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Herniorrhaphy (탈장교정술)
1. 정의
2. 수술의 종류
1) 봉합수술
2) 인공막 수술
3. Laproscopic herniorraphy의 술기
1) 준비물품
2) 수술절차:1단계~11단계
4. 수술 전. 후 간호
5. 수술 후 합병증
Ⅱ. 문헌고찰
1. 복벽의 해부학적 구조
2. 탈장(Hernia)
1) 정의
2) 탈장의 종류
3) 진단방법
4) 탈장의 원인
5) 탈장의 증상
6) 탈장으로 인한 위험성
7) 탈장의 치료
(1) 내과적인 치료와 간호
(2) 수술적인 치료
Ⅲ. 참고문헌
1. 정의
2. 수술의 종류
1) 봉합수술
2) 인공막 수술
3. Laproscopic herniorraphy의 술기
1) 준비물품
2) 수술절차:1단계~11단계
4. 수술 전. 후 간호
5. 수술 후 합병증
Ⅱ. 문헌고찰
1. 복벽의 해부학적 구조
2. 탈장(Hernia)
1) 정의
2) 탈장의 종류
3) 진단방법
4) 탈장의 원인
5) 탈장의 증상
6) 탈장으로 인한 위험성
7) 탈장의 치료
(1) 내과적인 치료와 간호
(2) 수술적인 치료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술 후 재발률 8-50% 정도로 빈도가 높다.
③ 배꼽탈장(Umbilical hernia)
자연 약화된 배꼽부위, 특히 일반적으로 소아와 남자에게 많다. umbilical ring이 지속적으로 존재하여 발생한다.대부분 4~6세에 저절로 닫힘. 취학 전까지 수술을 연기하며 2cm 이상인 경우에는 저절로 안 닫히므로 수술한다.
④ 대퇴의 탈장(Femoral hernia)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흔하며 대퇴 탈장은 보통 임신과 출산의 결과로 생긴다.
femoral sheath를 따라 femoral canal로 빠져나온 경우이다.
⑤ 외과적 절개 탈장(Incisional hernia)
외과적 수술 후 상처가 불완전하게 치유되면서 그 결과 약해진 부위로 발생하는 경우이다.
⑥ 횡격막의 탈장(Diaphragmatic hernia)
선천적으로 횡경막이 비정상적으로 발전하여 생기는 경우이다.
⑦ 열공 탈장(Hiatus hernia)
횡경막이 약해지거나 찢어진 사이로 위의 상부가 흉곽내로 돌출 되는 경우이다.
3) 진단방법
① 문진
흔히 병원에 내원 당시 장이 환원되어 있어 눈으로 혹을 확인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는 보호자에게 혹이 나왔던 사실을 알아봄으로서 알 수 있다.
② 진찰
간접 및 직접적인 서혜부 탈장일 때 유효하다. 선 자세뿐만 아니라 반듯이 드러누운 자세로도 검사를 받아야 한다. 손바닥을 펴서 서혜부에 놓고는 손가락 끝으로 subcutaneous superficial inguinal ring(천 서혜륜) 위에 세워둔 채 서혜관으로 가벼운 복압을 주도록 한다. 손바닥으로 환자의 넓적다리 위에 놓아두고 다섯 번째 손가락으로 가볍게 음낭쪽 subcutaneous superficial inguinal ring을 앞으로 민다. 환자가 완전히 긴장을 풀고 있는 동안 돌출된 복부 조직이 느껴 질 수 있다.
③ 초음파 검사
초음파 검사로서 복벽의 결손 부위를 확인하거나 탈장된 장을 관찰한다.
