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PR의의
- PR개념
- PR의 유사용어
Ⅱ. 본론
- PR부문의 주요활동
- 퍼블리시티
- PR의 과정
- 마케팅 PR의 주요 수단
- 호텔 · 관광산업의 PR의 기회
- 판매촉진
Ⅲ. 결론
- 생각
- PR의의
- PR개념
- PR의 유사용어
Ⅱ. 본론
- PR부문의 주요활동
- 퍼블리시티
- PR의 과정
- 마케팅 PR의 주요 수단
- 호텔 · 관광산업의 PR의 기회
- 판매촉진
Ⅲ. 결론
- 생각
본문내용
못한 업체도 있는 등 로비의 결과는 극단적이라고 비즈니스위크는 덧붙였다.
로비의 성적을 가장 크게 좌우하는 것은 \'로비스트의 수준\'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사이언티픽리서치사가 고용한 단 한 명의 로비스트는 상원군사위원회 회장이었던 샘 넌 전 민주당 상원의원의 스태프 출신.군사자금 담당자들과 긴밀한 인맥을 갖고 있어 의회에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비즈니스위크는 로비스트의 활동 영역이 세금과 규제 정책 등으로 갈수록 넓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로비스트를 고용한 회사는 1998년 1447개에서 2006년 4516개로 늘어났다.
1989년 설립된 로비업체 PMA는 록히드마틴,제너럴다이내믹스,보잉 등 최소 15개 방산업체의 로비를 맡고 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7091184511
미국 K스트리트 투자수익률은 2만2000%
[한경닷컴]‘K스트리트에서 1달러를 투자해 220달러를 벌었다.’
미국 기업들이 2004년 워싱턴 로비의 거리인 K스트리트를 통해 의회를 대상으로 로비활동을 벌인 결과 이같은 수익을 냈다고 워싱턴포스트와 블룸버그통신이 12일 보도했다.‘아메리칸 고용창출법’ 제정을 위해 기업들이 로비 비용을 지출한 대가로 법 제정 후 평균 2만2000%의 절세효과를 얻었다는 캔자스대의 연구 결과를 인용한 것이다.
당시 미 기업들은 로비를 벌여 본국으로 송금하는 해외 이익에 매기는 35%의 세율을 5.25%로 1회에 한해 대폭 낮추도록 하는 내용을 ‘아메리칸 고용창출법안’에 반영시켰다.의회는 대신 기업들이 송금한 수익을 미국내 고용창출 활동에 투자하도록 조건을 달았다.법안이 통과되자 화이자 휴렛패커드 존슨앤드존슨 IBM 엘리릴리 씨티그룹 JP모건체이스 메릴린치 등 800여개 미 기업들은 대거 본국 송금에 나섰다.
업종별 송금액은 제조업체가 2387억달러,제약업체 1201억달러,금융 및 부동산업체 172억달러,운송·도매 및 소매업체 141억달러,농업·광산·건설업체 40억달러,기타 238억달러 등이었다.제약업체인 화이자의 경우 2004년 한해 매출액의 70% 해당하는 370억달러를 본국으로 보냈다.동종업체인 엘리릴리는 이 법안 통과에 850만달러를 로비자금으로 투입,20억달러를 절세했다.퍼블릭 시티즌의 크레이그 홀만 대정부 로비스트는 “기업들이 해마다 로비활동에 많은 돈을 쏟아붓는 것은 이처럼 높은 투자수익률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아쉬운 것은 기업들이 이 법의 취지대로 송금한 수익을 고용창출 활동에 투자한 게 아니라 주가관리를 위한 자사주 매입,배당금 지급 등에 대부분 사용했다고 미 의회조사국은 분석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041313181
5. 카운슬링
카운슬링은 공익문제와 회사의 위치설정 이미지에 대하여 경영자에게 조언을 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월마트와 듀폰은 자체 기업 내 전사리스크관리위원회를 두어 기업 내 리스크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다양한 리스크 관련 워크샵과 세미나를 통해 기업 구성원들에게 교육을 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 퍼블리시티(PPL)
영화와 상품, 공동 마케팅(PPL : 한국)
영화 \'고질라\'에서 침몰한 배의 잔해에서 한국 브랜드인 \'동원 참치\' 상품이 보였다. 이것은 일본어와 한국어를 구별할 줄 모르는 헐리우드 제작진들의 실수로 동원 산업은 돈 한 푼 들이지 않고 세계적으로 상품 홍보를 하게 된 것이다. 이것을 안 동원에서는 서둘러 영화 \'고질라\'를 상품 광고에 이용하여 높은 효과를 거뒀다.
이처럼 영화사가 영화 장면에 특정 제품 모습을 내보이고 협찬사는 영화 장면 속에 나오는 자사 브랜드의 홍보 효과를 노리는 전형적인 광고기법인 \'PPL(Product Placement)\'은 이제 우리에게도 친숙해진 개념이다.
