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요 약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가부장적 이중성
2. 이중성의 해석
Ⅲ. 연구의 방법 및 한계
Ⅳ. 연구 결과
1. 이성친구의 의미
2. 이성관계에 있어 동성친구의 의미
Ⅴ.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가부장적 이중성
2. 이중성의 해석
Ⅲ. 연구의 방법 및 한계
Ⅳ. 연구 결과
1. 이성친구의 의미
2. 이성관계에 있어 동성친구의 의미
Ⅴ.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남녀공학에 재학하는 청소년이 이성에 대해 갖는 성태도가 보다 개방적일 수 있다면, 이 연구는 남녀 청소년의 성행태에 반영된 가부장적 성윤리의 영향을 다소 확대하여 드러낼지도 모른다. 그러나 개방적 성태도가 반드시 가부장적 이중성과 대척되는 것은 전혀 아니며, 남녀공학에 재학하는 청소년의 경우 보다 개방적 성태도를 보여주면서도 여전히 가부장적 이중성에 침윤되어 있을 개연성, 다시 말해 남자 청소년의 반규범적 개방성과 여자 청소년의 친교적 개방성이라는 이중성의 문제를 그대로 안고 있을 가능성에서는 차이가 없을 수 있다. 이 논점에 대하여는 연구 결과의 분석 과정에서 다시 한번 논의될 것이며, 다만 남녀공학에 재학하는 청소년들의 의미 해석이 어떤 미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다루지 못하는 아쉬움을 지적해 두는 것이다.
Ⅳ. 연구 결과
가부장적 성윤리 재생산의 연구 결과는 이성친구의 의미, 그리고 이성관계에 있어 동성친구의 의미라는 두 범주로 분류되었다. 두 범주를 설명하는 주요 주제는 친밀한 존재, 육체적 대상, 성을 요구하는 존재, 업적의 대상, 경쟁자, 지원자이다.
1. 이성친구의 의미
이성친구의 의미에서부터 가부장적 성윤리의 재생산 양태는 확연히 드러나기 시작했다. 여자에게 있어 남자는 ‘친밀한 존재’거나 ‘지켜주는 존재’로서의 의미가 중요한 반면, 남자에게 있어 여자는 ‘육체적 대상’으로서의 의미가 현저했다. 또한 여자에게 있어 남자는 ‘성을 요구하는 존재’이며 ‘슬픔을 주는 존재’로서 부각되지만, 남자에게 있어 여자는 ‘업적의 대상’이었다.
가. 친밀한 존재, 지켜주는 존재
남자친구였던 친구와는 서로 밥 먹었는지, 학교에서 잘 지내는지 세심한 부분까지 챙겨주기도 하고 학교에서 생겼던 일로 걱정하면 위로도 해주고 격려도 해주고 그랬습니다. 편지 쓰고 선물 만들고 전화하고 꾸미는 일에 신경쓰고 … 꼬박 꼬박 메일에 사랑한단 말 써주고, 비 오는 날 전화해서 우산 챙겼는지, 학원에서 밤늦게 갈 때 무서울까봐 전화해주고 하여 정말 행복했었어요(여자 54).
서로가 좋아서 만나는 것이기 때문에 같이 있으면 좋다. 그리고 같이 하고 싶은 것들이 많아지고 밥도 같이 먹고, 같은 옷을 맞춰서 입고도 싶어진다. 그런 이성친구가 있음으로 해서 내가 슬퍼서 다른 사람에게 위로를 받고 싶을 때 나의 든든한 후원자이자 확실한 내편이 된다는 것에 든든하다(여자 26).
이런 진술은 여자 청소년이 남자친구에게 느끼는 친밀감의 중요성을 잘 묘사하고 있다. “세심한 부분까지 챙겨주는” 교감의 행복이나 “슬플 때 위로해주고 확실한 내편이 되어주는” 관계 자체의 의미가 일관되게 관찰된다.
힘들 때 가장 힘이 돼주는 사람일수도 있고
하루 종일 기분이 나빴어도 금새 웃게 해줄 수도 있고
아플 때 약 사들고 제일먼저 달려올 수도 있고
지켜주기도 하고~! 소중한 존재^^(여자 3).
남자가 무뚝뚝하면 많이 상처받을 일이 생기게 되고, 자상하다면 한없이 잘 보이고 싶고 그런 거 같다. 그리고 여자친구들보다 서로 좋아하는 사이에서 만난다면 더 만나는 날이 많을 테고, 가까워지므로 의지하게 되는 사람이 된다(여자 8).
이성친구로서-실제로 남자친구가 있었을 때를 생각해보면, 제가 좀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전에는 제 자신에 대해 자신감도 없고, 제 자신을 사랑하는 게 별로 없었던 것 같은데, 남자친구가 있었을 땐, 자신감도 가질 수 있었고, 저를 다시 돌아보고 스스로 사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좀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서, 공부도 열심히 하고, 예쁘게 꾸미기도 하는 등 여러 면에서 좀더 나은 모습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힘들 때 누구보다도 많은 의지가 되었지 않나 싶습니다(여자 55).
