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가. 당뇨병이란
나. 우리나라 당뇨병의 발생빈도
2. 본론Ⅰ
가. 당뇨병의 원인
나. 당뇨병의 증상
다. 당뇨병의 합병증
3. 본론Ⅱ
가. 당뇨병의 치료(3대요법)
1) 약물요법
2) 운동요법
3) 식이요법
나. 당뇨병의 예방
4. 결론
5. 참고문헌
가. 당뇨병이란
나. 우리나라 당뇨병의 발생빈도
2. 본론Ⅰ
가. 당뇨병의 원인
나. 당뇨병의 증상
다. 당뇨병의 합병증
3. 본론Ⅱ
가. 당뇨병의 치료(3대요법)
1) 약물요법
2) 운동요법
3) 식이요법
나. 당뇨병의 예방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식생활과 건강-
당뇨병의 원인과 예방
목 차
서론
당뇨병이란
우리나라 당뇨병의 발생빈도
본론Ⅰ
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의 증상
당뇨병의 합병증
본론Ⅱ
당뇨병의 치료(3대요법)
약물요법
운동요법
식이요법
당뇨병의 예방
결론
참고문헌
1. 서론
가. 당뇨병이란
당뇨병이란 뜻 그대로 단 소변이 나오는 병이다. 그런데 문화수준이 높고 문명이 발달한 나라나 GNP가 높은 선진 국민일수록 당뇨병 발생률이 높다. 특히 비만한 사람이나 경제적으로 안정된 40, 50 대의 중년에서 많이 발병한다. 그래서 당뇨병을 사치병, 문명병이라고도 한다.
당뇨병의 역사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이집트인인 파피루스가 기원전 1500년에 다뇨증치료에 고나한 내용을 문서로 적어 놓은 것이 1862년에 발견된 것처럼, 당뇨병은 오랜 역사를 가진 병이다.
당뇨병을 가르키는 ‘다이어비티즈(diabetes)’라는 말은 그리스어 siphone(강의 흐름)에서 나온 말로, 서양에서는 다뇨라 하였고 동양에서는 한의원서인 <황제내경>에 적혀있듯이 소갈증이라 하였다.
사실 다뇨증이나 소갈증은 모두 같은 병명으로, 증세는 입이 마르고 갈증이 나서 물을 많이 마실 뿐 아니라 소변도 자주 보며 요량 역시 정상인의 2~3배 가량 된다.
이와 같이 당뇨병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랫동안 연구되어 온 병으로, 당뇨병의 원인은 십이지장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있는 췌장이 고장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췌장은 인슐린 호르몬을 생산해내는 공장격인 기관인데, 인슐린 호르몬은 음식물에서 섭취한 영양소 중 당질 성분이 대사 과정을 거쳐 포도당이 되면 에너지로 만드는 데 필요한 호르몬이다.
그러나 췌장에서 인슐린 생산이 부족하거나 전혀 안 되면 포도당은 에너지로 이용되지 못하고 혈액 속제 고인 채 소변으로 넘쳐 나오는데, 이것을 당뇨라 하고 이로 인한 증세를 당뇨병 증상이라고 한다. 이처럼 인슐린 호르몬을 분비하는 췌장이 고장나면 현액 속의 포도당이 정상인의 혈당량보다 3배 이상이 되기도 하는데, 이것을 고혈당상태라고 한다. 인슐린은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으로 포도당과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바꾸기고 하고 저장하게도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인슐린의 양이 부족하면 영양소를 이용할 수 없고 따라서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인슐린의 양이 정상적이라 하도라도 세포막에 있는 호르몬 수용체(receptor)와 결합하여 세포내에서 작용하게 되는데 수용체수가 감소되거나 인슐린에 대한 수용체의 민감도(sensitivity)가 감소된 경우에도 당뇨병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가 계속된다면 혈액은 끈적거려 혈액 순환이 매우 어려워지는데, 이렇게 되면 현액 속의 영양물을 공급받아 활동하는 심장, 신장, 뇌를 비롯한 인체의 중요한 장기나 기관이 고장나 결국은 합병증으로 사망하게 되는 무서운 병이다,
대체로 소아형 당뇨병은 인슐린 생산이 전혀 안 되는 경우가 많아 외부에서 인슐린을 공급하는 치료법을 많이 쓰고 있으나, 성인병 당뇨병의 대부분은 인슐린 생산량이 적은 것이 원인이므로 당질 음식이나 식사량을 제한하는 식이요법으로 혈당치만 잘 조절한다며 당뇨병도 그리 무서운 병이 아니란 것을 알게 된다.
