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Murray Bowen의 이론 개요
2.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의 초기 주요개념
3.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의 후기 주요개념
4.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의 치료기술
5.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의 치료자의 역할
6. Murray Bowen 이론의 특징
2.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의 초기 주요개념
3.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의 후기 주요개념
4.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의 치료기술
5.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의 치료자의 역할
6. Murray Bowen 이론의 특징
본문내용
자 관계를 규정하고 명확히 함
(Defining and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puses)
(2) 가족 정서 체계의 삼각 관계로 부터 분화
(Keeping Self Detriangled Form Emotional System)
(3) 정서 체계의 기능에 대한 교육
(Teaching The Fuction Of Emotional System)
(4) 자기 입장을 취하도록 함(Taking \"I-Position\"Stands) 송성자, 가족관계와 가족치료,홍익제,1992,pp 135-139에서 요약정리
6. Murray Bowen 이론의 특징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의 특징은 Murray Bowen이 심한 정신분열증 환자를 가진 가정이나 이보다 약한 심리적 장애를 가진 가정이나 그 가족의 역동성이 유사하다는 사실을 자신의 연구에서 발견된다. Murray Bowen은 이 발견을 통해 정신분열증과 신경증의 사이에서 질적 차이보다 양적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지적하였다. 그래서 그의 이론은 정신장애 가족이라는 개념에서 정서장애 가족이론이라는 관점으로 확대되어 인간의 모든 기능을 자아분화(Differentiation of Self)와 융합(Fusion),개성화(Individuation)와 동질화(Togetherness)라는 한 연속선상에서 놓고 보게 되었다.
(1)자아분화(自我分化)와 융합
分化(differentiation)는 Murray Bowen의 가족치료이론에서 치료의 목표인 동시에 성장의 목표이다.Murray Bowen에게 있어 자아분화란 어린이가 어머니와의 융합에서 서서히 벗어나서 자기자신의 정서적 자주성을 향해 나아가는 장기적 과정이라고 보았다. 즉 그는 인간은 태어날 때 개인의 자아가 가족에게 융합되어 있으며, 자녀와 어머니와의 공생관계도 어린이가 어머니에게 분화되지 못한 정서적 일체감(Emotional Oneness)을 이룬 상태를 말한다고 했다.어머니 뿐만 아니라 전체 가족구성원들과의 정서적 일체감을 가지는데 이것을 Murray Bowen은 가족의 자아(Family Ego Mass)라고 불렀다.Murray Bowen에게 있어 정서적 일체감이란 자아기능을 의미하며,가족구성원 각자가 가족 자아에서 분화되지 못하고 융합되어 있으며,진아(眞我)보다 假我(Sudo-self)들로 혼합된다고 보았다.Murray Bowen에게 있어 眞我는 외부나 타인의 영향에 쉽게 변화되지 않는 생활원리와 신념으로 구축된 일관된 자아로 보았고 가아(Sudo-self)는 외부의 압력이나 타의 영향에 쉽게 굴복,변화하는 비일관된 가치나 신념으로,미분화된 가족자아에 융합(Fusion)이 심한 가정일수록,정서적 일체감과 정서적 평형관계유지에 맞물려 개인자아의 자주성과 개체성이 상실된채 객관성, 지적추리,독립적 목표지향을 죄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고 보았다. 이들은 자신이 속한 기존의 가족관계와 다른 관계유형을 제대로 구축해 가지못하고, 불안이나 볼화를 경험할때 정서적 반응의 지배를 받는다. 가족관계에서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인간관계에서도 나타나며, 심하게 융합된 가정에서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정서의 지배를 받고, 충동적 행동화(Acting Out)가 일어나며, 개인의 별화를 시도하는 능력을 잃게 된다고 본다. 여기서 Bowen은 비분화된 가족자아에서 자신을 분리, 독립시켜 정체감을 형성함으로써 자기 충동적 정서적 사고와 행동에서 벗어나는 것이 자신이 시도하는 가족치료의 이론의 바탕이며 목적이라고 말했다.
Murray Bowen이 의미하는 자아분화를 Jung이 의미하는 개성화(Individulization) 또는 Maslow의 자아실현 ( Self-actualiation)과 유사한 개념으로 볼수도 있다. Jung역시 집단정신과 개인 삼ㄹ의 목표 구별과 무의식의 암시적인 햄에서의 자아의 자유화 즉 의식화를 개성화로 보았다. Murray Bowend과 Jung의 개성화의 차이점은 Murray Bowen은 개인의 정신내적 측면보다 대인관계적 측면을 더 중요시 했다. 즉 미분화된 가족자아에서 가족 각자가 분리, 진아(眞我)를 발달시켜 객관성과 독립성을 성취하는 것이며, 이는 또한 개인의 지적인 체계와 정서적 체계가 분화되어 개체로써 정체감을 가지고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능 발달을 강조한 점이다.