나아가 남자친구가 그녀들의 삶에 얼마나 깊은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진술한다. 단순한 친밀감을 넘어서, 남자친구의 존재와 행동들이 그녀들의 기분과 성품과 정체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진술하고 있다. 남자친구의 친밀감의 표현여부에 따라 “상처 받기도”하고 “한없이 잘 보이고 싶기도” 할 만큼 관계에 민감하며,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서” “예쁘게 꾸미기도 하면서” “스스로를 사랑하고 자신감을 갖게 되는 과정”은 여자 청소년이 남자 친구와의 친밀감을 바탕으로 성적 규범에 동조하고 신체적 매력을 의식한다는 양적 연구의 결과들을 보다 명료하게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남자가 그녀의 삶을 인도하고 지켜주는 일종의 준거로서 작동하는 것이다.
아버지의 개입에 관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남근 선망이라는 서로 다른 방식의 대응으로 성 정체성의 분화를 설명하는 프로이드를 비판하면서 초도로는 어머니의 역할을 강조하였다(Freud, 1953; Chodorow, 1978). 인생 최초의 관계로서 어머니와의 밀착이 아버지라는 권력의 개입 이후 깨어지는 상처를 경험한 아들은 관계를 불신하고 권력을 추구하지만, 어머니와의 밀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개입하는 딸의 아버지는 오히려 유지가능하고 풍요로운 의미의 삼각관계를 딸에게 새롭게 제공한다. 관계에 대한 상처가 없는 여성의 정체성은 그렇게 인생의 모든 의미를 다자지향적이며 복합적일 수 있는 관계에서 추구하게 된다. 따라서 여자 청소년에게 있어 남자 친구란 삶의 또 다른 준거를 제시하는 소중한 관계로서 다가오는 것이다. 정체성 형성이 밀도 있게 진행되어 가는 청소년 시기에 경험하는 이 준거는, 여성으로서의 자신감을 심어주고 스스로를 더욱 사랑하게 만들며 한없이 잘 보여서 인정을 얻고 싶은 참으로 소중한 인생의 의미가 된다.
나. 육체적 대상
이에 반해 남자 청소년에게 있어 여자친구는 주로 육체적 대상으로 진술된다. 물론 친밀한 관계에서 오는 행복에 대해 남자 청소년이 진술하지 않은 것은 아니고 아래의 인용문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마음을 안정시켜주고 편안한” 교감을 추구하며 “여자를 존중하는 태도”를 배우게 되는 의미도 남자 청소년이 여자친구에게 부여하는 중요한 한 측면이지만, 여자 청소년에게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가장 두드러진 의미는 육체적 대상으로서의 이성친구였다.
그리고 이성친구와 같이 있으면 동성친구와 있을
Ⅳ. 연구 결과
가부장적 성윤리 재생산의 연구 결과는 이성친구의 의미, 그리고 이성관계에 있어 동성친구의 의미라는 두 범주로 분류되었다. 두 범주를 설명하는 주요 주제는 친밀한 존재, 육체적 대상, 성을 요구하는 존재, 업적의 대상, 경쟁자, 지원자이다.
1. 이성친구의 의미
이성친구의 의미에서부터 가부장적 성윤리의 재생산 양태는 확연히 드러나기 시작했다. 여자에게 있어 남자는 ‘친밀한 존재’거나 ‘지켜주는 존재’로서의 의미가 중요한 반면, 남자에게 있어 여자는 ‘육체적 대상’으로서의 의미가 현저했다. 또한 여자에게 있어 남자는 ‘성을 요구하는 존재’이며 ‘슬픔을 주는 존재’로서 부각되지만, 남자에게 있어 여자는 ‘업적의 대상’이었다.
가. 친밀한 존재, 지켜주는 존재
남자친구였던 친구와는 서로 밥 먹었는지, 학교에서 잘 지내는지 세심한 부분까지 챙겨주기도 하고 학교에서 생겼던 일로 걱정하면 위로도 해주고 격려도 해주고 그랬습니다. 편지 쓰고 선물 만들고 전화하고 꾸미는 일에 신경쓰고 … 꼬박 꼬박 메일에 사랑한단 말 써주고, 비 오는 날 전화해서 우산 챙겼는지, 학원에서 밤늦게 갈 때 무서울까봐 전화해주고 하여 정말 행복했었어요(여자 54).
서로가 좋아서 만나는 것이기 때문에 같이 있으면 좋다. 그리고 같이 하고 싶은 것들이 많아지고 밥도 같이 먹고, 같은 옷을 맞춰서 입고도 싶어진다. 그런 이성친구가 있음으로 해서 내가 슬퍼서 다른 사람에게 위로를 받고 싶을 때 나의 든든한 후원자이자 확실한 내편이 된다는 것에 든든하다(여자 26).