이러한 마케팅 전략으로 광고 효과를 본 곳이 바로 \'현대정유.\' 영화 (주유소 습격사건)의 배경이 된 현대는 한달만에 10억원에 이르는 광고 효과를 얻었다. 영화 내용 중 회사 상표가 직접 노출된 장면은 40여분으로 이 영화의 관객수를 고려해보면, 이것은 TV황금 시간대에 15초 분량의 광고를 180회 이상 내보낸 것과 같은 효과이다.
빙그레는 영화(해가 서쪽에서 뜬다면)에 \'뉴면\'을 등장시켜 광고 효과를 봤고, 영화 (미술관 옆 동물원)에서 여주인공 심은하의 화장대에 한국화장품 \'칼리 밀크 플러스\'를 진열하는 방법으로 상품 광고를 했다.
영화 (쉬리)는 국내의 PPL기법을 본격화시킨 대표적인 영화라 할 수 있다. 동서식품의 \'맥심\', \'콘푸라이트 씨리얼\', \'포카리스웨트\', \'베니건스\'를 비롯, \'삼성전자\', \'유니텔\', \'스피드 011\', \'모토롤라\'. \'LG칼텍스정유\', \'아시아나 항공\', \'테크노마트\' 등 무려 30개사의 협찬을 받았다. 특히 포카리스웨트는 한석규가 총격전을 벌이는 장면, 경기장 주변의 파라솔 등으로 영화 곳곳에 상품명을 비추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방법이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영화의 흥행정도에 따라 광고의 효과도 차이가 난다. 오히려 영화의 평이 좋지 않으면 역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오뚜기가 야심작으로 내놓았던 \'북경반점\'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신제품 짜장라면의 이름을 \'북경반점\'으로 결정, 영화 (북경반점)개봉 시기에 맞추어 각종 홍보 활동을 폈지만, 영화가 1주일만에 상영을 그만두어 효과를 거두지 못햇다.
영화와 상품, 공동 마케팅(PPL : 외국)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영화 (개미)의 주이공 개미가 유토피아를 찾으로 가다 사람의 발을 피해 다니는 자연에서는 \'리복\'이라는 상표가 크게 보인다. 게다가 주변에 굴러다니는 빈 깡통에는 \'펩시\'란 글자도 선명하게 보여준다. 영화 (007네버다이)에도 \'오매가 시계\', \'하이네켄 맥주\', \'BMW\' 같은 다국적 브랜드들이 영화의 주요 장면에 나타난다.
이전에도 외국 영화에는 이러한 기법으로 공동마케팅을 펴왔다. (터미테이터 2)에서는 주인공들이
로비의 성적을 가장 크게 좌우하는 것은 \'로비스트의 수준\'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사이언티픽리서치사가 고용한 단 한 명의 로비스트는 상원군사위원회 회장이었던 샘 넌 전 민주당 상원의원의 스태프 출신.군사자금 담당자들과 긴밀한 인맥을 갖고 있어 의회에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비즈니스위크는 로비스트의 활동 영역이 세금과 규제 정책 등으로 갈수록 넓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로비스트를 고용한 회사는 1998년 1447개에서 2006년 4516개로 늘어났다.
1989년 설립된 로비업체 PMA는 록히드마틴,제너럴다이내믹스,보잉 등 최소 15개 방산업체의 로비를 맡고 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7091184511
미국 K스트리트 투자수익률은 2만2000%
[한경닷컴]‘K스트리트에서 1달러를 투자해 220달러를 벌었다.’
미국 기업들이 2004년 워싱턴 로비의 거리인 K스트리트를 통해 의회를 대상으로 로비활동을 벌인 결과 이같은 수익을 냈다고 워싱턴포스트와 블룸버그통신이 12일 보도했다.‘아메리칸 고용창출법’ 제정을 위해 기업들이 로비 비용을 지출한 대가로 법 제정 후 평균 2만2000%의 절세효과를 얻었다는 캔자스대의 연구 결과를 인용한 것이다.
당시 미 기업들은 로비를 벌여 본국으로 송금하는 해외 이익에 매기는 35%의 세율을 5.25%로 1회에 한해 대폭 낮추도록 하는 내용을 ‘아메리칸 고용창출법안’에 반영시켰다.의회는 대신 기업들이 송금한 수익을 미국내 고용창출 활동에 투자하도록 조건을 달았다.법안이 통과되자 화이자 휴렛패커드 존슨앤드존슨 IBM 엘리릴리 씨티그룹 JP모건체이스 메릴린치 등 800여개 미 기업들은 대거 본국 송금에 나섰다.
