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도국어 임용 문학 기출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10년도국어 임용 문학 기출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주의 전통적 서정성과 청록파의 자연 계승
시적 인식 중시
후반기 동인(박인환, 김규동, 김경린 등)
김현승 : 절대적 신앙에 근거하여 관념적인 자기 추구에 집착
구상, 김춘수 : 존재의 의미와 언어의 가능성
언어파
후기 모더니즘 운동
시어의 효과 중시
장시화 경향
박재삼<춘향이 마음> 등
현실파
사회적 상황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풍자적 접근이 시를 통해 가능함을 구체적으로 보여줌
박봉우, 김광림 등
●박봉우
개관
전후 시단에서 자신의 현실적인 위치와 상황적 의미에 집중적인 관심을 보인 대표적인 시인
휴전이라는 잠정적인 상태로 종결된 전쟁의 후유증을 심각하게 고민, 그 불확정성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 드러냄
특성
어조의 진지성
→당대 현실에 대한 냉소적 언어나 풍자적 표현 나타나지 않음
→진지하게 현실을 직시하고자 했으며 상황의 인식에 보다 냉정하고자 함
상징적인 이미지들의 배열
산문적인 진술을 통해 얻어내는 활달한 리듬
2011-36
36. (나)에 대한 감상 과정을 서술한 내용 중, 작품의 특징에 부합하는 내용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보 기>
ㄱ. 제목으로부터 이 시가 분단이나 한국 전쟁을 다룬 시일 것으로 예측하고, 역사적 사건을 얼마나 현실감 있게 묘사했는지를 평가하며 읽었다.
ㄴ. 첫 연과 마지막 연의 반복에 주목하여, 해당 부분의 중심 시어인 ‘화산’과 ‘꽃’의 의미를 해석하는 데 초점을 두어 읽었다.
ㄷ. ‘믿음이 없는 얼굴과 얼굴’, ‘서로 응시하는 쌀쌀한 풍경’에 드러난 불신과 증오에서 작가의 문제의식을 읽어 내고, 이와 관련하여 작품이 어떤 메시지를 담고 있는지를 생각하며 읽었다.
ㄹ. ‘고구려’와 ‘신라’의 비유에서 분단 상황을 역사적 맥락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찾고, 그로부터 ‘꼭 한 번은’, ‘언제 한 번은’에 함축된 미래 지향적 신념을 떠올리며 읽었다.
ㅁ. ‘화산, 꽃, 별, 하늘, 나무, 독사, 바람’ 같은 소재들을 수직적 이미지와 수평적 이미지로 분류하고, 승화와 확산이라는 관점에서 각 계열의 의미를 구성하며 읽었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ㅁ ⑤ ㄹ, ㅁ
출제의도
작품 분석 능력
사고구술

㉠제목으로부터 한국 전쟁을 다룬 시임을 예측하는 것은 맞지만, 역사적 사건을 현실감있게 묘사했는지가 틀림. 시는 역사적 현실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시인의 관점에 따라 재해석하는 것이므로.
㉡첫 연과 마지막 연이 반복하는 데에는 강조하는 의미가 있음. ‘화산, 꽃’이 주요 시어니까 의미 파악중요
㉢어조나 어휘에 작가의 정서나 의식이 드러남. ‘믿음이 없는, 쌀쌀한’과 같은 데에서 찾을 수 있음. 작가는 남북한이 한 민족임에도 불신과 증오하는 상황을 안타깝게 생각하고 화해하고자 함
㉣고구려, 신라의 이야기는 한민족임을 상징하는 것이지 분단됐다가 다시 통일되고 이런 상황을 말하는 것이 아님.
