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신건강문제의 개념
2. 정신건강문제 관련 관점
3. 정신건강문제의 현황
4.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현장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기 타
2. 정신건강문제 관련 관점
3. 정신건강문제의 현황
4.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현장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기 타
본문내용
: 이상한 표정을 짓거나 특이한 동작을 반복.
- 정서적 증상 : 정서가 매우 단조롭거나 주변 상황에 적절하지 못한 반응을 함.
- 생활 기능의 손상 : 사회생활의 기술이 결여되어 타인과의 교제를 기피함.
○ 성격장애
성격장애란 다양한 성격적 특질이 개인의 전반적인 기능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
- 편집성 성격장애 : 타인의 동기를 악의적으로 해석하여 사람들을 필요 이상으로 의 심한다.
- 정신분열성 성격장애 : 사람들과의 사회적 관계형성과 정서적 표현에 장애가 있다.
- 정신분열형 성격장애 : 타인과의 긴밀한 관계의 형성에 심한 장애를 겪고, 인지적 장애와 이상한 행동을 보인다.
- 반사회적 성격정애 : 타인의 권리를 무시, 침해한다.
- 경계선적 성격장애 : 자아상에 대한 명확하고도 일관된 인식이 없다. 히스테리적 성격장애는 정서적 과민 반응을 나타내고 타인의 관심을 끌 기 위해 지나친 행동을 한다.
- 자아도취적 성격장애 : 지나치게 거드름을 피우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칭찬해 주 길 원하며 감정이입이 결여되어 있다.
- 의존적 성격장애 : 타인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며 항상 보고받기를 원한다.
- 강박적 성격장애 : 정리정돈, 완벽주의, 통제를 지나치게 추구한다.
○ 기분장애
- 우울증
증세 - 슬프고 우울한 기분, 흥미와 즐거움의 상실, 식욕 감퇴 또는 식욕 증가, 불면 증 또는 지나친 수면, 우유부단, 부정적 자아개념, 자살이나 죽음에 대한 사고.
- 양극성 장애 : 우울증과 조증 반복, 조증은 기분이 고양되고 안절부절 못하며 활동 량이 증가하고 자신의 능력을 과신한다.
○ 약물 관련 장애
약물을 복용한 결과 사회적 기능이 손상되고 행동에 변화를 보이는 것을 말한다.
○ 신체형 장애
알 수 없는 생리적 원인의 증상들을 호소한다. 질병에 걸렸다고 지나치게 걱정하는 심기증과 같은 심리적 문제도 포함한다. 신체형 장애는 동기가 뚜렷하지 않다는 점 에서 의도적으로 증상을 호소하는 가성성 장애와 꾀병과는 다르다.
2009년 한국의 자살사망률은 10만 명 당 28.4명으로, 2위 헝가리(19.6명)보다 절반가량 높고, OECD 평균(11.4명)에는 3배에 가깝다
그 증가세는 더욱 충격적이다. 1990년에서 2006년 사이 우리나라 자살 증가율은 172.2%로 2위 멕시코(43.3%)의 4배에 달한다. 같은 기간 OECD 평균은 20.4% 낮아졌고, 한때 ‘최대 자살국’의 오명을 썼던 핀란드는 무려 35.3% 줄어들었다
경기개발연구원 최용환 연구위원은 ‘패자부활전 부재’로 상징되는 사회구조가 이 ‘무서운’ 증가세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청소년기에 시작된 경쟁이 평생 이어지며 극심한 스트레스를 야기하고, 한 차례의 낙오가 곧 ‘인생 실패’로 낙인되는 구조는 절망에 가속도를 붙인다는 것이다.
최 연구위원은 24일 발간한 ‘이슈 &진단’을 통해 국가차원의 종합대책 수립, 체계적 원인진단 및 정책평가 시스템 구축, 사회정책 강화 등의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자살이 10~30대 사망원인 1위, 40~50대에서는 2위
보고서는 여러 가지 심각한 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자살은 우리나라 10대에서 30대까지 사망원인 1위이자, 40대와 50대 사망원인의 2위이다. 65세 이상 노년층의 자살도 급격하게 늘고 있다. 2008년 우리의 노인자살률은 77명으로 일본의 29명에 비해 2배가 넘는다.
OECD 회원국의 평균 자살사망률은 1980년대 중반부터 감소했지만 한국과 일본만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외환위기 시기부터 현격한 증가세를 보인 후, 경기 회복과 소득증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삐끗하면 끝장” 삭막한 무한경쟁 시대
최 연구위원은 ‘패자부활전’ 없는 무한경쟁으로 대표되는 사회구조를 주요 원인으로 진단했다. 청소년은 대학에 진학하지 못하면 저임 근로계층이나 실업자군에 편입되고, 퇴직한 중년가장은 재취업의 길이 막혀 무능력자로 격하된다는 설명이다.
결국 한번이라도 실패를 경험한 사람은 재기의 기회를 얻지 못한 채 ‘낙오’의 벼랑에 서게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함께 소개된 우리나라의 ‘행복지수’는 30개국중 25위로 최하위권에 처져 있다.
