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효숫자
유효숫자란?
유효숫자의 규칙
계산시 유효숫자 처리하는방법
유효숫자 반올림 처리하는방법
도형겉넓이
사전에서의 발취
겉넓이 구하는 공식
도형부피
사전에서 발취
부피의 단위
부피 구하는 공식
유효숫자란?
유효숫자의 규칙
계산시 유효숫자 처리하는방법
유효숫자 반올림 처리하는방법
도형겉넓이
사전에서의 발취
겉넓이 구하는 공식
도형부피
사전에서 발취
부피의 단위
부피 구하는 공식
본문내용
로 나타낸다. 이때 유효숫자의 가장 끝자리 수는 그 다음 자리의 수를 반올림하여 생기는 정도의 오차는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유효숫자는 소수점의 위치에 관계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유효숫자의 부분을 따로 떼어서 정수 부분이 한 자리인 소수로 쓰고, 소수점의 위치는 10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582.021 은 유효숫자 6자리의 수이고 5.82021×102로 쓸 수 있다.
[출처] 유효숫자 [有效數字, significant figure ] | 네이버 백과사전
유효숫자란?
“어떠한 측정에서 기록된 숫자의 총 개수”
유효숫자의 규칙
1)4.803 -> 4,8,0,3의 4개의 유효숫자가 있다.
(0이 아닌 숫자 사이에 있는 0은 항상 유효숫자이다.)
2)0.00661 -> 6,6,1의 3개의 유효숫자가 있다.
(처음0이 아닌 숫자가 등장하기 전의 0은 유효숫자가 아니다.)
(과학에서 보통 0.0067g 을 으로 표현합니다. 앞에 있는 0이 중요 하지 않은 숫자이기 때문이죠.)
3)55.220 -> 5,5,2,2,0의 5개의 유효숫자가 있다. (0이 아닌 숫자들의 끝에 등장하면서 소수점 뒤에 있는 0은 항상 유효숫자이다.)
4)34.200 -> 유효숫자의 개수가 3개이거나 4개이거나 5개이다.
(0이 아닌 숫자들의 끝에 등장하면서 소수점보다 앞에 있는 0은 유효숫자일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다.)
( 와 와 의 차이를 비교해보세요)
계산시 유효수자 처리하는 방법
1.곱셈과 나눗셈을 할 때는 그 연산의 결과로 나온 값이 더 작은 유효숫자의 개수에 맞게 표기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보겟습니다.
2.덧셈과
유효숫자는 소수점의 위치에 관계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유효숫자의 부분을 따로 떼어서 정수 부분이 한 자리인 소수로 쓰고, 소수점의 위치는 10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582.021 은 유효숫자 6자리의 수이고 5.82021×102로 쓸 수 있다.
[출처] 유효숫자 [有效數字, significant figure ] | 네이버 백과사전
유효숫자란?
“어떠한 측정에서 기록된 숫자의 총 개수”
유효숫자의 규칙
1)4.803 -> 4,8,0,3의 4개의 유효숫자가 있다.
(0이 아닌 숫자 사이에 있는 0은 항상 유효숫자이다.)
2)0.00661 -> 6,6,1의 3개의 유효숫자가 있다.
(처음0이 아닌 숫자가 등장하기 전의 0은 유효숫자가 아니다.)
(과학에서 보통 0.0067g 을 으로 표현합니다. 앞에 있는 0이 중요 하지 않은 숫자이기 때문이죠.)
3)55.220 -> 5,5,2,2,0의 5개의 유효숫자가 있다. (0이 아닌 숫자들의 끝에 등장하면서 소수점 뒤에 있는 0은 항상 유효숫자이다.)
4)34.200 -> 유효숫자의 개수가 3개이거나 4개이거나 5개이다.
(0이 아닌 숫자들의 끝에 등장하면서 소수점보다 앞에 있는 0은 유효숫자일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다.)
( 와 와 의 차이를 비교해보세요)
계산시 유효수자 처리하는 방법
1.곱셈과 나눗셈을 할 때는 그 연산의 결과로 나온 값이 더 작은 유효숫자의 개수에 맞게 표기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보겟습니다.
2.덧셈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