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신부전 케이스스터디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성신부전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 1

Ⅱ. 문헌고찰----------- 1
1.정의 ----------------- 1
2.원인 ----------------- 2
3.증상 ----------------- 2
4.진단 ----------------- 2
5.검사 ----------------- 2
6.치료 ----------------- 2
7.경과/합병증----------- 4
8.간호 ----------------- 5
9.생활 가이드 ---------- 8
10.식이요법 ------------ 8
11.관련질병 ---------- 8

Ⅲ. 간호과정 ----------- 8
1. 간호사정 ---------- 8
2. 간호과정 적용------ 17

Ⅳ결론 ----------------- 19

본문내용

가 포함된 비누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목욕은 미지근한 물에 2~3일에 1회 정도가 적당하다고 설명해주었다.
때를 미는 행위를 삼가도록하였다.
피부를 건조시킬 때에는 타월로 두드리면서 말리도록 하였다.
피부의 비위생과 건조함은 소양증의 원인이다. 알코올이나 비누사용은 피부를 건조하게 함으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 때를 미는 것도 피부를 건조하게 하며, 목욕을 자주하는것도 좋지않다.
피부에 연고를 바른다.
피부가 촉촉할 때 로션이나 크림을바르도록 하였다.(저자극성 로션)
로션이나 크림을 발라 피부 보습을 유지한다.
가려움증의 대처 및 관리방법을 교육한다.
소양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을 교육하였다.
손톱을 자르고 피부를 긁지 않도록 하였다.
대상자 스스로 긁지않고 가려움에 대처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2. 간호과정 적용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사정
“입맛이 없어서 도저히 못먹겠어요”
신체질량지수(BMI)는 18.35로 저체중
BUN
8~20 mg/dL
▲23.4
Creatinine
0.7~1.2mg/dL
▲5.3
체중: 58.3.3kg(11.3 첫 입원시)→ 현재 54.3kg
간호진단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목표
끼니를 잘 챙겨 먹으며 균형잡힌 식사를 한다.
영양불량의 증상이나 징후를 나타내지 않는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결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영양을 섭취한다.
수분과 음식섭취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수분, 음식섭취를 측정하여
정확한 영양부족을 확인한다.
약물 투여 후 환자가 간간히 음식섭취를 하였음을 관찰하였다.
환자는 신부전 식이를 1/3이상 섭취하였다.
식욕부진과 체중감소치료제 약물을 복용하도록 한다.
메게이스내복현탁액을 10ml씩 하루 두 번 경구투여하도록 하였다.
메게이스내복현탁액은 암 또는 AIDS 환자의 식욕부진, 악액질 또는 원인불명의 현저한 체중감소의 치료제로쓰인다
염분, 칼륨과 인을 함유한 음식과 음료수를 제한한다.
염분, 칼륨과 인을 함유한 음식과 음료수를 제한하였다.
신기능 저하로 칼륨과 인이 쌓이게 되면 인체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게 된다.
고칼로리 식이를 제공한다.
고칼로리 식이를 제공하였다.
고열량 식이는 에너지를 제공하고, 소모를 방지한다.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매일 체중을 수행하였다.
체중은 영양부족의 간접적인 지표이다.
적절한 단백질 섭취를 한다.
적절한 단백질 섭취(필수아미노산)를 하도록 돕는다.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한 식품(우유, 계란, 고기)을 섭취하며, 필수아미노산을 조직분해작용에 의존하지 않게 한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사정
“몸이 허약한 것 같아요.. 피곤해요”
“조금만 걸어도 숨이 차와요..”
Hb(검사결과) 8.4g/dl▼(1.19), 7.4g/dl▼(1.21)
라운딩 시 침상 안정 중임.
간호진단
빈혈과 관련된 피로
간호목표
피로감이 감소되어 일상생활 활동을 수행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결론
피로의 신체적, 정서적 원인을 사정한다.
피로의 신체적, 정서적 원인을 사정하였다.
환자의 신체적 안락과 휴식은 신체를 이완시켜 피로를 감소하게 한다.
피로를 증가시키는 원인을 교정하였다.
환자는 라운딩시마다 침상안정 중이였고, 식후나 식전에 간간히 병동을 왔다갔다 하는모습이 발견됨.
식후 하루 두 번 훼로바를 복용하고 있었다..
꼭 필요한 검사에만 채혈을 하고 수혈은 하지 않았다.
매 환자가 검사를 갈 때 마다 지지를 하였다.
자주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에너지 재충전을 위해 자주 휴식을 취하도록 교육하였다.
점진적인 활동을 증가시킨다.
자가 간호, 운동, 여가활동에 점진적으로 참여하게 하도록 격려하였다.
빈혈약을 식전에 복용하도록 한다.
훼로바 1알을 식후 2시간 하루 두 번 복용하도록 하였다.
훼로바는 철결핍성 빈혈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영양 섭취량을 사정하여 보충한다.
적절한 에너지 유지를 위해 영양 섭취량을 사정하여 보충하도록 격려하였다.
충분한 영양섭취를 하므로써 빈혈을 교정하고 피로를 감소시킨다.
편안감을 증진시키는 간호를 계획하고 수행한다.
편안감을 증진시키는 간호를 환자와 계획하고 수행하였다.
(잠을 자거나, 침상안정, 따뜻한 차마시기, 조용한 음악감상)
환자와 함께 계획하면서 안위감을 제공할 수 있다.
불필요한 채혈을 금지하고, 필요시 수혈을 한다.
불필요한 채혈을 금지하고, 필요시 수혈을 하였다.
불필요한 잦은 채혈은 Hb수치를 감소시키고, 수혈은 Hb수치를 증가시켜 피로를 감소하게 한다.
검사나 치료시 환자를 지지한다.
검사나 치료시 환자를 지지하고 격려하였다.
환자의 지지는 불안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지지가 된다.
Ⅳ결론
본 대상자는 80세 남자로, 18년전 CRF 진단을 받고 신장이식과 혈액투석을 시작한 분이다. CRF로 본원에 2번 입퇴원 하셨고, 세 번째 입원중이시다. 고혈압과 당뇨를 가지고 계셨으며, 현재 4~5일마다 혈액투석을 하고계신다. CRF의 진단검사로 일반혈액검사에서 RBC, Hb, Hct의 수치가 낮게나오고, 일반화학검사에서 BUN, Creatinine, CRP 의 수치가 높게 나왔으며, T.PRO, Albumin, ALT, Cl, T.CO2의 수치가 낮게 나온 것을 볼 수 있었다.
대상자가 피로와 식욕부진, 가려움증을 호소하여 진단으로 빈혈과 관련된 피로,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질병과 관련된 피부손상 이라는 간호진단을 내렸으며, 교육을 통해 문제의 대처 방안과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기대결과는 교육한 내용 대로 실천하기 힘들어 했으나 점차 나아가고 있는것을 볼 수 있었다. 조금만 더 대상자에게 관심을 갖고 관찰하고 도와준다면 좋은 기대결과를 얻을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Ⅱ 엘스비어 코리아/ 저자:Donna D.Ignatavicius,M.Linda Workman
서문자외 성인간호학(상,하) 수문사
고일선외 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송미순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김강미자 외 NAMDA 간호진단별 목표와 중재 목록 2006 현문사
인터넷 : http://www.naver.com 의학상세정보
http://www.snuh.org/
  • 가격1,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2.05.22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85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