가족의 붕괴가 정서적 소외감과 가치관의 혼란으로 이어져 자살률의 증가를 초래한다는 대목도 상징적이다. 노인자살의 주요원인은 정서적 소외감이며 청소년은 가족으로부터의 지지가 자살충동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최근 이어지고 있는 유명인과 청소년의 자살과 관련해서는 사생활 존중의 부재와 ‘다름’에 대한 거부감을 원인으로 진단했다.
이외에도 ▶ 빈곤에 의한 노인 자살 증가 ▶ 상대적 빈곤에 의한 박탈감 ▶ 우울증 등 정신병리학적 요인 등이 주요 원인으로 거론됐다.
원인에서 정책효과까지 체계적 DB 구축을
최 연구위원은 자살을 ‘개인이 아닌 사회적’ 책임으로 규정하고 국가 차원의 대책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핀란드, 일본, 미국, 세계보건기구, UN 등의 예방정책을 소개했는데, 특히 세계 최초로 국가주도의 자살예방 프로젝트를 수립하고 총체적인 대응책을 강구한 핀란드의 사례가 시선을 끈다. 한편 우리나라는 2009년부터 제2차 자살예방종합대책을 실시중이지만 아직 효과는 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소개됐다.
이 보고서에서는 원인분석에서 효과까지 망라하는 DB 구축도 제안했다. 자살시도자 및 사망자 가족에 대한 사후조사 제도화, 정확한 통계 구축 등 기초작업을 강화하자는 것이다. 자살 자체의 예방과 병행되는 건강한 사회환경 조성, 정신질환에 대한 의식 개선 및 사회적 지원 확대 등도 함께 제시됐다.
최 연구위원은 끝으로 경기도 31개 시군별 자살률 편차를 지적하며 시군별 맞춤대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외에 내년 시행예정인 「자살예방 및 생명 존중 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비한 기관 선정 및 과제 도출, 지역 정신건강서비스 강화 등도 함께 제안했다
참고문헌
이충순 외, 『현대 정신보건과 지역사회』, 의료법인용인정신병원
한국정신건강복지연구소 편, 『만성정신장애와 사회복지서비스』
정신보건 사회복지 양옥경, 전게서, pp.22-27
- 정서적 증상 : 정서가 매우 단조롭거나 주변 상황에 적절하지 못한 반응을 함.
- 생활 기능의 손상 : 사회생활의 기술이 결여되어 타인과의 교제를 기피함.
○ 성격장애
성격장애란 다양한 성격적 특질이 개인의 전반적인 기능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
- 편집성 성격장애 : 타인의 동기를 악의적으로 해석하여 사람들을 필요 이상으로 의 심한다.
- 정신분열성 성격장애 : 사람들과의 사회적 관계형성과 정서적 표현에 장애가 있다.
- 정신분열형 성격장애 : 타인과의 긴밀한 관계의 형성에 심한 장애를 겪고, 인지적 장애와 이상한 행동을 보인다.
- 반사회적 성격정애 : 타인의 권리를 무시, 침해한다.
- 경계선적 성격장애 : 자아상에 대한 명확하고도 일관된 인식이 없다. 히스테리적 성격장애는 정서적 과민 반응을 나타내고 타인의 관심을 끌 기 위해 지나친 행동을 한다.
- 자아도취적 성격장애 : 지나치게 거드름을 피우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칭찬해 주 길 원하며 감정이입이 결여되어 있다.
- 의존적 성격장애 : 타인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며 항상 보고받기를 원한다.
- 강박적 성격장애 : 정리정돈, 완벽주의, 통제를 지나치게 추구한다.
○ 기분장애
- 우울증
증세 - 슬프고 우울한 기분, 흥미와 즐거움의 상실, 식욕 감퇴 또는 식욕 증가, 불면 증 또는 지나친 수면, 우유부단, 부정적 자아개념, 자살이나 죽음에 대한 사고.
- 양극성 장애 : 우울증과 조증 반복, 조증은 기분이 고양되고 안절부절 못하며 활동 량이 증가하고 자신의 능력을 과신한다.
○ 약물 관련 장애
약물을 복용한 결과 사회적 기능이 손상되고 행동에 변화를 보이는 것을 말한다.
○ 신체형 장애
알 수 없는 생리적 원인의 증상들을 호소한다. 질병에 걸렸다고 지나치게 걱정하는 심기증과 같은 심리적 문제도 포함한다. 신체형 장애는 동기가 뚜렷하지 않다는 점 에서 의도적으로 증상을 호소하는 가성성 장애와 꾀병과는 다르다.