④ 기타 특수 검사가 있으나 진단을 위해서 흔히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4) 탈장의 원인
성인 탈장의 경우 원인은 복압(배안의 압력)에 비하여 이것을 지탱하고 있는 복벽의 힘이 약한 경우 발생되는데 고연령 층에서 노화에 의한 복벽의 약화로 발생될 수 있으며, 복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경우에도 발생 될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천식등의 질병으로 잦은 기침을 하는 환자, 비만하거나 임신, 복부 수술이나 손상,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옮기는 일,배변을 위하여 지나치게 힘을 주는 경우, 남성에서 전립선 비대로 소변을 볼때 힘이 많이 들어가는 경우, 선천적으로 복벽이 약한 경우, 간경화 등으로 배에 복수가 생겨 항상 배가 부르고 압력이 높은 환자등을 예로 들 수 있다.
5) 탈장의 증상
① 복부 돌출
탈장의 증상은 말 그대로 장이 나오기 때문에 겉으로 볼록해지는 것이 눈으로 확인
이 된다. 대개 울 때나 서면 볼록하게 나오게 되고, 자리에 누우면 다시 복강 내로 들어가 볼록 한 것이 사라지게 된다.
② 통증
탈장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는 전체 탈장환자의 ¼ 정도이다. 드물게 갑자기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면 이때는 탈장이 감돈 되었는지 반드시 확인을 해야
한다. 감돈 이란 탈장 내공을 통해 나온 장(腸)이 제자리로 들어가지 못하고 내공에 끼여있는 상태를 말한다.
6) 탈장으로 인한 위험성
탈장의 주된 합병증은 염전(strangulation)과 감돈(incarceration)이다. 염전은 돌출된 장의 고리가 너무 심하게 조인 결과 혈액흐름이 차단되어 조직이 괴사되는 현상이다. 감돈은 탈장이 복강내로 돌아갈 수 없는 경우로 전형적인 장폐색 증상을 초래한다. 염전이나 감돈은 모두 심한 통증, 오심, 구토 및 발열을 동반한다. 이 경우 응급수술을 필요로 하며, 장을 잘라내야 하는경우도 있다. 또한 장기간 좁은곳을 장이 드나들면서 장벽에 손상이 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탈장이 있다면 가급적 지체말고 수술을 해야 한다.
7) 탈장의 치료
(1) 내과적인 치료와 간호
탈장대상자는 복압을 증가시키는 모든 활동을 v해야 한다. 변비와 배변시 긴장을 예방하기 위해 배변완화제와 고섬유식이를 섭취한다. 긴장과 신정을 피하고 적ㄱ절한 신체역학을 이용한다. 탈장대(truss)를 사용하는 대상자는 움직일 때 특히 탈장대를 착용한다. 탈장대를 사용할 때는 매일 탈장대 부위 피부를 사정하고 가볍게 파우더 등으로 피부를 보호한다. 탈장을 손으로 눌러 복강내로 밀어넣어 일시적으로 환원시키면 대상자가 편안함을 느끼고, 염전과 감돈도 피할 수 있다. 영구적 환원은 탈장 봉합술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합병증이 있는지 관찰한다. 적절한 수분섭취와 고섬유식이의 중요성과 적절한 신체역학에 대해 설명하고 긴장과 신전을 피하도록 한다. 대상자는 체중증가를 피하고 흡연 때문에 지속적으로 기침을 한다면 금연을 해야한다.
(2) 수술적 치료
① 소아 서혜부 탈장의 치료: 탈장 낭의 고위 결찰 술
소아의 서혜부 탈장은 복벽이 터져서 탈장이 생긴 것이 아니기 때문에 탈출된 장은 복강내로 밀어 넣고, 탈장 주머니는 복벽기시부에서 결찰 하여 꿰매 주는 수술로서 간단히 치료할 수 있다.
② 성인의 서혜부 탈장의 치료
성인은 소아와 달리 복벽이 약해저서 탈장이 생기므로 탈장 주머니를 제거한 후에도 복벽을 보강해서 튼튼하게 해주어야 재발이 없다. 복벽을 보강해 주는 방법은 인조 막을 덧대어서 보강하는 방법과, 복벽을 겹치게 꿰매어서 보강하는 방법이 있다.
③ 대퇴부 탈장 및 반흔 탈장
탈출된 장은 복강내로 밀어 넣고, 터진 구멍은 튼튼한 실로 봉합한다.