나. 우리나라 당뇨병 발생빈도
2001년도 보건복지부의 우리나라의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질병의 검진결과에 의하면 당뇨병의 유병률을 보면 3-세 이상 중 8.6%가 당뇨였으며, 검사치기준시는 7.0%(남자7.55%, 여자6.64%)였다. [그림1-2]
당뇨 유병률은 남자가 여자보다 다소 높았지만, 40대를 지나면서 여자의 당뇨병 유병률 증가폭이 커져서 50대 이후에는 여자의 유병률이 높아졌다. 남져 모두 60대까지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며, 70세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그림1-3]
동지역거주자에 비해 읍면지역 거주자에서 당뇨병 유병률이 높았으며,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유병률은 높았다.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유병률은 높았다. [1-4]
2. 본론Ⅰ
가. 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병태를 사진 대사성질환으로 당뇨병이 발생하는 데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①. 인슐린 분비의 저하
당뇨병은 인슐린 호르몬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병이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서, 췌장은 위장과 연결되어 있는 십이지장의 ㄷ자 고리에 삽입된 길쭉한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는 장기이다.
이 췌장 안에는 소화액인 췌액을 분비하는 외분비선세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그 조직의 곳곳에는 집단을 이룬 세포들이 섬처럼 산재해 있는데, 이곳을 랑게르한스섬(1869년 랑게르한스라는 사람이 줴장의 내분비 조직에서 발견)이라고 부르며 내분비선이라 한다.
내분비 조직인 랑게르한스섬은 두 종류의 알파세포와 베타세포로 구성되어 있는데, 알파세포에서는 혈당을 올려주는 글루카곤호르몬을 분비하고 베타세포에서는 혈당량을 내려주는 인슐린 호르몬을 분비한다.
이와 같이 인슐린 호르몬이란 우리가 당질을 섭취했을 때, 인체의 각 세포조직이 필요로 하는 만큼의 에너지를 당질로 공급하고, 그래도 남는 것은 간이나 피하 조직에 저장해서 혈액 속에 많이 남아 있는 포도당 농도는 항상 정상 혈당치(혈액 100cc 중 100mg)로 내려주는 작용을 도와주는 호르몬이다.
한편 글루카곤 호르몬은 인슐린의 반대 작용으로 혈당치를 올려주는 역할을 하는데, 예를 들면 힘들 운동이나 작어
당뇨병의 원인과 예방
목 차
서론
당뇨병이란
우리나라 당뇨병의 발생빈도
본론Ⅰ
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의 증상
당뇨병의 합병증
본론Ⅱ
당뇨병의 치료(3대요법)
약물요법
운동요법
식이요법
당뇨병의 예방
결론
참고문헌
1. 서론
가. 당뇨병이란
당뇨병이란 뜻 그대로 단 소변이 나오는 병이다. 그런데 문화수준이 높고 문명이 발달한 나라나 GNP가 높은 선진 국민일수록 당뇨병 발생률이 높다. 특히 비만한 사람이나 경제적으로 안정된 40, 50 대의 중년에서 많이 발병한다. 그래서 당뇨병을 사치병, 문명병이라고도 한다.
당뇨병의 역사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이집트인인 파피루스가 기원전 1500년에 다뇨증치료에 고나한 내용을 문서로 적어 놓은 것이 1862년에 발견된 것처럼, 당뇨병은 오랜 역사를 가진 병이다.
당뇨병을 가르키는 ‘다이어비티즈(diabetes)’라는 말은 그리스어 siphone(강의 흐름)에서 나온 말로, 서양에서는 다뇨라 하였고 동양에서는 한의원서인 <황제내경>에 적혀있듯이 소갈증이라 하였다.
사실 다뇨증이나 소갈증은 모두 같은 병명으로, 증세는 입이 마르고 갈증이 나서 물을 많이 마실 뿐 아니라 소변도 자주 보며 요량 역시 정상인의 2~3배 가량 된다.
이와 같이 당뇨병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랫동안 연구되어 온 병으로, 당뇨병의 원인은 십이지장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있는 췌장이 고장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췌장은 인슐린 호르몬을 생산해내는 공장격인 기관인데, 인슐린 호르몬은 음식물에서 섭취한 영양소 중 당질 성분이 대사 과정을 거쳐 포도당이 되면 에너지로 만드는 데 필요한 호르몬이다.
