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 실습- 실습일지(5일분)+실습소감문 포함 A+ = 의학진단명 약어,Medication,임신,분만,산후관련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성간호 실습- 실습일지(5일분)+실습소감문 포함 A+ = 의학진단명 약어,Medication,임신,분만,산후관련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습일지

-실습경험

본문내용

실습일지 : 2010년 07월 05일 월요일
실습장소 및 병동 :
Duty : Evening
의학진단명 약어 포함하여 학습
GDM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 임신성 당뇨병
①정의 : 임신 중에 정도에 관련없이 처음 발생하거나 인식된 당 불내성으로 임신 전에 인슐린 치료를 받은 적이 없고 임신 후 당뇨병을 발견하게 된 것.
②진단
임신 2기 중반에 이루어지는데 태아의 영양요구가 임신 2기 후반과 3기에 증가하기 때문에 모성의 영양섭취로 혈당치가 상승. 동시에 임부의 인슐린 내성은 태반 호르몬과 insulinase, 코르티솔에 의해 증가. 결과적으로 임부의 인슐린 요구는 3배 정도 증가한다. 대부분 임부는 인슐린 저항에 대처하고 정상 혈당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insulin을 충분히 생산할 수 있으로 췌장이 보상기전으로서 충분한 insulin을 생산하기 못하거나 insulin이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면 발생함.
Hyperemesis gravidarum : 임신오조증
장기간의 구토, 체중감소,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이 특징인 임신의 비정상적 상태.
모든 임신의 약 70%에서 나타나고 보통 임신 1기에 끝난다. 이러한 증상들은 심각한 대사성 변화나 모아에 대한 위험 없이 전형적인 증상으로 시작된다.
Abruptio placenta : 태반조기박리
①정의 :임신 20주 이후 태아 만출 전에 태반의 착상부위로부터 부분적 또는 완전히 박리되는 것
②증상 :
태반 부위의 출혈로 양막이 기저 탈락막에서 분리되어 출혈이 질 밖으로 흘러나오거나 태반 뒤에 축적되어 보이지 않을 수도 있으며 두 가지가 복합되는 경우도 있음
질출혈, 복부동통, 자궁압통 및 수축이 나타남
출혈은 저혈량 쇼크와 응고장애를 일으키기도 함
경증에서 중증의 자궁 고 긴장성
동통은 경증에서 중증, 갑작스럽고 심하며 날카로운 양상
태반 뒤에 혈액이 축적되어 동통이 생기며 자궁이 팽창됨
과다한 자궁 근육 출혈은 자궁근육을 손상시킴
분리된 태반과 자궁벽 사이에 혈액이 고이면 자궁근층내로 혈액이 스며들어 자궁의 색이 푸른색으로 변하는 couvelaire uterus를 유발시켜 자궁이 판자처럼 단단하게 강직되어 수축력이 상실됨
자궁벽이 단단하여 태아촉지가 어려움
③ 관리 :
· 입원, 침상안정, 지속적인 태아감시
· 출혈성 쇼크를 치료
· 중증의 박리와 태아질식은 제왕절개술에 의한 즉각적인 분만이 요구
· 산모의 상태가 양호하고 태아질식이 없는 경우에는 질분만을 고려할 수 있다.
· 미숙아와 신생아 합병증
때문에 소아전문팀이 필요
④ 합병증
: 산모의 쇼크, 산재성 혈관내 응고증(DIC), 양수색전증, 분만 후 출혈, 미숙아,
산모·태아사망
Ectopic pregancy : 자궁외임신
① 정의
수정란이 정상 자궁내막 이외(난관, 난소, 복강 등)에 착상된 임신을 말함
- 수정란의 착상부위에 따라 난관임신, 자궁경관 임신, 난소임신, 복강임신, 인대내임신,
흔적자궁각임신, 및 질임신 등으로 대별된다.
- 자궁외임신의 약 95%는 난관임신(Tubal preg.)으로서 가장 많은 발생빈도를 보여
난관임신이 자궁외임신의 통칭으로 쓰임
Preeclampsia : 자간전증
①정의 : 임신 이전 정상 혈압을 가진 여성이 20주 이후에 고혈압이 발생하는 임신으로 인한 특수한 상황. 혈액농축, 고혈압, 단백뇨가 특징인 혈관경련성 질병. 일반적으로 자간전증은 관리의 관점에서 경증이나 중증으로 분류된다.
②분류
· 혈 압
-경증 자간전증: 4~6시간 간격으로 140/90mmHg이상 2회 측정
-중증 자간전증: 휴식시 4~6시 간격으로 160/110mmHg이상 상승
· 평균동맥압(MAP)
-경증 자간전증 : 105mmHg이상
-중증 자간전증 : 105mmHg이상 상승
· 체중증가
-경증&중증 자간전증 : 임신 제 2,3기 동안 0.5kg/주 이상 또는 임신 어느 시기에 2kg/주의 갑작스러운 체중 증가
· 단백뇨
-질적 dipstick : 1+~2+(경증) / 4+이상 (중증)
-양적 24시간 분석 :0.3g/L/24hr 또는 낮 동안 무작위 검사물에서 6시간 간격으로 2회이상 0.1/L 이상(경증)/ 5g/L/24hr (중증)
· 부종
-경증 자간전증: 의존성 부종, 눈, 얼굴 손가락에 약간의 부종, 폐부종 없음
-중증 자간전증: 부종, 폐부종 가능성 있음
Eclampsia : 자간증
다른 원인 없이 자간전증 대상자에서 경련 또는 혼수가 발생하는 것.
PIH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 임신성고혈압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기간 중에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고 단백뇨를 동반하지 않는 경우로, 분만 후 12주 이내에 정상 혈압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분만 후에 진단이 가능하다.
H-mole(Hydatidiforem mole) :포상기태
①정의: 핵이 없거나 비활성 핵이 존재하는 수정란으로부터 발생한 임신성 영양막성 신생물.
②종류
- 완전기태 : 핵이 없거나 불활성화된 난자의 수정으로 발생. 기태는 백포도송이와 같고 액이 가득 차 있는 수포는 성장이 빠르며 자궁은 임신기간보다 더 크다. 완전 기태시 태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2.04.30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33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