④ 제대 탈장
이는 생후에도 구멍이 좁아져 막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생후 2세 까지 경과 관찰이 원칙이나 결손이 아주 큰 경우, 감돈 및 교액이 생기는 경우에는 조기에 치료 하여야 한다.
Ⅲ.참고문헌
1. 제4판 성인간호학 상, 전시자외, 2005, 현문사
2. 최신수술환자간호, 변영순외, 2004 ,수문사
3. 수술실환자간호, 윤혜상, 2004, 청구문화사
4. 사비스톤 외과학 , 사비스톤 편찬위원회, 2003, 도서출판 정담
5. 인체구조와 기능, 최명애외, 2011 , 포널스
③ 배꼽탈장(Umbilical hernia)
자연 약화된 배꼽부위, 특히 일반적으로 소아와 남자에게 많다. umbilical ring이 지속적으로 존재하여 발생한다.대부분 4~6세에 저절로 닫힘. 취학 전까지 수술을 연기하며 2cm 이상인 경우에는 저절로 안 닫히므로 수술한다.
④ 대퇴의 탈장(Femoral hernia)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흔하며 대퇴 탈장은 보통 임신과 출산의 결과로 생긴다.
femoral sheath를 따라 femoral canal로 빠져나온 경우이다.
⑤ 외과적 절개 탈장(Incisional hernia)
외과적 수술 후 상처가 불완전하게 치유되면서 그 결과 약해진 부위로 발생하는 경우이다.
⑥ 횡격막의 탈장(Diaphragmatic hernia)
선천적으로 횡경막이 비정상적으로 발전하여 생기는 경우이다.
⑦ 열공 탈장(Hiatus hernia)
횡경막이 약해지거나 찢어진 사이로 위의 상부가 흉곽내로 돌출 되는 경우이다.
3) 진단방법
① 문진
흔히 병원에 내원 당시 장이 환원되어 있어 눈으로 혹을 확인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는 보호자에게 혹이 나왔던 사실을 알아봄으로서 알 수 있다.
② 진찰
간접 및 직접적인 서혜부 탈장일 때 유효하다. 선 자세뿐만 아니라 반듯이 드러누운 자세로도 검사를 받아야 한다. 손바닥을 펴서 서혜부에 놓고는 손가락 끝으로 subcutaneous superficial inguinal ring(천 서혜륜) 위에 세워둔 채 서혜관으로 가벼운 복압을 주도록 한다. 손바닥으로 환자의 넓적다리 위에 놓아두고 다섯 번째 손가락으로 가볍게 음낭쪽 subcutaneous superficial inguinal ring을 앞으로 민다. 환자가 완전히 긴장을 풀고 있는 동안 돌출된 복부 조직이 느껴 질 수 있다.
③ 초음파 검사
초음파 검사로서 복벽의 결손 부위를 확인하거나 탈장된 장을 관찰한다.
④ 기타 특수 검사가 있으나 진단을 위해서 흔히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4) 탈장의 원인
성인 탈장의 경우 원인은 복압(배안의 압력)에 비하여 이것을 지탱하고 있는 복벽의 힘이 약한 경우 발생되는데 고연령 층에서 노화에 의한 복벽의 약화로 발생될 수 있으며, 복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경우에도 발생 될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천식등의 질병으로 잦은 기침을 하는 환자, 비만하거나 임신, 복부 수술이나 손상,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옮기는 일,배변을 위하여 지나치게 힘을 주는 경우, 남성에서 전립선 비대로 소변을 볼때 힘이 많이 들어가는 경우, 선천적으로 복벽이 약한 경우, 간경화 등으로 배에 복수가 생겨 항상 배가 부르고 압력이 높은 환자등을 예로 들 수 있다.
5) 탈장의 증상
① 복부 돌출
탈장의 증상은 말 그대로 장이 나오기 때문에 겉으로 볼록해지는 것이 눈으로 확인
이 된다. 대개 울 때나 서면 볼록하게 나오게 되고, 자리에 누우면 다시 복강 내로 들어가 볼록 한 것이 사라지게 된다.