그러나 췌장에서 인슐린 생산이 부족하거나 전혀 안 되면 포도당은 에너지로 이용되지 못하고 혈액 속제 고인 채 소변으로 넘쳐 나오는데, 이것을 당뇨라 하고 이로 인한 증세를 당뇨병 증상이라고 한다. 이처럼 인슐린 호르몬을 분비하는 췌장이 고장나면 현액 속의 포도당이 정상인의 혈당량보다 3배 이상이 되기도 하는데, 이것을 고혈당상태라고 한다. 인슐린은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으로 포도당과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바꾸기고 하고 저장하게도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인슐린의 양이 부족하면 영양소를 이용할 수 없고 따라서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인슐린의 양이 정상적이라 하도라도 세포막에 있는 호르몬 수용체(receptor)와 결합하여 세포내에서 작용하게 되는데 수용체수가 감소되거나 인슐린에 대한 수용체의 민감도(sensitivity)가 감소된 경우에도 당뇨병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가 계속된다면 혈액은 끈적거려 혈액 순환이 매우 어려워지는데, 이렇게 되면 현액 속의 영양물을 공급받아 활동하는 심장, 신장, 뇌를 비롯한 인체의 중요한 장기나 기관이 고장나 결국은 합병증으로 사망하게 되는 무서운 병이다,
대체로 소아형 당뇨병은 인슐린 생산이 전혀 안 되는 경우가 많아 외부에서 인슐린을 공급하는 치료법을 많이 쓰고 있으나, 성인병 당뇨병의 대부분은 인슐린 생산량이 적은 것이 원인이므로 당질 음식이나 식사량을 제한하는 식이요법으로 혈당치만 잘 조절한다며 당뇨병도 그리 무서운 병이 아니란 것을 알게 된다.
나. 우리나라 당뇨병 발생빈도
2001년도 보건복지부의 우리나라의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질병의 검진결과에 의하면 당뇨병의 유병률을 보면 3-세 이상 중 8.6%가 당뇨였으며, 검사치기준시는 7.0%(남자7.55%, 여자6.64%)였다. [그림1-2]
당뇨 유병률은 남자가 여자보다 다소 높았지만, 40대를 지나면서 여자의 당뇨병 유병률 증가폭이 커져서 50대 이후에는 여자의 유병률이 높아졌다. 남져 모두 60대까지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며, 70세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그림1-3]
동지역거주자에 비해 읍면지역 거주자에서 당뇨병 유병률이 높았으며,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유병률은 높았다.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유병률은 높았다. [1-4]
2. 본론Ⅰ
가. 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병태를 사진 대사성질환으로 당뇨병이 발생하는 데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①. 인슐린 분비의 저하
당뇨병은 인슐린 호르몬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병이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서, 췌장은 위장과 연결되어 있는 십이지장의 ㄷ자 고리에 삽입된 길쭉한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는 장기이다.
이 췌장 안에는 소화액인 췌액을 분비하는 외분비선세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그 조직의 곳곳에는 집단을 이룬 세포들이 섬처럼 산재해 있는데, 이곳을 랑게르한스섬(1869년 랑게르한스라는 사람이 줴장의 내분비 조직에서 발견)이라고 부르며 내분비선이라 한다.
내분비 조직인 랑게르한스섬은 두 종류의 알파세포와 베타세포로 구성되어 있는데, 알파세포에서는 혈당을 올려주는 글루카곤호르몬을 분비하고 베타세포에서는 혈당량을 내려주는 인슐린 호르몬을 분비한다.
이와 같이 인슐린 호르몬이란 우리가 당질을 섭취했을 때, 인체의 각 세포조직이 필요로 하는 만큼의 에너지를 당질로 공급하고, 그래도 남는 것은 간이나 피하 조직에 저장해서 혈액 속에 많이 남아 있는 포도당 농도는 항상 정상 혈당치(혈액 100cc 중 100mg)로 내려주는 작용을 도와주는 호르몬이다.
한편 글루카곤 호르몬은 인슐린의 반대 작용으로 혈당치를 올려주는 역할을 하는데, 예를 들면 힘들 운동이나 작어
추천자료
[지역사회영양학 ] 질병발생의 변화 양상과 지역사회 영양사업 프로그램 조사 및 건강한 식생...
당뇨병 예방과 식이-운동요법 ppt자료(식사요법)
식품과 건강(식생활과 현대인의 건강관리)
[생활과건강] 체중감소를 위한 식생활지침, 식이요법계획, 운동요법 - 바람직한 식생활지침, ...
[생활과건강]35세 여대생 박씨 비만관리교육자료, 키164cm 체중69kg, 1) 체질량지수를 이용한...
건강하게 사는 방법 - 건강하게 살기!!
임신성_당뇨병(GDM)컨퍼
[질병, 질환]질병(질환)과 노화, 질병(질환)과 건강교육, 질병(질환)과 건강검진, 질병(질환)...
[지역사회영양학 A형] 최근 우리나라에서 노령인구 증가와 저 출산이 큰 사회문제로 되고 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