인은 뼈와 치아 같은 경조직(硬組織)을 구성하는데 중요하다. 뼈와 치아의 칼슘, 인, 불소 등의 농도는 경조직의 발달에 많은 영향을 준다. 아연, 구리, 망간 등은 연결조직의 형성에 필수적이다. 또한 신체 내에서 많은 중요한 기능을 하는 호르몬, 효소, 비타민 등은 무기질을 구성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시토크롬계는 철을 함유하는 효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것은 구리에 의해서 활성화된다. 탄산 탈수효소나 카르복시 말단분해효소는 아연을 함유하며, 크산틴 산화효소는 몰리브덴을 함유한다. 비타민 중에서도 무기질을 성분으로 하는 것이 있다. 티아민, 비오틴은 유황을, 비타민B12는 코발트를 함유한다. 철은 헤모글로빈의 성분으로서 혈중 헤모글로빈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염소는 위내 염산의 성분으로서 위에서 일어나는 소화 작용에 중요하다.
물의 균형 조절
혈관이나 세포에 들어있는 물이 한 곳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옮겨지려면 삼투현상에 의해서 반투과성 세포막을 통과해야 한다. 세포막을 투과하여 세포 내외로 이동하는 물의 방향과 양은 무기질의 농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무기질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체액의 축적 또는 탈수를 일으키기도 한다.
촉매작용
무기질은 신체 내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반응에서 촉매의 기능을 한다. 마그네슘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분해, 합성과정에 필요하며, 그 외 구리, 칼슘, 칼륨, 망간, 아연 등 많은 종류의 무기원소들은 체내의 이화작용(catabolism)및 동화작용(anabolism)에서 촉매로서 또는 효소의 구성성분으로 필요하다. 또한 몇몇 영양소의 흡수는 무기질에 의해서 더 증가되기도 한다. 분자가 대단히 큰 비타민 B12가 창자벽을 통과해 가는데 칼슘의 도움이 필요하며, 분자가 아주 작은 단당류가 흡수되는 데 나트륨과 마그네슘의 도움을 받는다.
◈종합결론 -
채소, 육류, 어류, 곡류 등 가릴 것 없이 먹고 충분한 수분섭취, 과일로 부족한 비타민을 채우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너무 한 쪽에 치우쳐서 먹는 습관은 지양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또 하루 삼시 세끼를 잘 챙겨먹는 것과 아침을 꼭 챙겨먹는 습관이 중요한 것 같다.
또한 중요한 것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정신이 건강해야 몸도 건강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나는 콩류를 골라먹는 나쁜 버릇이 있는데 콩류가 몸에 엄청 좋다고 들어서 콩을 먹어보도록 노력해야겠다. 먹는 습관이 어떻게 형성 되느냐에 따라 몸의 상태가 좌지우지 되는 것이니 뭐든 골고루 적당히 소식하는 습관이 제일 좋은 거 같다.
이번에 이 레포트를 하면서 새로 안 사실은 탄수화물 중독도 있다는 것이다. 탄수화물이 중독되면 당뇨병까지 발생할 수 있고, 성인병 등 다양한 병에 걸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나는 탄수화물은 많이 먹어도 인체에 별 지장은 없을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 여서 상당히 놀랬다. 이번 과제를 하면서 내 식습관을 돌아볼 수 있어서 좋았다.
[출처] 비타민 결핍증|작성자 quiltcat, 구글검색, 네이버 지식in
① 체내 분포
염소는 신체 내 총 무기질량의 3%이며 세포외액의 중요한 음이온이다. 정상적인 혈청에는 340~370mg/dl 가 들어 있으며, 뇌척수액에는 많아서 440mg/dl가 들어있다. 비교적 많은 양이 위장의 분비물 중에 있으며, 특히 위내의 염산의 구성 성분으로 존재한다.
② 기능
나트륨과 함께 세포외액에서 물의 균형과 삼투압의 조절을 도우며 pH를 일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③ 흡수 및 대사
염소는 작은 창자에서 거의 모두 흡수되며 배설은 주로 신장을 통해서 일어난다. 염소 역시 오랜 설사, 구토에 의해서 비교적 많은 양이 손실된다.
7.황(Sulfur, S)
① 체내 분포
황은 모든 세포 내에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세포단백질의 구성성분입니다. 황은 체내에서 설프히드릴기 (-SH)의 형태나 이 두 기가 결합해 이황화 결합(-S-S-)을 한 형태로 여러 물질을 구성하고 있다. 아미노산인 메티오닌과 시스테인, 헤파린, 인슐린, 티아민, 리포산, 비오틴, 조효소A의 성분이고 머리카락이나 피부를 이루는 케라틴 단백질의 성분이다.
② 기능
황은 조직의 호흡작용, 생물적 산화과정에 관여한다. 또한 설프히드릴기는 고에너지황 결합을 형성하고, 독성물질이 활성화된 황산염과 결합하여 독성이 없는 물질로 전환되어 소변으로 배설시키므로 황은 해독 작용에도 관여한다.
③급원
식사 내에서의 황의 부족 현상이 사람에게서는 나타나지 않고 있으므로 황의 필요량은 아직 설정되어 있지 않다. 황은 단백질 영양과 관계가 있으므로 여러 종류의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는 사람에게는 결핍증이 문제가 되지 않고, 주로 배아, 콩, 치즈, 살코기, 강남콩, 땅콩, 조개 등에 상당량이 있다.
