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OBGY질환 조사 (단순 갑상샘종,갑상샘 기능 항진증,갑상샘 기능 저하증/유방암/자궁근종,자궁폴립,자궁내막암,자궁육종/당뇨병/고혈압/항암제종류, 적응증, 부작용)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S,OBGY질환 조사 (단순 갑상샘종,갑상샘 기능 항진증,갑상샘 기능 저하증/유방암/자궁근종,자궁폴립,자궁내막암,자궁육종/당뇨병/고혈압/항암제종류, 적응증, 부작용)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ES
(1)갑상샘의증대
1)단순 갑상샘종
2)갑상샘염(Throiditis)
3)갑상샘 종양 (Thyroid tumors)
(2)갑상샘 기능 항진증 (Hyperthyroidism)
(3)갑상샘 기능 저하증 (Hypothyroidism)
(4)부갑상샘 기능항진증
(5)부갑상샘 기능저하증
(6)갑상선암 (thyroid cancer)
(7)유방암(breast cancer)

2.OBGY
(1)자궁양성종양
1)자궁근종(uterine myoma)
2)자궁폴립
가.자궁내막폴립(endometrial polyp)
나.자궁경부폴립(cervical polyp)
(2)자궁의 악성종양
1)침윤성 자궁경부암(invasive cervical cancer)
2)자궁내막암(endometrial)
3)자궁육종(uterine sarcoma)

3.당뇨병(diabetes mellitus)

4.고혈압(hypertension)

5.항암제종류, 적응증, 부작용
(1) 알킬화제제(Alkylating agent)
(2) 항대사제 ( Antimetabolic Agent)
(3) 항암 항생제 (Antibiotics)
(4) 알칼로이드 (Vinka Alkaloids)
(5) 기타제제