이런 진술은 여자 청소년이 남자친구에게 느끼는 친밀감의 중요성을 잘 묘사하고 있다. “세심한 부분까지 챙겨주는” 교감의 행복이나 “슬플 때 위로해주고 확실한 내편이 되어주는” 관계 자체의 의미가 일관되게 관찰된다.
힘들 때 가장 힘이 돼주는 사람일수도 있고
하루 종일 기분이 나빴어도 금새 웃게 해줄 수도 있고
아플 때 약 사들고 제일먼저 달려올 수도 있고
지켜주기도 하고~! 소중한 존재^^(여자 3).
남자가 무뚝뚝하면 많이 상처받을 일이 생기게 되고, 자상하다면 한없이 잘 보이고 싶고 그런 거 같다. 그리고 여자친구들보다 서로 좋아하는 사이에서 만난다면 더 만나는 날이 많을 테고, 가까워지므로 의지하게 되는 사람이 된다(여자 8).
이성친구로서-실제로 남자친구가 있었을 때를 생각해보면, 제가 좀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전에는 제 자신에 대해 자신감도 없고, 제 자신을 사랑하는 게 별로 없었던 것 같은데, 남자친구가 있었을 땐, 자신감도 가질 수 있었고, 저를 다시 돌아보고 스스로 사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좀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서, 공부도 열심히 하고, 예쁘게 꾸미기도 하는 등 여러 면에서 좀더 나은 모습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힘들 때 누구보다도 많은 의지가 되었지 않나 싶습니다(여자 55).
나아가 남자친구가 그녀들의 삶에 얼마나 깊은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진술한다. 단순한 친밀감을 넘어서, 남자친구의 존재와 행동들이 그녀들의 기분과 성품과 정체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진술하고 있다. 남자친구의 친밀감의 표현여부에 따라 “상처 받기도”하고 “한없이 잘 보이고 싶기도” 할 만큼 관계에 민감하며,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서” “예쁘게 꾸미기도 하면서” “스스로를 사랑하고 자신감을 갖게 되는 과정”은 여자 청소년이 남자 친구와의 친밀감을 바탕으로 성적 규범에 동조하고 신체적 매력을 의식한다는 양적 연구의 결과들을 보다 명료하게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남자가 그녀의 삶을 인도하고 지켜주는 일종의 준거로서 작동하는 것이다.
아버지의 개입에 관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남근 선망이라는 서로 다른 방식의 대응으로 성 정체성의 분화를 설명하는 프로이드를 비판하면서 초도로는 어머니의 역할을 강조하였다(Freud, 1953; Chodorow, 1978). 인생 최초의 관계로서 어머니와의 밀착이 아버지라는 권력의 개입 이후 깨어지는 상처를 경험한 아들은 관계를 불신하고 권력을 추구하지만, 어머니와의 밀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개입하는 딸의 아버지는 오히려 유지가능하고 풍요로운 의미의 삼각관계를 딸에게 새롭게 제공한다. 관계에 대한 상처가 없는 여성의 정체성은 그렇게 인생의 모든 의미를 다자지향적이며 복합적일 수 있는 관계에서 추구하게 된다. 따라서 여자 청소년에게 있어 남자 친구란 삶의 또 다른 준거를 제시하는 소중한 관계로서 다가오는 것이다. 정체성 형성이 밀도 있게 진행되어 가는 청소년 시기에 경험하는 이 준거는, 여성으로서의 자신감을 심어주고 스스로를 더욱 사랑하게 만들며 한없이 잘 보여서 인정을 얻고 싶은 참으로 소중한 인생의 의미가 된다.
나. 육체적 대상
이에 반해 남자 청소년에게 있어 여자친구는 주로 육체적 대상으로 진술된다. 물론 친밀한 관계에서 오는 행복에 대해 남자 청소년이 진술하지 않은 것은 아니고 아래의 인용문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마음을 안정시켜주고 편안한” 교감을 추구하며 “여자를 존중하는 태도”를 배우게 되는 의미도 남자 청소년이 여자친구에게 부여하는 중요한 한 측면이지만, 여자 청소년에게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가장 두드러진 의미는 육체적 대상으로서의 이성친구였다.
그리고 이성친구와 같이 있으면 동성친구와 있을
추천자료
A대학교 재학생의 성의식에 대한 조사연구
청소년 성문제 연구
르네상스와 성문화
성과 성행동
동성애 제대로 알기
청소년의 성행동 및 성폭력의 문제와 현황 그에따른 대책
[독후감] <라온아띠의 행복한 성 이야기>라는 책을 읽고 _ 라온아띠 성문화연구모임 저
청소년의성과_성문제,임신과 낙태 그리고 미혼모,성윤리,성교육의 문제 및 개선방안,성폭력,...
<현대사회와 사회문제 최종> 청소년 성문화와 낙태 (문제 제기, 청소년의 특징적 성문화 &...
교육학개론-성교육,성교육및사회문제,성윤리,성 미성숙,사회이슈ppt자료
[교육학개론] 성교육,성교육 개념 & 문제제기 - 성교육 및 사회문제, 성윤리,성미성숙,사...
청소년성문제와 왕따문제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