㉤이러한 시어들은 수직적, 수평적 이미지로 쓰인 것이 아님. 그렇기 때문에 승화와 확산으로 읽어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음
정답해설

㉠‘휴전선’이라는 제목을 통하여 남북 분단의 현실 상황을 제시하면서 역사 현실 인식을 강조한 것이지 역사적 사건을 현실감 있게 묘사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수미상관구조는 반복을 통한 의미강조와 안정감을 형성한다. 여기서 ‘꽃’은 실제의 꽃이라기보다는 전쟁은 일시 멈추었지만 더욱 깊어진 증오심으로 대치해 있는 분단의 모습을 상징하고, ‘요런자세’라는 구절에서는 일시적으로 포성이 멈추기는 했지만 평화가 찾아온 것이 아닌 분단상황을 비아냥거리는 화자의 심리가 내재해 있다.
㉣만주를 호령했던 ‘고구려 정신’이나 삼국을 통일한 ‘신라’가 더 이상 존재할 수 없는 오늘날의 민족 상황을 비판한 것. ‘꼭 한 번’, ‘언제 한 번’은 한국 전쟁과 같은 미래의 전제에 대한 불안감을 말하는 것이지 미래지향적 신념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지상과 천상의 대립된 이미지로 지상의 분단 상황에 대한 증오와 불신, 불안감을 하나의 통일된 조국을 의미하는 천상적 이미지(별, 하늘)을 통하여 화해와 공존의 세계인 통일을 염원하고 있다.
의문사항
관련내용
2011-37
[37-38]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화개장터’의 냇물은 길과 함께 세 갈래로 나 있었다. 한 줄기는 전라도 땅 구례(求禮) 쪽에서 오고 한 줄기는 경상도 쪽 화개골[花開峽]에서 흘러내려, 여기서 합쳐서, 푸른 산과 검은 고목 그림자를 거꾸로 비추인 채, 호수같이 조용히 돌아, 경상 전라 양도의 경계를 그어 주며, 다시 남으로 남으로 흘러내리는 것이, 섬진강(蟾津江) 본류였다.
(중략)
그러나 서른여섯 해 전에 꼭 하룻밤 놀다 갔다는 젊은 남사당의 진양조 가락에 반하여 옥화를 배게 된 할머니나, 구름같이 떠돌아다니는 중과 인연을 맺어 성기를 가지게 된 옥화나 다같이 ‘화개장터’ 주막에 태어났던 그녀들로서는 별로 누구를 원망할 턱도 없는 어미 딸이었다. 성기에게 역마살이 든 것은 어머니가 중 서방을 정한 탓이요, 어머니가 중 서방을 정한 것은 할머니가 남사당에게 반했던 때문이라면 성기의 역마운도 결국은 할머니가 장본이라, 이에 할머니는 성기에게 중을 시켜서 살을 때우려고도 서둘러 보았던 것이고, 중질에서 못다 푼 살을, 이번에는 옥화가 그에게 책장사라도 시켜서 풀어 보려는 속셈인 것이었다. 성기로서도 불경(佛經)보다는 암만해도 이야기책에 끌리는 눈치요, 중질보다는 차라리 장사라도 해 보고 싶다는 소청이기도 하여, 그러나 옥화는 꼭 화개장만 보이기로 다짐까지 받은 뒤, 그에게 책전을 내어 주기로 했던 것이었다.
(중략)
[A 그해 아직 봄이 오기 전, 보는 사람마다 성기의 회춘을 거의 다 단념하곤 하였을 때, 옥화는 이왕 죽고 말 것이라면, 어미의 맘속이나 알고 가라고, 그래 그 체 장수 영감은, 서른여섯 해 전 남사당을 꾸며 와 이 ‘화개장터’에 하룻밤을 놀고 갔다는 자기의 아버지임에 틀림이 없었다는 것과, 계연은 그 왼쪽 귓바퀴 위의 사마귀로 보아 자기의 동생임이 분명하더라는 것을, 통정하노라면서, 자기의 왼쪽 귓바퀴 위의 같은 검정 사마귀까지를 그에게 보여 주었다.]
“나도 처음부터 영감이 ‘서른여섯 해 전’이라고 했을 때 가슴이 섬
  • 가격3,3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2.05.01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36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