2009년 한국의 자살사망률은 10만 명 당 28.4명으로, 2위 헝가리(19.6명)보다 절반가량 높고, OECD 평균(11.4명)에는 3배에 가깝다
그 증가세는 더욱 충격적이다. 1990년에서 2006년 사이 우리나라 자살 증가율은 172.2%로 2위 멕시코(43.3%)의 4배에 달한다. 같은 기간 OECD 평균은 20.4% 낮아졌고, 한때 ‘최대 자살국’의 오명을 썼던 핀란드는 무려 35.3% 줄어들었다
경기개발연구원 최용환 연구위원은 ‘패자부활전 부재’로 상징되는 사회구조가 이 ‘무서운’ 증가세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청소년기에 시작된 경쟁이 평생 이어지며 극심한 스트레스를 야기하고, 한 차례의 낙오가 곧 ‘인생 실패’로 낙인되는 구조는 절망에 가속도를 붙인다는 것이다.
최 연구위원은 24일 발간한 ‘이슈 &진단’을 통해 국가차원의 종합대책 수립, 체계적 원인진단 및 정책평가 시스템 구축, 사회정책 강화 등의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자살이 10~30대 사망원인 1위, 40~50대에서는 2위
보고서는 여러 가지 심각한 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자살은 우리나라 10대에서 30대까지 사망원인 1위이자, 40대와 50대 사망원인의 2위이다. 65세 이상 노년층의 자살도 급격하게 늘고 있다. 2008년 우리의 노인자살률은 77명으로 일본의 29명에 비해 2배가 넘는다.
OECD 회원국의 평균 자살사망률은 1980년대 중반부터 감소했지만 한국과 일본만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외환위기 시기부터 현격한 증가세를 보인 후, 경기 회복과 소득증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삐끗하면 끝장” 삭막한 무한경쟁 시대
최 연구위원은 ‘패자부활전’ 없는 무한경쟁으로 대표되는 사회구조를 주요 원인으로 진단했다. 청소년은 대학에 진학하지 못하면 저임 근로계층이나 실업자군에 편입되고, 퇴직한 중년가장은 재취업의 길이 막혀 무능력자로 격하된다는 설명이다.
결국 한번이라도 실패를 경험한 사람은 재기의 기회를 얻지 못한 채 ‘낙오’의 벼랑에 서게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함께 소개된 우리나라의 ‘행복지수’는 30개국중 25위로 최하위권에 처져 있다.
가족의 붕괴가 정서적 소외감과 가치관의 혼란으로 이어져 자살률의 증가를 초래한다는 대목도 상징적이다. 노인자살의 주요원인은 정서적 소외감이며 청소년은 가족으로부터의 지지가 자살충동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최근 이어지고 있는 유명인과 청소년의 자살과 관련해서는 사생활 존중의 부재와 ‘다름’에 대한 거부감을 원인으로 진단했다.
이외에도 ▶ 빈곤에 의한 노인 자살 증가 ▶ 상대적 빈곤에 의한 박탈감 ▶ 우울증 등 정신병리학적 요인 등이 주요 원인으로 거론됐다.
원인에서 정책효과까지 체계적 DB 구축을
최 연구위원은 자살을 ‘개인이 아닌 사회적’ 책임으로 규정하고 국가 차원의 대책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핀란드, 일본, 미국, 세계보건기구, UN 등의 예방정책을 소개했는데, 특히 세계 최초로 국가주도의 자살예방 프로젝트를 수립하고 총체적인 대응책을 강구한 핀란드의 사례가 시선을 끈다. 한편 우리나라는 2009년부터 제2차 자살예방종합대책을 실시중이지만 아직 효과는 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소개됐다.
이 보고서에서는 원인분석에서 효과까지 망라하는 DB 구축도 제안했다. 자살시도자 및 사망자 가족에 대한 사후조사 제도화, 정확한 통계 구축 등 기초작업을 강화하자는 것이다. 자살 자체의 예방과 병행되는 건강한 사회환경 조성, 정신질환에 대한 의식 개선 및 사회적 지원 확대 등도 함께 제시됐다.
최 연구위원은 끝으로 경기도 31개 시군별 자살률 편차를 지적하며 시군별 맞춤대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외에 내년 시행예정인 「자살예방 및 생명 존중 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비한 기관 선정 및 과제 도출, 지역 정신건강서비스 강화 등도 함께 제안했다
참고문헌
이충순 외, 『현대 정신보건과 지역사회』, 의료법인용인정신병원
한국정신건강복지연구소 편, 『만성정신장애와 사회복지서비스』
정신보건 사회복지 양옥경, 전게서, pp.22-27
추천자료
- 대학생의 애착유형에 따른 대인불안 수준 및 이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
- [이상심리학] 불안장애의 정의, 원인, 종류, 특징, 치료방안 레포트 (2007년 ★★★★★ 추천 우수...
- 내가 선호하는 아들러 학파의 상담이론
- 정신역동 모델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 숨겨진 나와 마주하는 정신분석 이야기 -프로이트의 의자
- [독후감] 지그문트 프로이트 - 꿈의해석
- 정신장애 중 불안장애에 대한 설명과 함께 예방 및 치료방법을 설명.
- 호스피스 대상자와 가족들의 불안완화와 유대감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계획서 : 가족과 함...
- 인간행동과사회환경=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 영화 블랙스완을 보고 프로이트 이론으로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