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연극에서의 복장전환은 인간의 양성성을 부각시켜 양성의 성격이 조화를 이룬 균형잡힌 시각과 충만한 능력을 갖춘 바람직한 인간상을 보여주고자 하는 긍정적인 측면과 남녀라는 이분법적 지배체제에 대해 성 개념의 해체를 통해 그 체제를 전복시키고 외형과 역할에 대한 의문을 던짐으로써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고자 하는 도전적인 측면을 표현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데 이극에서는 그 두 가지 측면을 모두 살펴볼 수 있다. 바이올라는 남성의 복장으로 바꿔 입음으로써 올시노 성으로 상징화된 남성 사회 속으로 진입한다. 그리고 남성과의 대등하고 자유로운 발언권을 얻은 바이올라/세자리오는 남성이 가지고 있는 그릇된 여성의 이미지에 대하여 여성의 입장을 강력하게 대변하기도 하고 올시노의 감성적이고 관념적인 사랑에 대해 비판하기도 하고 냉정하고 차가운 올리비아에게서 열정을 이끌어내기도 하는 등 남성성과 여성성을 자유롭게 넘나들면서 편견에 사로잡혀있지 않은 지혜롭고 균형 잡힌 인간성을 보여줌으로써 복장전환의 긍정적인 측면을 유용하게 활용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바이올라는 쌍둥이 오빠를 잃어버린 후 남성으로 변장함으로써 그녀와 오빠가 그녀 한 사람 안에 공존하게 되는 자웅동체인간의 모습을 실현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관객의 입장엣 보기에 바이올라/세자리오가 올리비아의 구애를 받는 남성이자 (사실상) 여성이고 동시에 올시노를 사랑하는 여성이자 (외형상)남성이 되어버리는 아이러니를 이끌어 내게 된다. 또한 극초반에서 올시노 공작은 올리비아를 처음보는 순간
나는 사슴으로 변했고 나의 욕정은 잔인하고
무서운 사냥개처럼 나를 쭉 뒤
나는 사슴으로 변했고 나의 욕정은 잔인하고
무서운 사냥개처럼 나를 쭉 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