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에 대해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LED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Intro

■ LED 의 원리

■ LED 제조공정

■ LED 의 종류

■ LED 의 응용분야

■ LED 의 향후개발방향

■ Comment

■ Reference

본문내용

인하여 전력 발생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전력 발생시 배출되는 CO2 배출량 삭감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환경친화적 제품으로서 LED 교통신호등의 기술개발이 활발해짐으로써 이에 따른 관련 산업의 시스템 개발이 부가되어, 동화상광고물, 가변정보판 등의 고밀도 화질 및 다양한 색상 구현, 가로등 등 기타 도로시설물의 조명분야, LED를 이용한 문자, 정보 등 그래픽 기술과 같은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며, 교통사고의 감소도 기대되고 있다.
LED 교통신호등은 특허출원 동향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 세계적으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기 시작한지가 10년 내외이다. 따라서 한국이 일본과 같은 외국에 비해 시작은 다소 늦었더라도, 광주에 “LED 밸리” 조성사업이 이루어지는 등 광반도체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앞으로의 기술개발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다. 외국의 선례를 보더라도 광소자의 특성상 벤처기업 형태가 유리하므로 벤처기업 창출을 통한 기술적 경제적 파급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 LED 응용산업 R&D (전기신문 발췌)
고품위 백색LED 양산용 고생산성 MOCVD장비 개발(주성엔지니어링) ▲친환경 디스플레이 적용을 위한 보급형 LED BLU개발(LG이노텍) ▲고휘도 저전력 LED BLU 및 LED 조명용 도광판 개발(엘티에스) ▲교류구동 LED를 이용한 80lm/W급 조명시스템 개
발(서울반도체) ▲고효율 고지향성 LED칩/패키지를 이용한 그린 네트워크 가로조명시스템 개발(알에프텍) ▲고광량 LED국산화를 통한 복합기능 LED전조등 개발(현대모비스) ▲IT-LED기반 식물공장을 위한 핵심기술 및 부품개발(오디텍) 등 7개다.
전량 수입에 의존해오던 MOCVD장비, 차량용 LED전조등, LED가로조명용 LED칩/패키지 등을 국산화했으며, 6개 과제 모두 납품계약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투자와 고용실적이 당초 계획을 초과하는 등 중요한 성과가 있는 것으로 최종 평가되었으며 실제로 주성엔지니어링은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성을 갖는 GaN MOCVD를 국산화해 국내에 3대를 납품하고, 일본 기업과도 공급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것으로 조사됐다.LG이노텍은 47인치 보급형 TV용 LED BLU 상용제품을 개발해 내년 상반기에 납품키로 했으며, 엘티에스도 LED TV의 필수부품인 도광판을 개발하고, 이를 양산할 수 있는 장비개발을 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명분야에서도 서울반도체가 교류에서 구동되는 81lm/W급 벌브타입의 전구를 개발하고, 알에프텍이 빛 조절이 가능한 고효율 가로조명을 국내 최초로 개발해 냈다. 이외에도 현대모비스는 하나의 광학모듈로 하향등과 상향등으로 모두 사용될 수 있는 LED전조등을 세계 최초로 개발,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납품할 예정이며, 오디텍은 LED기반의 식물공장용 핵심기술과 부품을 개발하고 식물공장 테스트 베드를 구축했다.
이는 정부의 신성장동력 스마트 프로젝트로 국가성장 잠재력 확충을 위해 단기간 내에
상용화가 가능하고 , 설비투자 효과가 큰 대형 R&D 사업을 선정하여 예산을 지원한다.
위 그림은 LED 발전방향 및 시장전망에 대해 나타낸 그림으로 LED 단가는 하락하지만
시장규모 및 성장성 부분에서는 엄청난 잠재적 포텐셜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해준다.
■ Comment
LED에처럼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소자를 조사하면서 정말 많은 것을 느꼈다.
예로 발광 다이오드 엘리베이터 감성조명이 에너지 절감과 쾌적한 조명환경 구현으로 시장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는 측면에서 볼 수 있다시피 초기 필자가 느꼈던 군대시절 LED의 편리함이 이제 널리 시장에서도 통용되어 지고 있다.
소위 작은개념으로 볼 수 있는 반도체의 P-N 접합기술 하나로 조명계에 혁신을 불러올 만큼 파장효과가 어마어마 하다는 것을 이번 자료 조사를 통하여 몸소 느낄 수 있었다.
이런 효과적 측면 뿐만 아니라 향후 시장성 및 개발방향의 다양성을 통틀어 볼 때 정말
매력적인 소자가 아닐 수 없었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 전기/전자/광원 쪽 기술 및 제품들을 바라보면서 인간의 욕심이라고 할 수 있는 편리성, 쾌적성에 근거하여 기술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종의 시대적 흐름이라고나 할까? 이런 빠른 시대적 흐름에 필자도 발맞추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았고, 광원의 역사를 살펴보면 인류는 횟불이나 토치같은 것으로 시작해서 현재 수백만개의 LED를 자유자재로 제어하며 원하는 빛을 얻거나
나아가 신호수신측면까지 제어하여 생활의 편리함을 가져다 준 것을 보고 사람의 사고와 창의력 그리고 끊임없는 노력이 정말 나를 비롯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미미하게나마 깨닫게 해주었다. 정말 뜻깊고 의미있었던 레포트였던 것 같았다. 앞으로 이런 미세소자기술을 더 많이 조사해서 지금 영위하고 있는 우리의 생활에 기여하는 부분을
알고 싶고 나도 그 기술개발에 동참하고 싶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Reference
- 광전자정밀㈜ 2008.04. www.optel-precision.com
-http://119.31.244.56:8888/ip/detailMetaFile.do?identifier=05-000-081106-000024 &fileno=1
- 한국광기술원
http://www.vina.co.kr/product/led_tech4_1.html
http://korea.maxim-ic.com/app-notes/index.mvp/id/3070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1012100061&portal=000001
http://www.electimes.com/home/news/main/viewmain.jsp?news_uid=79211
www.kemco.or.kr/up_load/pds/object/10장/4.2.pdf V
- Contents -
■ Intro
■ LED 의 원리
■ LED 제조공정
■ LED 의 종류
■ LED 의 응용분야
■ LED 의 향후개발방향
■ Comment
■ Reference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5.22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84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