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철사 예습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철사 예습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예습 1> 3/3일 제출

<예습 2> 3/10일 제출

<예습 3> 3/17일 제출

<예습 4> 3/24일 제출

<예습 5> 3/31일 제출 중세: Thomas Aquinas

<예습 6> 4/7일 제출 중세: William Ockahm

<예습 8> 5/2일 제출

<예습 9> 5/9일 제출

<예습 10> 5/16일 제출

<예습 11> 5/23일 제출

<예습 12> 5/30일 제출

본문내용

사람들이 자기네 생을 언제나 하나님의 역사적 구원의 사건들에서 그 의의를 찾아 온 역사적 종교 역사의 연속이다. 그런데 후에 라틴 교회는 정치적 동기가 추가되어 자기 교회의 정통성 혹은 법통성을 수호하려는 동기가 지배적으로 되어 이후에 잘못된 로마 교회의 교황주의, 전통주의로 발전하게 된다.
성명_______ 학과 ________ 학번___________ 점수 _______
<예습 3> 3/17일 제출
1. 헬라 문명권의 영향 속에서 변증가들은 어떤 방법을 통해 기독교의 신앙 내용을 설명하였는가? 헬라 철학은 기독교 신앙을 전파하고 변증하는데 어떤 역할을 했는가?
변증가들은 기독교의 신앙 내용을 헬라 철학의 용어, 사상들을 빌려서 설명하여 기독교의 가치나 탁워성 들을 설명할 수 밖에 없었다. 이것은 기독교 신앙과 고전적 교양과를 연결시키는 연결의 방법에서 당연히 일어나는 결과였다. 변증적 활동은 반드시 이와 같은 번역의 방법만은 아니다. 비판의 방법 혹은 정복의 방법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변증가들이 사용한 번역의 방법의 결과는 양자간의 종합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면치 못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기독교 안에 헬라 철학의 용어를 도입한 결과, 기독교 신앙은 지적 도구를 얻게 된 것이고, 이것을 이용하여 교리를 논할 수 있는 계기를 얻었던 것이다 만일 우시아란 말이나 휘포스타시스 란 말이나 프로소오픈이란 말이 없었더라면 니케아 신조나 칼케돈 신조 등이 생겨나지 못하였을 것이고, 로고스 사상이 없었더라면 하나님의 삼위일체의 내부에 사색을 가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즉 변증가들의 시대로부터 기독교 신학이 전개되기 위한 지적 도구를 장만하게 된 것이다.
2. 대표적인 기독교 변증가들과 그들의 주된 저서를 정리해보라.
Quadratus:Eusebius의 H.EⅣ 3에 단편이 남아 있다. Letter to Diognetus 1-10장도 Quadratus의 것으로 봄,11,12장은 Hippolytus에 돌림
Aristides 하드라인 황제에게 보낸 변증서, 수리아역 발견되었음
-Justin, the Martyr:
The First Apology, The dialogue with Tryphon The second Apology
-Tatian:
Discourse to the Greeks, Athengoras\' Plea
-Theophilus of Antioch:
Discourse to Autolycus
-Bardesanes of Edessa:
On fate(수리아 어권의 변증가)
-Minucius Felix:
Octavius (최초의 라틴어 신학 문서)
3. 저스틴 마터의 로고스 사상을 정리해보라. 그의 로고스 사상의 뿌리는 무엇이며 그리스도인은 로고스와 어떤 관계에 있는가?
저스틴은 그리스도는 로고스로서 모든 인류가 다 이 로고스에 참여하고 있고, 그리스도인은 이 로고스에 따라서 사는 사람들이라고 그리스도를 변증하고 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소크라테스든지 헤라클레이 토스든지 다 이 로고스에 따라서 사는 한에 있어서 그리스도인들이라고 했다. 또한 저스틴은 같은 변증서에서 그리스도인들이 무신론자들이라고 비난받는 일과 소크라테스가 역시 같은 비난을 받은 일을 비교하여 이것은 모두 악마들이나 잡신의 장난을 배제한 일들이며, 이것은 그리스도인들에 있어서나 소크라테스에 있어서 모두 로고스의 하는 일이라고 말한다. 이런식으로 저스틴은 누구나 그들 속에 잇는 이 로고스를 통하여 어두운 가운데나마 실제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변증가들은 스토아 철학의 로고스 사상을 그리스도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로고스 교리를 전개함에 있어서 저스틴의 그 근본 목적은 그리스도를 어떻게 그 당시의 지성에게 알 수 있도록 설명할 수 있을까 하는데 있었다.
로고스 사상이 헬라 문화권에서 기독교에로 도입된 일은 큰 중요성을 가진다. 이 로고스 사상을 통하여 기독론은 큰 발전 분야를 얻었고, 그리스도의 의의는 여러 가지로 해명되었고, 더욱이 하나님과 그리스도와의 관계는 형이상학적으로 해명되었다. 로고스 사상은 이 시대에 헬라-로마 세계에 널리 퍼져 있던 사상으로 기독교 로고스 사상에 앞서서 필로에서 유대교로 도입된 것이었다.
4.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는 헬라 철학과 기독교 신앙의 관계를 어떻게 생각했으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오리겐의 로고스 신학은 그런 자세의 어떤 위험을 보여주는가?
클레멘트는 헬라 철학에 대한 더 적극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클레멘트는 알렉산드리아의 교양인들 사이에 일함에 있어서 이것은 목회적인 필요성에 속하였다. 잘 교육받은 학습교인에게 헬라 시인들이나 철인들이 마귀로부터 영감을 받았다고 말하는 일은 파멸적인 일이었다.
주가 오시기 전에 헬라 사람은 철학을 통하여 교육을 받았고 철학을 통하여 의에 이를 수 있었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클레멘트는 철학도 신적 기원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 바울이 모세의 율법을 몽학선생이라고 불러 유대인으로 하여금 복음에로 이끌어 간 역할을 한 것처럼 클레멘트는 헬라 철학이 헬라 사람들에게 있어서 몽학선생의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보았다
클레멘트에 있어서의 로고스인 그리스도에 대한 초상화는 그대로 오리겐에 들어온다. 그러나 오리겐은 삼위일체론에 대하여 더 연구를 진행시켜서 두 하나님에 대한 사색에까지 밀고 나간다. 그러나 기도를 하는 데 있어서 두 하나님께 이중으로 할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통하여 하나님께’ 기도 드릴 것을 주장한다. 오리겐은 아들을 제 2의 하나님이라고 불렀다. 그리하여 오리겐의 종속주의가 나타난다.
5. 라틴 신학과 알렉산드리아의 신학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알렉산드리아 교부들이 대게 헬라 철학 출신이었든지, 적어도 헬라 철학의 철저한 훈련을 받고 잇었는데 반하여 라틴 교부들은 법률, 정치,등의 사회과학적인 기초 교양에서 출발하고 있다. 터툴리안도 키프리안도 다 전문적 법률가들이었고, 암브로시우스는 정치가의 가문에서 큰 촉망받는 정치가였다. 이와 같은 사실이 벌써 알렉산드리아 신학의 헬라주의적 성격에 반하여 라틴 신학의 법학적, 정치적 성격을 예시하여 준다. 알렉산드리아 신학과 라틴 신학의 이와 같은 특이성과 관련하여 그들의 기도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5.16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64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