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타고, 지나치게 감정을 억제하고 사람들의 관심이 나에게 집중되는 것을 불편하게 여긴다. 다른 사람들이 나를 좋아하고 있는지에 대한 감각이 늘 예민해져있다. 외현 적 자기애 성 성향을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 대해 무감각하지만 내현 적 자기애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반응에 상당히 민감하고 자신을 낮추는 겸손함의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자기의 자존감을 유지하기 위해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을 처음부터 회피한다. 외현 적 자기애 자는 다른 사람을 “나의 위대함을 인정하고 칭찬해 주는 존재”로 인식하고 내현 적 자기애 자는 다른 사람을 “나를 받아들여 주고 좋아해 주는 존재”로 인식한다. 밀론은 자기애 적 양상에 따라 엘리트 형 자기애, 보상 형 자기애, 무절제 형 자기애, 호색 형 자기애로 나눈다.
엘리트 형 자기애는 항상 사람들로부터 받는 찬사와 인정에 집착하고 꽤 성공한 지위에 있는 경우가 많다.
보상 형 자기애는 항상 뭔가 부족하고 열등하다는 결핍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신의 모습을 보상하기 위해 웅대한 자기상에 집착한다. 이들은 자신을 인정해 줄 사람들을 필사적으로 찾아 나선다.
무절제 형 자기애는 반사회성 성향도 지니고 있으며 자기중심적이며 착취성이 강하다.
호색 형 자기애는 이성을 성적으로 유혹하고 정복하려는 성적 취향을 지닌 사람들이다. 진실성이 부족하며 성적관계에서 우월적 능력을 과시하려하며 사기와 거짓말을 반복한다.
자기애의 다른 유형으로 무감각 형 자기애와 과민 형 자기애로 나눌 수 있다.
무감각 형 자기애는 타인의 반응에 무관심하고, 잘난 체하며 공격적이다. 스스로에게 도취되기 쉬우며 항시 관심의 초점이 되기를 원한다. 의사소통에 있어서 자신의 뜻을 나타내기만 하지 받아들이는 기능이 없다. 그리고 타인에 의해 상처를 받아도 무감각하다.
이에 반해 과민 형 자기애는 타인의 반응에 민감하고, 부끄러워하며 자기를 내세우지 않는다. 자신보다 타인에게 주의를 기울이고 다른 사람의 관심의 초점이 되는 것을 피한다. 타인의 말에 주의 깊게 귀를 기울이고 쉽게 모욕감을 느껴 상처를 쉽게 받는다.
결론
지금까지 나르시시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내가 읽었던 책들 중에 데이비스 버스의“오셀로를 닮은 남자, 헤라를 닮은 여자”라는 책이 있는데, 이 책은 질투의 심리를 다룬 책이지만 거기에는 나르시시스트의 행동 특성에 대해 진술한 눈에 띄는 구절이 있다.
“나르시시스트들의 행동 특성들은 신체를 드러내는 것(노출증), 권력 있는 지위에 스스로를 천거하는 것(자기 과신), 음식 중에서도 가장 좋은 것을 먹는 것(자기 중심), 대가를 제시하지 않으면서 커다란 호의를 구하는 것(특별 대우), 친구의 어려움을 보면서 웃는 것(공감 결여), 자신의 이익을 위해 친구를 이용하는 것(대인 착취) 등이 있다.”
위에 나열된 특성들은 오늘날 현대인들에게서 보편적으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나르시시즘의 모습이기도 하다. 얼 짱과 몸 짱과 같은 몸 숭배의 사회적 분위기도 나르시시즘의 발로이고, 카메라 폰과 디지털 카메라가 만들어내는 자기중심의 영상 이미지도 나르시시즘이다.
21세기에 들어선 현대사회에서 역병처럼 번지고 있는 수 많은 병폐들 배후에는 바로 나르시시즘이 도사리고 있다. 그렇다고 모든 나르시시즘이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사람들은 누구나 나르시시즘을 가지고 있으며,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 이유로는 건강한 나르시시즘은 긍정적인 자기인식에 도움을 주어 자기계발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는 “자기애 성 인격 장애”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건강하지 못한 나르시시즘이다. 나르시시즘은 닫힌 마음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일방적인 자기애에서 벗어나 남에게 관심과 사랑을 쏟을수록 즉 마음이 열려 있을수록 나르시시즘은 감소한다고 한다. 나와 남 사이의 벽을 허무는 마음, 나와 남과의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마음이 열린 마음일 것이다. 이런 열린 마음이 있을 때 현대사회의 나르시시즘은 건강한 나르시시즘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 나르시시즘의 심리학(2006) * 저자 : 샌디 호치키스 * 출판사 : 교양인
* 나르시시즘(2002) * 저자 : 제레미 홈즈 * 출판사 : 이제이 북스
* 중심 이탈의 나르시시즘(2001) * 저자 : 이종건 * 출판사 : 이석미디어
* 자기심리학과 나르시시즘의 치료(2008) * 저자 : 리처드 체식 * 출판사 : NUN
* 오셀로를 닮은 남자, 헤라를 닮은 여자(2003) * 저자 데이비스 버스 * 출판사 : 청림
엘리트 형 자기애는 항상 사람들로부터 받는 찬사와 인정에 집착하고 꽤 성공한 지위에 있는 경우가 많다.