② 통증
탈장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는 전체 탈장환자의 ¼ 정도이다. 드물게 갑자기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면 이때는 탈장이 감돈 되었는지 반드시 확인을 해야
한다. 감돈 이란 탈장 내공을 통해 나온 장(腸)이 제자리로 들어가지 못하고 내공에 끼여있는 상태를 말한다.
6) 탈장으로 인한 위험성
탈장의 주된 합병증은 염전(strangulation)과 감돈(incarceration)이다. 염전은 돌출된 장의 고리가 너무 심하게 조인 결과 혈액흐름이 차단되어 조직이 괴사되는 현상이다. 감돈은 탈장이 복강내로 돌아갈 수 없는 경우로 전형적인 장폐색 증상을 초래한다. 염전이나 감돈은 모두 심한 통증, 오심, 구토 및 발열을 동반한다. 이 경우 응급수술을 필요로 하며, 장을 잘라내야 하는경우도 있다. 또한 장기간 좁은곳을 장이 드나들면서 장벽에 손상이 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탈장이 있다면 가급적 지체말고 수술을 해야 한다.
7) 탈장의 치료
(1) 내과적인 치료와 간호
탈장대상자는 복압을 증가시키는 모든 활동을 v해야 한다. 변비와 배변시 긴장을 예방하기 위해 배변완화제와 고섬유식이를 섭취한다. 긴장과 신정을 피하고 적ㄱ절한 신체역학을 이용한다. 탈장대(truss)를 사용하는 대상자는 움직일 때 특히 탈장대를 착용한다. 탈장대를 사용할 때는 매일 탈장대 부위 피부를 사정하고 가볍게 파우더 등으로 피부를 보호한다. 탈장을 손으로 눌러 복강내로 밀어넣어 일시적으로 환원시키면 대상자가 편안함을 느끼고, 염전과 감돈도 피할 수 있다. 영구적 환원은 탈장 봉합술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합병증이 있는지 관찰한다. 적절한 수분섭취와 고섬유식이의 중요성과 적절한 신체역학에 대해 설명하고 긴장과 신전을 피하도록 한다. 대상자는 체중증가를 피하고 흡연 때문에 지속적으로 기침을 한다면 금연을 해야한다.
(2) 수술적 치료
① 소아 서혜부 탈장의 치료: 탈장 낭의 고위 결찰 술
소아의 서혜부 탈장은 복벽이 터져서 탈장이 생긴 것이 아니기 때문에 탈출된 장은 복강내로 밀어 넣고, 탈장 주머니는 복벽기시부에서 결찰 하여 꿰매 주는 수술로서 간단히 치료할 수 있다.
② 성인의 서혜부 탈장의 치료
성인은 소아와 달리 복벽이 약해저서 탈장이 생기므로 탈장 주머니를 제거한 후에도 복벽을 보강해서 튼튼하게 해주어야 재발이 없다. 복벽을 보강해 주는 방법은 인조 막을 덧대어서 보강하는 방법과, 복벽을 겹치게 꿰매어서 보강하는 방법이 있다.
③ 대퇴부 탈장 및 반흔 탈장
탈출된 장은 복강내로 밀어 넣고, 터진 구멍은 튼튼한 실로 봉합한다.
④ 제대 탈장
이는 생후에도 구멍이 좁아져 막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생후 2세 까지 경과 관찰이 원칙이나 결손이 아주 큰 경우, 감돈 및 교액이 생기는 경우에는 조기에 치료 하여야 한다.
Ⅲ.참고문헌
1. 제4판 성인간호학 상, 전시자외, 2005, 현문사
2. 최신수술환자간호, 변영순외, 2004 ,수문사
3. 수술실환자간호, 윤혜상, 2004, 청구문화사
4. 사비스톤 외과학 , 사비스톤 편찬위원회, 2003, 도서출판 정담
5. 인체구조와 기능, 최명애외, 2011 , 포널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