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배경
Ⅱ. 사우디아라비아의 정치·행정체제의 관계(완전통합모델)
ⅰ) 정치과정
ⅱ) 행정과정
iii)교육과정
iv) 공무원 인사관리
v) 재무행정
Ⅲ. 사우디아라비아의 현실 및 대안제시
i ) 사우디와 한국의 비교
ii ) 대안제시 및 한국적 시사점
Ⅱ. 사우디아라비아의 정치·행정체제의 관계(완전통합모델)
ⅰ) 정치과정
ⅱ) 행정과정
iii)교육과정
iv) 공무원 인사관리
v) 재무행정
Ⅲ. 사우디아라비아의 현실 및 대안제시
i ) 사우디와 한국의 비교
ii ) 대안제시 및 한국적 시사점
본문내용
되어 있다. 즉, 종교의 우산 아래 국왕의 수하에 모든 것이 수렴되고, 결정된다. 이것은 상대적 통합모델, 특히 서구 민주주의국가라는 입장에서 보면 비정상적인 것으로 보이는 면도 있겠지만, 그들의 시각에서 보면 그렇지도 않다. 자국의 관점에서 자세히 들여다보면 나름대로의 불가피성 혹은 합리적인 측면을 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은 상대적 모델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우디의 경우와 극명하게 대조되는 면이 많이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석유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공공경제의 비중이 상당히 넓다. 경제를 국가가 주도하기 때문에 민간부문 혹은 시민사회가 발달하기 어렵다. 또 정치행정체제의 주요 비교항목을 보면 우리나라와 극명한 대조를 보인다. 즉 진정한 국민의사대변기구로서 의회의 존재 여부, 공직임용에 있어서 신분적 차별 여부, 일반 국민의 정책참여 여부 등 ‘제도의 분화(한국)냐 아니면 통합(사우디)이냐’라는 대조되는 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한국사회는 거버먼트(government)가아닌 거버넌스(governance)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는 왕의 절대권역에 기반한 완전통합모델에서는 분권이나 거버넌스가 존재하기 어렵다. 또한 한 가지 완전히 다른 점은 제도가 아닌 ‘사람’에 의한 통치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장관은 물론이고, 지방에 이르기까지 사우디아라비아 사회 곳곳에 왕자들이 포진하여 중요한 의사결정을 한다. 즉, 왕족에 의한 혈족정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법적 제도화수준에 의한 체제의 예측가능성과 안정성이 부족한 편이다. 한국도 일부 엘리트 계층에 의해 지배되는 측면이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와 완전히 다른 것은 한국은 어느 정도 경쟁이 있으며, 이런 엘리트가 세대 간 이동을 한다는 점이다. 즉 대통령이나 국회의원은 물론이고, 장관이나 고위공무원은 지나칠 정도로 빈번하게 자리부침이 있다. 이에 반해 사우디아라비아의 엘리트들은 거의 평생 권력의 자리를 누리는 것이다.
ii ) 대안제시 및 한국적 시사점
이와 같이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는 극명하게 대조되는 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진정한 비교라는 것은 한 국가, 혹은 사회에 대한 단순 열거식으로 하는 2분법적 비교가 아니다. 즉 비교의 목적은 그 사회에 대한 진실에 다가가고자 하는 열정의 발로이며, 나아가 비교를 통한 함의를 도출해 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비교의 관점도 역시 깊이 있는 이슬람문화와 함께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와 같은 맥락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적 진출이나 정치적 관계 형성에서 보다 조심스러워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완전한 통합 형태에서 어느 정도는 상대적 통합모델로 나아갈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우디아라비아의 전통적인 통치체제에는 큰 변동이 없을 것이다. 특히 세계체제에 있어서 사우디아라비아는 미국과 긴밀한 협조관계 속에서 있고, 세계적인 산유국인 점, 중동지역에서 강국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우리나라와의 관계 진전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사회는 거버먼트(government)가아닌 거버넌스(governance)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는 왕의 절대권역에 기반한 완전통합모델에서는 분권이나 거버넌스가 존재하기 어렵다. 또한 한 가지 완전히 다른 점은 제도가 아닌 ‘사람’에 의한 통치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장관은 물론이고, 지방에 이르기까지 사우디아라비아 사회 곳곳에 왕자들이 포진하여 중요한 의사결정을 한다. 즉, 왕족에 의한 혈족정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법적 제도화수준에 의한 체제의 예측가능성과 안정성이 부족한 편이다. 한국도 일부 엘리트 계층에 의해 지배되는 측면이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와 완전히 다른 것은 한국은 어느 정도 경쟁이 있으며, 이런 엘리트가 세대 간 이동을 한다는 점이다. 즉 대통령이나 국회의원은 물론이고, 장관이나 고위공무원은 지나칠 정도로 빈번하게 자리부침이 있다. 이에 반해 사우디아라비아의 엘리트들은 거의 평생 권력의 자리를 누리는 것이다.
ii ) 대안제시 및 한국적 시사점
이와 같이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는 극명하게 대조되는 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진정한 비교라는 것은 한 국가, 혹은 사회에 대한 단순 열거식으로 하는 2분법적 비교가 아니다. 즉 비교의 목적은 그 사회에 대한 진실에 다가가고자 하는 열정의 발로이며, 나아가 비교를 통한 함의를 도출해 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비교의 관점도 역시 깊이 있는 이슬람문화와 함께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와 같은 맥락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적 진출이나 정치적 관계 형성에서 보다 조심스러워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완전한 통합 형태에서 어느 정도는 상대적 통합모델로 나아갈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우디아라비아의 전통적인 통치체제에는 큰 변동이 없을 것이다. 특히 세계체제에 있어서 사우디아라비아는 미국과 긴밀한 협조관계 속에서 있고, 세계적인 산유국인 점, 중동지역에서 강국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우리나라와의 관계 진전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