그래서 자아분화정도가 어느 정도 성취된 개인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융합(Fusion)이 아닌 친밀을 형성을 능력을 가지고, 개체의 독립을 유지하며 타인의 인정이나 영향을 받지만, 이들때문에 자신의 일관된 개인의 기능을 자아분화라는 한 연속선상에 놓고 평가하고자 했다.
(2) 개성화의 동질화
두번째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의 특징은 인간안에 공중하는 상충된 욕구 즉 독리된 존재로 개성화 (Indidividuation)하고자하는 욕구와 동싱에 곤게속에 인정과 소속감을 성취하고자 하는 동질화(togetherness) 의 욕구간에 세력의 평형을 중요시 한데 있다. 이 두경향은 한 개인안에서 부단히 변화하며, 개인의 관계속에 지나치게 동질화되어 자아상실 위기에 놓이면 개체성을 회복하려고 하며, 지나치게 개체로 고립될 때는 정서적 친밀과 인정을 구하기 위해 타인과의 동질화를 꾀하게 된다. 이러ㅗ한 경향은 그 자체가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이라고 볼 수 없는 자연적인 경향으로 개인은 그 자체가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이라고 볼 수 없는 자연적인 경향으로 개인이 속한 체계가 심한 불안이나 외부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때때로 개성화나 동질화간의 세력 균형이 깨어지고 그 대체기제로써 증상유발이 된다고 본다. 또한 Murray Bowen은 인간의 정신 안에서도 지적 체제와 정서적 체제라는 세력균형이 있다고 본다. 지적체게와 정서적 체제의 기능이 분리되어 기능할때라야, 감정과 사고 기능의 분리가 가능하여,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사고와 판단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 두체계사이의 균형은 불안의 정돤 자아분화수준에 달려 있으며, 자아분화수준이 낮을수록 지적기능과 정서적 기능이 융합되어 개성화보다 동질화 경향이 강해지면서 균형이 깨어진다고 본다 즉 동질화의 경향대로 타인의 인정과 소속감을
(Defining and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puses)
(2) 가족 정서 체계의 삼각 관계로 부터 분화
(Keeping Self Detriangled Form Emotional System)
(3) 정서 체계의 기능에 대한 교육
(Teaching The Fuction Of Emotional System)
(4) 자기 입장을 취하도록 함(Taking \"I-Position\"Stands) 송성자, 가족관계와 가족치료,홍익제,1992,pp 135-139에서 요약정리
6. Murray Bowen 이론의 특징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의 특징은 Murray Bowen이 심한 정신분열증 환자를 가진 가정이나 이보다 약한 심리적 장애를 가진 가정이나 그 가족의 역동성이 유사하다는 사실을 자신의 연구에서 발견된다. Murray Bowen은 이 발견을 통해 정신분열증과 신경증의 사이에서 질적 차이보다 양적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지적하였다. 그래서 그의 이론은 정신장애 가족이라는 개념에서 정서장애 가족이론이라는 관점으로 확대되어 인간의 모든 기능을 자아분화(Differentiation of Self)와 융합(Fusion),개성화(Individuation)와 동질화(Togetherness)라는 한 연속선상에서 놓고 보게 되었다.
(1)자아분화(自我分化)와 융합
分化(differentiation)는 Murray Bowen의 가족치료이론에서 치료의 목표인 동시에 성장의 목표이다.Murray Bowen에게 있어 자아분화란 어린이가 어머니와의 융합에서 서서히 벗어나서 자기자신의 정서적 자주성을 향해 나아가는 장기적 과정이라고 보았다. 즉 그는 인간은 태어날 때 개인의 자아가 가족에게 융합되어 있으며, 자녀와 어머니와의 공생관계도 어린이가 어머니에게 분화되지 못한 정서적 일체감(Emotional Oneness)을 이룬 상태를 말한다고 했다.어머니 뿐만 아니라 전체 가족구성원들과의 정서적 일체감을 가지는데 이것을 Murray Bowen은 가족의 자아(Family Ego Mass)라고 불렀다.Murray Bowen에게 있어 정서적 일체감이란 자아기능을 의미하며,가족구성원 각자가 가족 자아에서 분화되지 못하고 융합되어 있으며,진아(眞我)보다 假我(Sudo-self)들로 혼합된다고 보았다.Murray Bowen에게 있어 眞我는 외부나 타인의 영향에 쉽게 변화되지 않는 생활원리와 신념으로 구축된 일관된 자아로 보았고 가아(Sudo-self)는 외부의 압력이나 타의 영향에 쉽게 굴복,변화하는 비일관된 가치나 신념으로,미분화된 가족자아에 융합(Fusion)이 심한 가정일수록,정서적 일체감과 정서적 평형관계유지에 맞물려 개인자아의 자주성과 개체성이 상실된채 객관성, 지적추리,독립적 목표지향을 죄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고 보았다. 이들은 자신이 속한 기존의 가족관계와 다른 관계유형을 제대로 구축해 가지못하고, 불안이나 볼화를 경험할때 정서적 반응의 지배를 받는다. 가족관계에서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인간관계에서도 나타나며, 심하게 융합된 가정에서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정서의 지배를 받고, 충동적 행동화(Acting Out)가 일어나며, 개인의 별화를 시도하는 능력을 잃게 된다고 본다. 여기서 Bowen은 비분화된 가족자아에서 자신을 분리, 독립시켜 정체감을 형성함으로써 자기 충동적 정서적 사고와 행동에서 벗어나는 것이 자신이 시도하는 가족치료의 이론의 바탕이며 목적이라고 말했다.