업종별 송금액은 제조업체가 2387억달러,제약업체 1201억달러,금융 및 부동산업체 172억달러,운송·도매 및 소매업체 141억달러,농업·광산·건설업체 40억달러,기타 238억달러 등이었다.제약업체인 화이자의 경우 2004년 한해 매출액의 70% 해당하는 370억달러를 본국으로 보냈다.동종업체인 엘리릴리는 이 법안 통과에 850만달러를 로비자금으로 투입,20억달러를 절세했다.퍼블릭 시티즌의 크레이그 홀만 대정부 로비스트는 “기업들이 해마다 로비활동에 많은 돈을 쏟아붓는 것은 이처럼 높은 투자수익률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아쉬운 것은 기업들이 이 법의 취지대로 송금한 수익을 고용창출 활동에 투자한 게 아니라 주가관리를 위한 자사주 매입,배당금 지급 등에 대부분 사용했다고 미 의회조사국은 분석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041313181
5. 카운슬링
카운슬링은 공익문제와 회사의 위치설정 이미지에 대하여 경영자에게 조언을 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월마트와 듀폰은 자체 기업 내 전사리스크관리위원회를 두어 기업 내 리스크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다양한 리스크 관련 워크샵과 세미나를 통해 기업 구성원들에게 교육을 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 퍼블리시티(PPL)
영화와 상품, 공동 마케팅(PPL : 한국)
영화 \'고질라\'에서 침몰한 배의 잔해에서 한국 브랜드인 \'동원 참치\' 상품이 보였다. 이것은 일본어와 한국어를 구별할 줄 모르는 헐리우드 제작진들의 실수로 동원 산업은 돈 한 푼 들이지 않고 세계적으로 상품 홍보를 하게 된 것이다. 이것을 안 동원에서는 서둘러 영화 \'고질라\'를 상품 광고에 이용하여 높은 효과를 거뒀다.
이처럼 영화사가 영화 장면에 특정 제품 모습을 내보이고 협찬사는 영화 장면 속에 나오는 자사 브랜드의 홍보 효과를 노리는 전형적인 광고기법인 \'PPL(Product Placement)\'은 이제 우리에게도 친숙해진 개념이다.
이러한 마케팅 전략으로 광고 효과를 본 곳이 바로 \'현대정유.\' 영화 (주유소 습격사건)의 배경이 된 현대는 한달만에 10억원에 이르는 광고 효과를 얻었다. 영화 내용 중 회사 상표가 직접 노출된 장면은 40여분으로 이 영화의 관객수를 고려해보면, 이것은 TV황금 시간대에 15초 분량의 광고를 180회 이상 내보낸 것과 같은 효과이다.
빙그레는 영화(해가 서쪽에서 뜬다면)에 \'뉴면\'을 등장시켜 광고 효과를 봤고, 영화 (미술관 옆 동물원)에서 여주인공 심은하의 화장대에 한국화장품 \'칼리 밀크 플러스\'를 진열하는 방법으로 상품 광고를 했다.
영화 (쉬리)는 국내의 PPL기법을 본격화시킨 대표적인 영화라 할 수 있다. 동서식품의 \'맥심\', \'콘푸라이트 씨리얼\', \'포카리스웨트\', \'베니건스\'를 비롯, \'삼성전자\', \'유니텔\', \'스피드 011\', \'모토롤라\'. \'LG칼텍스정유\', \'아시아나 항공\', \'테크노마트\' 등 무려 30개사의 협찬을 받았다. 특히 포카리스웨트는 한석규가 총격전을 벌이는 장면, 경기장 주변의 파라솔 등으로 영화 곳곳에 상품명을 비추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방법이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영화의 흥행정도에 따라 광고의 효과도 차이가 난다. 오히려 영화의 평이 좋지 않으면 역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오뚜기가 야심작으로 내놓았던 \'북경반점\'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신제품 짜장라면의 이름을 \'북경반점\'으로 결정, 영화 (북경반점)개봉 시기에 맞추어 각종 홍보 활동을 폈지만, 영화가 1주일만에 상영을 그만두어 효과를 거두지 못햇다.
영화와 상품, 공동 마케팅(PPL : 외국)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영화 (개미)의 주이공 개미가 유토피아를 찾으로 가다 사람의 발을 피해 다니는 자연에서는 \'리복\'이라는 상표가 크게 보인다. 게다가 주변에 굴러다니는 빈 깡통에는 \'펩시\'란 글자도 선명하게 보여준다. 영화 (007네버다이)에도 \'오매가 시계\', \'하이네켄 맥주\', \'BMW\' 같은 다국적 브랜드들이 영화의 주요 장면에 나타난다.
이전에도 외국 영화에는 이러한 기법으로 공동마케팅을 펴왔다. (터미테이터 2)에서는 주인공들이
추천자료
중소기업의 국제 마케팅 믹스 전략 (대구 지역 - 쉬메릭, 청석)
아모레 퍼시픽의 'Lolita Lempicka' 향수의 현지화 성공사례
우리나라 해운기업의 품질경영(TQM)의 원천과 활동요인 및 경영성과
글로벌 경영환경
마이크로소프트(MS)의 국제화전략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국제화 전략
[경영용어][경제용어][경영경제용어][경영경제용어해설][경제][경영]경영경제용어(경영용어, ...
글로벌 기업의 광고 전략
글로벌 경영을 향한 ‘로레알(L'OREAL)’의 전략.
무역계약의 성립요건과 단계
[기아자동차 기업분석]기아차 경영전략,기아자동차 디자인경영,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
현대건설 대우건설 소개 및 이념-경영철학,경영전략사례,성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야후 Yahoo! - 야후소개,야후글로벌전략사례,야후경영전략성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
신한은행 소개,경영철학 경영원칙,신한은행 조직구조,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