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6장 연습문제
1. 프로젝트의 경제성 평가를 위한 평가기법의 선택과 관련하여, 다음의 각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기법으로는 무엇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제시하라.
(1) 탐색연구형 프로젝트: 상대적 순위 모형 가운데 특히 프로파일(profile) 모형, 점수(scoring) 모형, AHP 모형 등이 적합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과제는 아직 프로젝트의 구체적 내용이나 용도를 알기 어렵기 때문에, 경제적 가치를 계산하거나 미래의 현금흐름을 예측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과제는 주로 중장기적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투입과 산출의 기간과 시점을 정하는 것도 쉽지 않다. 따라서 대안들의 우열이나 차이를 프로파일이나 점수 등의 정성적이고 상대적인 차이로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개발성 프로젝트: 경제성 지표(economic index) 모형이나 의사결정이론(decision-theory) 모형 등이 적합하다. 탐색연구형 프로젝트와 상업화 프로젝트의 중간단계에 해당하기 때문에 대안의 가치를 금액으로 측정하기는 어렵겠지만 경제적 지표로는 파악할 수 있다. 또 투입과 산출의 기간과 시점도 어느 정도까지는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3) 상업화 프로젝트: 경제적 가치 모형 가운데 자본예산(capital budgeting) 모형이나 수리계획(mathematical programming) 모형이 적합하다. 앞으로의 현금흐름(매출증가나 비용감소)의 크기, 시점, 기간 등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대안의 가치를 절대적인 금액의 크기로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바람직하다.
2. 경제성 평가의 기법에 있어, 점수 모형과 자본예산 모형의 장점과 단점을 각각 비교하라.
(1) 점수 모형: 이해하기가 쉽고 적용하기도 용이하여 실용적이다. 하지만 단순히 상대적인 순위만을 제시하기 때문에 대안들의 실질적이고 절대적인 경제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기 어렵고, 또한 대안들간의 차이도 명확히 비교하기 어렵다.
(2) 자본예산 모형: 결과치가 절대적인 경제 가치(대부분 화폐 가치)로 표현되기 때문에 그 의미가 분명하고 또 대안들간의 차이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하지만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현금흐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데 이 값을 정확히 추정하기 어렵다.
1. 프로젝트의 경제성 평가를 위한 평가기법의 선택과 관련하여, 다음의 각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기법으로는 무엇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제시하라.
(1) 탐색연구형 프로젝트: 상대적 순위 모형 가운데 특히 프로파일(profile) 모형, 점수(scoring) 모형, AHP 모형 등이 적합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과제는 아직 프로젝트의 구체적 내용이나 용도를 알기 어렵기 때문에, 경제적 가치를 계산하거나 미래의 현금흐름을 예측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과제는 주로 중장기적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투입과 산출의 기간과 시점을 정하는 것도 쉽지 않다. 따라서 대안들의 우열이나 차이를 프로파일이나 점수 등의 정성적이고 상대적인 차이로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개발성 프로젝트: 경제성 지표(economic index) 모형이나 의사결정이론(decision-theory) 모형 등이 적합하다. 탐색연구형 프로젝트와 상업화 프로젝트의 중간단계에 해당하기 때문에 대안의 가치를 금액으로 측정하기는 어렵겠지만 경제적 지표로는 파악할 수 있다. 또 투입과 산출의 기간과 시점도 어느 정도까지는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3) 상업화 프로젝트: 경제적 가치 모형 가운데 자본예산(capital budgeting) 모형이나 수리계획(mathematical programming) 모형이 적합하다. 앞으로의 현금흐름(매출증가나 비용감소)의 크기, 시점, 기간 등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대안의 가치를 절대적인 금액의 크기로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바람직하다.
2. 경제성 평가의 기법에 있어, 점수 모형과 자본예산 모형의 장점과 단점을 각각 비교하라.
(1) 점수 모형: 이해하기가 쉽고 적용하기도 용이하여 실용적이다. 하지만 단순히 상대적인 순위만을 제시하기 때문에 대안들의 실질적이고 절대적인 경제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기 어렵고, 또한 대안들간의 차이도 명확히 비교하기 어렵다.
(2) 자본예산 모형: 결과치가 절대적인 경제 가치(대부분 화폐 가치)로 표현되기 때문에 그 의미가 분명하고 또 대안들간의 차이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하지만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현금흐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데 이 값을 정확히 추정하기 어렵다.
추천자료
우리기업의 해외진출 성공사례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사례분석
Business Incubator 제도
한국 FDI 외국인직접투자 동향과 정책
(독서감상문) 제휴마케팅을 읽고
벤처기업 팬택 박병엽 CEO의 성공 비결
ERP 구축 실패 사례
[A+평가독후감]애스킹 독후감 서평, 개인적인 감상과 느낀 점과 교훈은 무엇인가?.
해외 부동산 투자의 평가와 전망
다국적기업화의 동기와 요인 및 과정과 특성
커피전문점의 특징, 성장배경, 사례, 발전방향
현대건설 기업분석
현대자동차의 일본시장 진출전략,자동차산업,일본자동차시장,현대자동차해외진출
안철수,CEO 분석 - 안철수, 그는 누구인가? (안철수 연구소 설립, CEO로서의 핵심역량, 안철...
소개글