Murray Bowen이 의미하는 자아분화를 Jung이 의미하는 개성화(Individulization) 또는 Maslow의 자아실현 ( Self-actualiation)과 유사한 개념으로 볼수도 있다. Jung역시 집단정신과 개인 삼ㄹ의 목표 구별과 무의식의 암시적인 햄에서의 자아의 자유화 즉 의식화를 개성화로 보았다. Murray Bowend과 Jung의 개성화의 차이점은 Murray Bowen은 개인의 정신내적 측면보다 대인관계적 측면을 더 중요시 했다. 즉 미분화된 가족자아에서 가족 각자가 분리, 진아(眞我)를 발달시켜 객관성과 독립성을 성취하는 것이며, 이는 또한 개인의 지적인 체계와 정서적 체계가 분화되어 개체로써 정체감을 가지고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능 발달을 강조한 점이다.
그래서 자아분화정도가 어느 정도 성취된 개인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융합(Fusion)이 아닌 친밀을 형성을 능력을 가지고, 개체의 독립을 유지하며 타인의 인정이나 영향을 받지만, 이들때문에 자신의 일관된 개인의 기능을 자아분화라는 한 연속선상에 놓고 평가하고자 했다.
(2) 개성화의 동질화
두번째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의 특징은 인간안에 공중하는 상충된 욕구 즉 독리된 존재로 개성화 (Indidividuation)하고자하는 욕구와 동싱에 곤게속에 인정과 소속감을 성취하고자 하는 동질화(togetherness) 의 욕구간에 세력의 평형을 중요시 한데 있다. 이 두경향은 한 개인안에서 부단히 변화하며, 개인의 관계속에 지나치게 동질화되어 자아상실 위기에 놓이면 개체성을 회복하려고 하며, 지나치게 개체로 고립될 때는 정서적 친밀과 인정을 구하기 위해 타인과의 동질화를 꾀하게 된다. 이러ㅗ한 경향은 그 자체가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이라고 볼 수 없는 자연적인 경향으로 개인은 그 자체가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이라고 볼 수 없는 자연적인 경향으로 개인이 속한 체계가 심한 불안이나 외부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때때로 개성화나 동질화간의 세력 균형이 깨어지고 그 대체기제로써 증상유발이 된다고 본다. 또한 Murray Bowen은 인간의 정신 안에서도 지적 체제와 정서적 체제라는 세력균형이 있다고 본다. 지적체게와 정서적 체제의 기능이 분리되어 기능할때라야, 감정과 사고 기능의 분리가 가능하여,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사고와 판단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 두체계사이의 균형은 불안의 정돤 자아분화수준에 달려 있으며, 자아분화수준이 낮을수록 지적기능과 정서적 기능이 융합되어 개성화보다 동질화 경향이 강해지면서 균형이 깨어진다고 본다 즉 동질화의 경향대로 타인의 인정과 소속감을
추천자료
보웬의 세대간(다세대) 가족치료 이론 및 사례적용 보고서(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가족치료]가족치료모델(구조적 가족치료 모델, 보웬의 가족치료모델, 해결중심적 가족치료 ...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발달배경 및 개념, 치료과정과 방법 및 사례분석
Bowen의 다세대 중심 가족치료
Transgenerational Model (다세대적 모델 - 보웬 Bowen 가족치료를 중심으로)
보웬(Bowen), 미누친(Minuchin), 사티어(Satir)의 가족치료 이론을 분석하여 비교정리 하시고...
자신이나 주변의 가족이 지닌 문제와 가족역동에 대해 다세대 가족치료 이론의 개념을 활용하...
보웬의 다세대가족치료모델에서는 비슷한 수준의 배우자를 만난다고 하는데 이 주제에 대한 ...
[가족상담및치료] 가족치료의 이론 중 각 이론의 발달배경, 개념,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
추천자료[보웬(Murray Bowen)의 가족 체계이론] 보웬의 가족치료, 보웬의 가족 체계이론, 보...
[가족치료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론]가족 치료 모델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본인 가족의 가계도를 작성하고, 가족상담치료 이론 중 한 가지를 택하여 본인의 가족을 분석...
우리주변에 이혼율의 증가로 인해 재혼가정 아이들 양육의 어려움을 겪는 가정에서 우울증이...
가족치료모델의 초기모델과 후기모델(다세대모델, 경험적 모델, 구조적 모델, 전략적 모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