미량무기질
미량무기질은 신체 내에 체중 kg당 50mg이하로 존재하며 식사 속에 하루 100mg이하의 매우 적은 양이 필요하다. 여러 종류의 미량무기질 주엥서 철, 요오드, 아연, 구리, 망간, 크롬, 셀레늄, 코발트, 몰리브덴 과 불소 등 10가지가 일반적으로 인체에 필수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무기질의 기능
산, 염기의 균형
무기질은 식품으로부터 흡수되어 신체 내에 분포한다. 조직이나 체액 속에 들어 있는 무기질은 많은 대사 반응에 필요한 산도 혹은 염기도를 정상으로 유지하도록 조절한다. 혈액, 조직, 세포들의 적절한 산도 혹은 염기도는 비록 다르지만 무기질은 체내에서 적절한 ph를 유지하도록 조절한다. 여러 종류의 무기질 중에서 어떤 무기질은 신체를 산성 쪽으로, 또 어떤 무기질은 염기 쪽으로 이루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무기질은 수용성이므로 물속에서 이온을 형성한다. 양이온(+ ion)을 형성하는 무기질은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으로 염기도를 증진시키며, 음이온(- ion) 형성 무기질은 염소, 황, 인 등으로 산성을 띤다. 산을 형성하는 무기질은 곡류, 곡류제품, 육류, 닭고기, 계란, 생선에 비교적 풍부하며, 이와 대조적으로 체내에서 염기 반응을 하는 무기질은 과일과 야채에 풍부하다.
신체의 필수성분
무기질은 신체의 각 부분을 형성한다. 신체를 구성하는 많은 무기질 중에서 칼슘과 인은 뼈와 치아 같은 경조직(硬組織)을 구성하는데 중요하다. 뼈와 치아의 칼슘, 인, 불소 등의 농도는 경조직의 발달에 많은 영향을 준다. 아연, 구리, 망간 등은 연결조직의 형성에 필수적이다. 또한 신체 내에서 많은 중요한 기능을 하는 호르몬, 효소, 비타민 등은 무기질을 구성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시토크롬계는 철을 함유하는 효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것은 구리에 의해서 활성화된다. 탄산 탈수효소나 카르복시 말단분해효소는 아연을 함유하며, 크산틴 산화효소는 몰리브덴을 함유한다. 비타민 중에서도 무기질을 성분으로 하는 것이 있다. 티아민, 비오틴은 유황을, 비타민B12는 코발트를 함유한다. 철은 헤모글로빈의 성분으로서 혈중 헤모글로빈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염소는 위내 염산의 성분으로서 위에서 일어나는 소화 작용에 중요하다.
물의 균형 조절
혈관이나 세포에 들어있는 물이 한 곳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옮겨지려면 삼투현상에 의해서 반투과성 세포막을 통과해야 한다. 세포막을 투과하여 세포 내외로 이동하는 물의 방향과 양은 무기질의 농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무기질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체액의 축적 또는 탈수를 일으키기도 한다.
촉매작용
무기질은 신체 내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반응에서 촉매의 기능을 한다. 마그네슘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분해, 합성과정에 필요하며, 그 외 구리, 칼슘, 칼륨, 망간, 아연 등 많은 종류의 무기원소들은 체내의 이화작용(catabolism)및 동화작용(anabolism)에서 촉매로서 또는 효소의 구성성분으로 필요하다. 또한 몇몇 영양소의 흡수는 무기질에 의해서 더 증가되기도 한다. 분자가 대단히 큰 비타민 B12가 창자벽을 통과해 가는데 칼슘의 도움이 필요하며, 분자가 아주 작은 단당류가 흡수되는 데 나트륨과 마그네슘의 도움을 받는다.
◈종합결론 -
채소, 육류, 어류, 곡류 등 가릴 것 없이 먹고 충분한 수분섭취, 과일로 부족한 비타민을 채우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너무 한 쪽에 치우쳐서 먹는 습관은 지양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또 하루 삼시 세끼를 잘 챙겨먹는 것과 아침을 꼭 챙겨먹는 습관이 중요한 것 같다.
또한 중요한 것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정신이 건강해야 몸도 건강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나는 콩류를 골라먹는 나쁜 버릇이 있는데 콩류가 몸에 엄청 좋다고 들어서 콩을 먹어보도록 노력해야겠다. 먹는 습관이 어떻게 형성 되느냐에 따라 몸의 상태가 좌지우지 되는 것이니 뭐든 골고루 적당히 소식하는 습관이 제일 좋은 거 같다.
이번에 이 레포트를 하면서 새로 안 사실은 탄수화물 중독도 있다는 것이다. 탄수화물이 중독되면 당뇨병까지 발생할 수 있고, 성인병 등 다양한 병에 걸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나는 탄수화물은 많이 먹어도 인체에 별 지장은 없을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 여서 상당히 놀랬다. 이번 과제를 하면서 내 식습관을 돌아볼 수 있어서 좋았다.
[출처] 비타민 결핍증|작성자 quiltcat, 구글검색, 네이버 지식i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