보상 형 자기애는 항상 뭔가 부족하고 열등하다는 결핍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신의 모습을 보상하기 위해 웅대한 자기상에 집착한다. 이들은 자신을 인정해 줄 사람들을 필사적으로 찾아 나선다.
무절제 형 자기애는 반사회성 성향도 지니고 있으며 자기중심적이며 착취성이 강하다.
호색 형 자기애는 이성을 성적으로 유혹하고 정복하려는 성적 취향을 지닌 사람들이다. 진실성이 부족하며 성적관계에서 우월적 능력을 과시하려하며 사기와 거짓말을 반복한다.
자기애의 다른 유형으로 무감각 형 자기애와 과민 형 자기애로 나눌 수 있다.
무감각 형 자기애는 타인의 반응에 무관심하고, 잘난 체하며 공격적이다. 스스로에게 도취되기 쉬우며 항시 관심의 초점이 되기를 원한다. 의사소통에 있어서 자신의 뜻을 나타내기만 하지 받아들이는 기능이 없다. 그리고 타인에 의해 상처를 받아도 무감각하다.
이에 반해 과민 형 자기애는 타인의 반응에 민감하고, 부끄러워하며 자기를 내세우지 않는다. 자신보다 타인에게 주의를 기울이고 다른 사람의 관심의 초점이 되는 것을 피한다. 타인의 말에 주의 깊게 귀를 기울이고 쉽게 모욕감을 느껴 상처를 쉽게 받는다.
결론
지금까지 나르시시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내가 읽었던 책들 중에 데이비스 버스의“오셀로를 닮은 남자, 헤라를 닮은 여자”라는 책이 있는데, 이 책은 질투의 심리를 다룬 책이지만 거기에는 나르시시스트의 행동 특성에 대해 진술한 눈에 띄는 구절이 있다.
“나르시시스트들의 행동 특성들은 신체를 드러내는 것(노출증), 권력 있는 지위에 스스로를 천거하는 것(자기 과신), 음식 중에서도 가장 좋은 것을 먹는 것(자기 중심), 대가를 제시하지 않으면서 커다란 호의를 구하는 것(특별 대우), 친구의 어려움을 보면서 웃는 것(공감 결여), 자신의 이익을 위해 친구를 이용하는 것(대인 착취) 등이 있다.”
위에 나열된 특성들은 오늘날 현대인들에게서 보편적으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나르시시즘의 모습이기도 하다. 얼 짱과 몸 짱과 같은 몸 숭배의 사회적 분위기도 나르시시즘의 발로이고, 카메라 폰과 디지털 카메라가 만들어내는 자기중심의 영상 이미지도 나르시시즘이다.
21세기에 들어선 현대사회에서 역병처럼 번지고 있는 수 많은 병폐들 배후에는 바로 나르시시즘이 도사리고 있다. 그렇다고 모든 나르시시즘이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사람들은 누구나 나르시시즘을 가지고 있으며,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 이유로는 건강한 나르시시즘은 긍정적인 자기인식에 도움을 주어 자기계발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는 “자기애 성 인격 장애”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건강하지 못한 나르시시즘이다. 나르시시즘은 닫힌 마음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일방적인 자기애에서 벗어나 남에게 관심과 사랑을 쏟을수록 즉 마음이 열려 있을수록 나르시시즘은 감소한다고 한다. 나와 남 사이의 벽을 허무는 마음, 나와 남과의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마음이 열린 마음일 것이다. 이런 열린 마음이 있을 때 현대사회의 나르시시즘은 건강한 나르시시즘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 나르시시즘의 심리학(2006) * 저자 : 샌디 호치키스 * 출판사 : 교양인
* 나르시시즘(2002) * 저자 : 제레미 홈즈 * 출판사 : 이제이 북스
* 중심 이탈의 나르시시즘(2001) * 저자 : 이종건 * 출판사 : 이석미디어
* 자기심리학과 나르시시즘의 치료(2008) * 저자 : 리처드 체식 * 출판사 : NUN
* 오셀로를 닮은 남자, 헤라를 닮은 여자(2003) * 저자 데이비스 버스 * 출판사 : 청림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기술론-정신분석이론
아동발달 이론중 정신분석이론과 인지발달 이론에 대해 학자별로 비교하여 10장 분량으로 제출
(방송대)인간과심리_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인간을 바라보는 견해 중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이 갖는 공헌...
정신분석이론 - 정신역동적 미술 심리상담의 접근, 인본주의적 미술심리상담의 접근
[인간과심리 2015] 1. 심리학 주요이론 중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
[유아발달 B형] 정신분석이론과 학습이론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두 이론을 비교하여 사례를 ...
[상상력과문학 A항목]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융의 심층심리학에 대해 서술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 A형 2017 생활과학과 가정복지(프로이트와 융)-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프...
프로이트(Freud)의 정신역동이론을 설명한 후 아들러(Adler)와 융(Jung)은 어떤 점이 프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