본문내용

us thyroiditis)
상기도 감염후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며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염증성 질환으로 알려져있다. 증상은 열이 있고 갑상샘 위의 목에 통증이 오며 이 통증은 때로는 턱과 귀로 방사한다. 치료는 병의 중증 정도에 따라 다르게 되는데 경한 환자는 보통 적당한 안정과 수분을 투여하고 통증 완화를 위해 salictylic acid를 사용하면 치료된다. 심한경우에는 corticosteroid를 투여하여 염증을 감소시키고 샘의 압통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prophylthiouracil을 투여한다.
-만성 갑상샘염(chronic thyroiditis)은 장기간의 염증장애로서 갑상샘염 중에서 가장 흔한 형태이다. 자가면역의 기초가 있다고 믿어지며 유전성 소인도 하나의 원인이 될수 있다. 증상은 샘이 통증없이 증식되며 샘의 증식으로 주위조직에 압박을 주어 호흡장애나 연하곤란이 온다. 갑상샘을 조직 검사하면 특징적인 조직 변화가 나타나며, 혈청검사에서 갑상샘 자가 항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진단할 수이 있다.
만성 갑상샘염의 과정은 변화가 많은 데 수소의 경우에는 저절로 완화되기도 한다.
치료는 갑상샘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기능저하증을 예방하는 방향으로 한다. 갑상샘호르몬제는 샘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기능저하증을 예벙하기 위하여 투여하며 corticosteroid는 갑상샘 염증과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단기간 동안 유용하다.
3)갑상샘 종양 (Thyroid tumors)
-양성샘종(benign adenoma)
다른 양성종양과 마찬가지로 국소화되어 있어서 다른조직에 퍼져나가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통 위험하지는 않다.
-악성종양(malignant tumor)
감상샘암은 암사망의 약 0.2%를 차지하며 주로 40-60세의 사람에게서 나타나고, 남자보다 여자에서 2.5배정도 많은 경향을 보인다. 또한 머리와 목에 과량의 방사선 조사를 받은 사람에게 흔하고 또한 양성이 악성으로 변화되는 경우는 뇌하수체 호르몬인 tsh가 갑상새을 장기간 자극하기 때문에 오는 것으로 보고 있다.
증상은 증식도가 감상샘에 통증은 없으나 딱딱한 결절이 생기며 이결절은 급히 거지고 방사성 요오드를 흡수하지 않는다.
(2)갑상샘 기능 항진증 (Hyperthyroidism)
①원인
가장 주요한 원인은 그레이브스씨 병이다. 이 외에도 뇌하수체 선종이 있는 경우 이 종양에서 갑상선 자극 호르몬이 과다분비되어 생길 수 있으며, 인융모성선 자극 호르몬(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을 분비하는 종양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②증상
식욕이 왕성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체중이 감소할 수 있다. 더위를 참지 못하고 맥박이 빨라지며(빈맥), 두근거림, 손 떨림이 나타나거나 대변 횟수가 증가할 수 있다. 피로감, 불안감 및 초초함이 나타날 수 있고, 가슴이 아프다고 느끼거나 숨이 차다고 느낄 수 있다. 근력 약화로 인한 근육 마비가 올 수 있다. 눈이 튀어나오거나 안구 건조증 및 각막염, 복시(사물이 겹쳐 보임)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를 그레이브스 안병증(Graves\' ophthalmopathy)이라고 한다.
③진단
채혈 검사를 통해 혈액 내 갑상선 호르몬 농도를 측정하여 진단할 수 있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의 경우 갑상선 호르몬(T4 또는 T3)의 혈액 내 농도가 정상치보다 높게 나타난다.
④치료
갑상선 호르몬의 생산을 억제하는 치료를 하게 된다. 흔히 항갑상선제를 사용한 약물치료를 시행하는데, 항갑상선제 복용을 중단할 경우 재발률이 높은 것이 단점이다. 항갑상선제는 대부분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약물이지만 드물게 무과립구증, 혈관염 및 간기능 장애를 동반할 수 있다. 약물 치료 외에 갑상선을 절제하는 수술 요법이나 동위원소(방사성요오드 치료)를 이용하여 갑상선을 파괴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가 사용된다. 그러나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의 경우 향후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임신이나 수유 시에는 절대로 받을 수 없다.
그레이브스 안병증은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특별한 치료가 필요없으며, 증상 완화를 위해 대증요법이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부에서 면역 억제요법이나 수술 치료가 시행되기도 한다.
(3)갑상샘 기능 저하증 (Hypothyroidism)
①원인
갑상선 호르몬이 체내에 부족하게 되는 원인은 갑상선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 갑상선 호르몬 생산이 줄어드는 경우와 갑상선에서 호르몬을 만들도록 하는 신호에 문제가 생겨서 갑상선 호르몬 생산이 줄어드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가장 흔한 원인은 하시모토 갑상선염(자가면역성 갑상선염)에 의해 갑상선 자체에서 갑상선 호르몬의 생산이 줄어드는 경우이다.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이 있는 경우도 갑상선 자극 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이 분비되지 않아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발생할 수 있다. 갑상선을 제거한 경우 역시 갑상선 호르몬이 생성되지 못하므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올 수 있다.
②증상
주로 모호한 증상을 가지는데, 만성 피로, 식욕 부진, 체중 증가, 추위를 타는 것, 변비 등이 있을 수 있다. 그 외에도 피부가 건조해지고, 여자의 경우 생리 주기의 변화가 생기며, 월경 과다가 동반되기도 한다. 혈중 프로락틴(prolactin, 젖분비 호르몬) 수치를 증가시켜 유즙 분비가 생길 수 있다. 갑상선 호르몬이 심하게 부족한 경우 혼수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③진단
채혈 검사를 통해 혈액 내 갑상선 호르몬 농도를 측정하여 진단할 수 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경우 갑상선 호르몬(T4 또는 T3)의 농도가 정상보다 낮게 측정된다
④치료
갑상선 호르몬 제제를 복용함으로써 갑상선 기능을 정상으로 만들 수 있다.
(4)부갑상샘 기능항진증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은 한 개 이상의 부갑상샘의 과다 활동으로 온다 이는 보통 60세 이상에서 많이 발생하나 신장질환의 경우는 연령과 관련이 없으며 여성에게 2배가 많다.
-원발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2차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3차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①증상과 징후
아주 경한 상태에서부터 상당히 중한 상태까지 다양하다. 경한사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2.04.30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3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